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문학
· ISBN : 9788989847304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04-08-02
책 소개
목차
1. 구도의 길
수행 ㅣ 마음을 씻고 욕심을 버리는 길
안거 ㅣ 90일간의 수양 정진
해제 ㅣ 바랑 하나 짊어지고 떠나는 자유
이운 ㅣ 부처님 이사하는 날
사경 ㅣ 글자 하나에 절 세 번
장좌불와 ㅣ 자지도 눕지도 마라
출가 ㅣ 진정한 대장부만이 걷는 길
울력 ㅣ 노동을 통한 수행
공덕 ㅣ 참 공덕은 나를 잊는 것
마음 ㅣ 본디 비어 있는 것
계율 ㅣ 참된 항심을 위한 다짐
믿음 ㅣ 구원에 이르는 길
염불 ㅣ 열 가지 공덕을 부르는 소리
욕망 ㅣ 고통과 불행의 씨앗
사문 ㅣ 세속의 욕망을 다 버린 수행자
수희 ㅣ 함께 기뻐하는 마음
과보 ㅣ 죄도 복도 내게 매인 것
형이상학 ㅣ 관념의 유희
2. 공간에 담긴 정신
절 ㅣ 땅 위에 여린 부처님 세상
해탈교 ㅣ 피안의 세계로 건너는 다리
일주문 ㅣ 부처님의 세계로 들어서는 문
사천왕 ㅣ 천하 불국토를 수호하는 천신
대웅전 ㅣ 우주의 중심
불보살 ㅣ 그 이름에 담긴 뜻
도량석 ㅣ 새벽을 여는 심연의 소리
불전사물 ㅣ 중생을 건지는 깨달음의 소리
산신각 ㅣ 민간 신앙의 흔적
관세음보살 ㅣ 천 개의 손과 눈을 지닌 자비의 상징
풍경 ㅣ 자연을 닮은 소리
장대석 ㅣ 아무나 쓸 수 없었던 주춧돌
단청 ㅣ 옛 문양의 미학
복장 ㅣ 불상 속에 든 보물
3. 생활 속의 하심
용상방 ㅣ 소임 나누기
청산백운 ㅣ 사바세계의 여행객
가사 ㅣ 무명 가사 풀 먹이기
삭발 ㅣ 마음밭의 잡초 베기
발우 공양 ㅣ 부처님의 식사법
공양 ㅣ 깨달음을 위한 식사
다도 ㅣ 첫 차를 올리는 마음
탁발 ㅣ 빌어먹는 게 부처님 집안 전통
해우소 ㅣ 근심을 푸는 곳
다비 ㅣ 자유로 돌아가는 마지막 의식
사리 ㅣ 마음에 박힌 알
4. 불화로 본 부처님의 일생
십우도 ㅣ 진리의 소를 찾아서
괘불 ㅣ 괘불을 내거니 야단법석일세
전생 ㅣ 깨달음을 얻으리라는 예언을 받다
도솔래의 ㅣ 도솔찬에서 선정에 들다
비람강생 ㅣ 옆구리에서 태어나다
사문유관 ㅣ 생의 괴로움을 목격하다
유성출가 ㅣ 성벽을 넘어 출가하다
설산수행 ㅣ 눈 덮인 산에서 지독한 고행을 하다
수하항마 ㅣ 욕망을 이기고 깨달음을 얻다
녹원전법 ㅣ 최초로 가르침을 펴다
쌍림열반 ㅣ 모든 번뇌를 다하다
5. 불교의 세계관
대장경 ㅣ 진리의 바다
아함부경전 ㅣ 최초의 경전
금강경 ㅣ 경전 중의 경전
대중공사 ㅣ 절대 평등의 정신
게송 ㅣ 진흙 속에 핀 연꽃의 노래
유심론 ㅣ 내 마음이 곧 부처
자유의지 ㅣ 세계는 나의 책임
법륜 ㅣ 진리의 수레바퀴
참회 ㅣ 자비를 구하는 일
응공 ㅣ 부처님이 중생의 공양을 받는 이유
신통력 ㅣ 내면에서 솟아나는 불성의 능력
불상 ㅣ 진정한 부처의 형상은 깨달음 그 자체
법신 ㅣ 깨달은 존재로서의 부처
석조 ㅣ 모든 것은 마음이 지어내는 조화
배례석 ㅣ 깨달음으로 가는 자리
갈망 ㅣ 잠 못 이루는 사람에게 밤은 길기만 한 것
천도재 ㅣ 더 나은 생을 기원하는 의식
서원 ㅣ 중생을 향한 연민
저자소개
책속에서
발우 공양은 부처님의 식사법이다. 부처님이 떠오르는 샛별을 보고 깨달음을 얻자 수미산의 동서남북을 지키는 사천왕이 부처님에게 공양을 올리고자 했다. 그때 공양받을 그릇이 없어 사천왕이 돌그릇을 각기 하나씩 부처님에게 드렸고, 부처님은 이 발우 네 개를 서로 겹쳐 포개어 사용하셨다. 그후 모든 불제자들도 부처님처럼 네 개의 발우를 사용하는 전통을 지킨다.
부처님의 식사법이라고 해서 복잡하거나 화려하지 않다. 발우 공양은 아주 단순한 식사법이다. 크고 작은 네 개의 그릇에 밥.국.반찬. 물을 자기가 먹을 만큼만 받아서 먹는다. 또 먹은 후에는 그 자리에서 씻어 버린다. 따로 음식 찌꺼기가 나오지 않으니 환경 문제도 없고, 바로 씻어 깨끗하게 하니 위생 문제도 걱정 없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