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수학/과학
· ISBN : 9788989683667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2-04-30
책 소개
목차
1장 비대면의 새로운 시작
불가능이 가져온 가능성 / 청년기업과 함께 / 제페토 with “대한민국 청소년박람회” /
메타버스와 두 번째 만남 이프랜드 / 메타버스 공부하는 청소년지도사 모임 /
메타버스 활용 MOU와 사례 홍보 / 비대면 국제교류의 달 11월 (G.P.S)
메타버스와 세 번째 만남, 게더타운
2장 제페토 ‘사이판’ 이야기
청소년박람회에 버스를 타고 간다고? / 제페토로 수련관을 만들어 준다고?
청소년들이 얼마나 오려나 / 다음에는 메타버스를 어떻게 활용할까?
3장 게더타운 VS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활동
히키코모리를 게더타운으로 / 메타버스로 글로벌 상담을! /
메타버스, 이것이 문제네 / 게더타운 덕분에 TV에 /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에도 게더타운이 / 우당탕탕 게더타운 적응기 /
방 탈출 게임 in 게더타운
4장 락다운 이프랜드 청소년활동
사고처럼 다가온 비대면 청소년 어울림마당 / 이프랜드 기관 간 체육대회 /
이프랜드의 결정판, 부캐픽 / 이프랜드 실수 작품 / 내가 메타버스 강사?
5장 게더타운 & 이프랜드 청소년어울림마당
도전 한번 / 전국 최초 랜선 ‘부캐픽’ / 판교청소년수련관 사람들 /
오징어게임 넌 뭐니? / 성남시청소년어울림마당이라는 브랜드
6장 비대면을 거쳐 메타버스까지
성남시 청소년 생태·환경 활동 리더 / ‘P4G 행사’에 청소년의 목소리를 담다 /
8개 시도 청소년기후환경정책연대의 시작! / 미래세대 대표가 된 생태탐사단 수피아 /
메타버스로 협약식 맺어보기 / 메타버스 ‘환경페어’ /
메타버스 행사는 쉽지 않다 / 게더타운 축제장을 생중계로
7장 비대면 국제교류 ‘끝판왕’
비대면으로 국제교류 시작하기 / 국제교류인데 한국어로? /
외국인 모집과 면접은 어떻게? / Welcome to 성남, 시작합니다 /
성공과 실수를 함께하는 국제교류 / 이것이 성남 9경하기 /
국제교류 행사의 마무리 / 앞으로의 ‘Welcome To 성남’
8장 메타버스 청소년 토크 콘서트
코로나 펜데믹 속 청소년 / 메타버스 토론회라니! /
메타버스 × 토크 콘서트? / 청소년이 기대하는 메타버스 세상은? /
메타버스, 이렇게 타보면 어때요?
9장 메타버스 비대면 매뉴얼 제작
비대면 매뉴얼을 만들어보자 / 메타버스 매뉴얼 제작 과정 /
매뉴얼에 대한 성과
10장 메타버스 비대면과 청년활동
비대면, 메타버스 행사의 첫 발걸음 / 비대면 행사 준비는 이렇게! /
같은 듯 다른 메타버스 / 청년 메타버스 활동 / 청년기업과 메타버스
11장 메타버스 월례교육 사례
이런 점이 달라요 / 진행이 어려워요!
12장 메타버스 행사 MC의 조언
메타버스를 향한 첫걸음 / 메타버스 MC의 역할 / 이런 기획 추천합니다
13장 메타버스 청소년활동의 향후 전망
청소년 환경 운동가가 바라보는 메타버스 / MZ세대 청소년지도사가 바라는 메타버스 /
30대 청소년지도사가 바라본 메타버스는? / 상담전문가가 말하는 메타버스 활용 방향
저자소개
책속에서
대면 축제처럼 북적북적한 느낌을 내기 위해 실시간으로 시민과 소통하며 운영하기로 결정한 것이다.축제 당일에 참가 신청자들이 게더타운 내 축제장으로 입장하여 체험 물품을 함께 만들기로 했다. 예능 프로그램 <빽파더>에서 참가자들이 웹캠을 켜고 MC의 설명에 따라 동시에 요리를 진행하는 모습을 보았다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현장 축제라면, 현장에서 신청자를 받아 만들기를 하고 보내면 될 일이다. 그러나 메타버스 축제에는 사전에 참가자 모집하고 그 참가자에게 물품 배부하고, 게더타운 입장 및 참가 방법을 상세히 알려야 하는 사전 활동이 추가된다. 온라인 축제가 현장 축제보다 준비할 일이 더 많다는 푸념이 나오는 이유이다.(중략)
메타버스 플랫폼 중에 가장 활용도 높은 2가지를 소개하자면, 먼저 이프랜드는 비주얼이 예쁘고 캐릭터들의 움직임이 자연스러워서 현재 청소년 프로그램 중에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이프랜드의 주 사용층은 10대와 20대이다.메타버스 플랫폼 중에서 게더타운은 알아갈수록 활용도 높은 플랫폼이다. 기능이 다양하고 미국에 서버가 있어서 국제교류 사업에 적합한 플랫폼이다. 주 사용층은 30~40대이지만, 게더타운은 학교원격수업에 적합하고, 청소년수련시설들이 사용하기 좋은 플랫폼이니 청소년시설에 근무하시는 분들은 꼭 게더타운을 배워보시기 바란다.각각의 플랫폼마다 장점과 단점이 있으니, 앞으로 일상생활이나 청소년사업에서 많이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익숙해질 때까지 사용해본 뒤, 여러 플랫폼을 섞어 사용해보면 그 효과의 시너지는 극대화될 것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