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 일반
· ISBN : 9788988738825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1-01-31
책 소개
목차
PART I 건축물 에너지∙환경 관리
제1장 기후변화 및 에너지∙환경정책의 이해
1. 기후변화에 대한 이해
2. 기후변화의 산업 영향 및 대응
3. 국제적 기후변화 대응 동향
4. 우리나라의 에너지 환경 정책
제2장 호텔서비스업의 에너지 사용 분석
1. 호텔서비스업의 에너지 사용
2. 호텔의 온실가스 배출
제3장 국내∙외 에너지 및 환경 관리 우수사례
1. 해외 에너지 환경 관리 우수사례
2. 국내 에너지 및 환경 관리 우수사례
제4장 건축물 에너지∙환경 관리 방안
1. 에너지운영시스템(BAS)
2. 에너지관리시스템(CMS)
3. 에너지경영시스템(ISO 500001)
4. 빌딩에너지관리시스템(BEMS)
5. 현장 에너지관리 방안
6.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BIPV)
7. 미세먼지 위험성 및 대응
8. 환경친화적 서비스 도입
9. 실내 공기질 관리
10. 소음 관리
PART II 건축물 안전 관리
제1장 건축물 안전관리의 이해
1. 안전관리의 의의
2. 안전관리의 범주
3. 안전사고 발생 사례
제2장 재난위험과 방지대책
1. 재난
2. 화재
3. 전기재난
4. 건축재난
5. 화학물질
6. 공사장 사고
7. 안전사고 발생 유형
제3장 산업안전보건 관리
1. 산업안전보건법
2. 안전보건 관리체계
제4장 안전사고 대응 방안
1. 화재 발생 대응 방안
2. 지진 발생 대응 방안
3. 테러 발생 대응 방안
4. 기타 재난 발생 대응 방안
5. 재난 발생 대피 방안
6. 호텔의 재난 대피방안
제5장 안전관리 선진화 방안
1. 안전보건경영시스템
2. 안전관리 전산시스템
3.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기대 효과
4. 위험성 평가
제6장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자연재해로 인한 사고보다는 인재로 비롯된 사건 사고가 빈번해지며 각종 대형사고 위험과 안전 사고 위험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전 예방과 관리체계의 선진화가 절실하게 필요해졌다. 기업에서도 산업 재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 환경을 조성할 목적으로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유지하고 증진하는데 필요한 재해의 방지 방법과 목표를 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조직과 책임, 절차를 규정한 후 기업 내 물적, 인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조직적으로 관리하는 경영시스템인 안전관리 선진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는 곧, 사업주가 자율경영방침에 안전보건정책을 반영하고, 이에 대한 세부 실행지침과 기준을 규정화하여 주기적으로 안전보건계획에 대한 실행 결과를 자체평가 후 개선토록 하는 등 재해예방과 기업손실감소 활동을 체계적으로 추진토록 하기 위한 자율안전 보건체계를 말한다.
(PART II 건축물 안전 관리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