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도시계획/설계
· ISBN : 9788988758335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07-12-30
책 소개
목차
발간사 / 김정신 회장
공모전 프로그램
공모 요강 - 구 서울역사 어떻게 살릴 것인가?
진행 경과 보고
심사평 / 유걸, 김기호, 권문성
공모전 워크숍, 특별기고
근현대사의 목격자 '구 서울역사'와 문화공간화 프로젝트에 거는 기대 / 안창모
도시와 장소의 근대적 에피소드들 - 재편입을 노리다 김헌
서울역 구역사, 국가건축센터로 활용하자 / 전진삼
서울역사를 남북통일청사로 / 김종헌
입상작
대상 1명, 최우수상 1명, 우수상 2명, 특선 6명, 입선 69명, 그 외 출품작 리스트
도코모모 코리아 가이드
도코모모란 무엇인가?
도코모모 코리아 연혁
도코모모 코리아 2003 서울 선언
도코모모 코리아 조직 구성
수상자 리스트
저자소개
책속에서
구 서울역사는 이 땅에 사는 모든 이들에게 물리적인 실체 이상의 것이다. 지난 세월 우리의 굵직한 근현대사를 서울역사가 담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서울역사가 지난 세월의 굴곡을 넘어서 새로운 현대사의 시발역이 되기를 희망한다. 나아가 '구 서울역사'는 너무나 소중해서 길이 보존하고자 했던 문화재가 '화석화'됨에 따라 오히려 우리의 삶에서 멀어져 버리곤 했던 전철을 밟지 않고, '문화공간화'를 통해 우리의 삶과 함께 할 때 진정한 의미가 살아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효시가 되기를 희망한다. - '공모전 워크숍 - 안창모 경기대 건축대학원 교수' 글 중에서
전쟁과 정쟁의 풍화를 딛고서 남아 있는 근대건축물 중에서도 건축미가 빼어날 뿐더러 기능적으로도 충분히 활용의 여지가 높았던 구역사가 서울역 재개발의 순서에서 현재와 같이 주변부로 밀려난 것은 참으로 유감이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신촌역 구역사와 같이 퇴행적 보전의 폐해에서 멀찌감치 벗어나 있다는 점이다. 근대건축물을 어떻게 보전하는가의 문제는 여전히 중요한 화두임이 분명하지만 오늘의 주제인 서울역 구역사의 경우는 과거의 주기능을 잃은 건물에 어떤 새로운 기능을 담음으로써 신생의 길을 열어 주느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 '특별 기고ㅡ전진삼 건축비평가' 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