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소설가 심석구의 절집 기행

소설가 심석구의 절집 기행

(명찰에 묻어나는 고승들의 향기)

심석구 (지은이)
스테디북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0개 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소설가 심석구의 절집 기행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소설가 심석구의 절집 기행 (명찰에 묻어나는 고승들의 향기)
· 분류 : 국내도서 > 여행 > 국내 여행에세이
· ISBN : 9788989853251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08-05-22

책 소개

절을 찾는 사람들을 위한 여행안내서가 아니라, 소설가 심구가 배낭 하나를 걸머메고 절집을 찾아다니면서 고승들의 삶을 되돌아보는 에세이다. 500년대와 서기 2000년대의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함께 어울리고, 지나간 세상을 바라보며 현재를 되돌아보게 하는 사색이 담겨 있다.

목차

1. 하늘에서 꽃비 내리고, 흰 피가 솟구치니 더욱 다정하구나
소금강산 백률사(栢栗寺) - 경상북도 경주시 동천동
신라 최초의 순교자 이차돈 (異次頓, 506~527)
2. 모든 것에 걸림이 없는 사람이라야 한 길에서 나고 죽음을 벗어나노라.
봉화산 수도사(修道寺) - 경기도 평택시 포승면 원정7리
무애행(無碍行)과 이타자비행(利他慈悲行) 원효(元曉, 617~686)
3. 못물이나 강물을 마실 수 없으면서, 어찌 큰 바다를 삼키겠는가
조계산 선암사(仙巖寺) 대각암(大覺庵)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대장경 간행으로 일관된 삶 대각국사 의천(義天, 1055~1101)
4. 선은 고요한 곳에도 있지 않고, 시끄러운 곳에도 있지 않으며,
조계산 송광사(松廣寺)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돈오점수와 정혜결사의 횃불 보조(普照) 지눌(知訥 1158~1210)
5. 더듬이 끝에 ‘無’ 하나를 앞세우고 가는 달팽이
속리산 법주사(法住寺) - 충청북도 보은군 내속리면 사내리
한국 불교 선종의 중흥조 태고((太古) 보우(普愚, 1301~1382)
6. 가는 것은 어렵지 않네 내, 아주 감세
봉미산 신륵사(神勒寺) - 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천송리
고려 말 비운의 선지식(善知識) 나옹(懶翁, 1329~1376)
7. 연꽃과 같이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바다 위에 핀 연꽃 한 송이.
간월도 간월암(看月庵) -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리
조선 건국의 정신적 스승 무학(無學, 1327~1405)
8. 차 한 잔 들게나그려
두륜산 대흥사(大興寺)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다선일미의 은자 초의(草衣, 1786-1866)
9. 아침에 우짖는 까치, 부처의 소리를 토하는구나
덕숭산 수덕사(修德寺)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근대 선불교의 중흥조 만공 월면((滿空 月面 , 1871~1946)
10. 눈이 저렇게 오니 풍년이 들겠구나
백암산 백양사(白羊寺) -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선농일여(禪農一如)의 청정비구 선승 만암(曼庵)
11. 아아 님은 갔지만은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 하였습니다
설악산 오세암(五歲庵) - 강원 인제군 북면 용대리
젊은 불교의 기수 만해(卍海) 한용운 (1879~1944)

저자소개

심석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 성동구 신당동 80-21번지에서 나다 영미다리(말 듣지 않는 아이를 주워 왔다는. 모든 아이들은 고아였다), 텔레비전 딱지, 박치기왕 김일과 권투왕 김기수, ‘우리는 민족중흥의……’ 국민교육헌장 외우기, 서울소재 중학교 무시험전형-뺑뺑이, 청계천변 헌책방 어슬렁거리다, 이소룡과 오드리 햅번에 매혹되다. 교련복과 제식훈련, 삼일로 창고극장, 추송웅 빨간 피터의 고백, 밤을 잊은 그대에게, 종로서적, 비원 돌담길 새점(占) 서울예전 문창과, 최인훈 선생 『광장』, 프레리 페다고지, 강만길 분단시대의 현실인식, 아 광주! 유비-통신의 진정성, 안경 너머 시린 눈의 오규원 선생. 잡지사와 출판사를 전전하며 밥 먹다, 구파발 지나 용두리 셋집 초등학교 동기동창과 신혼살림 차리다 결혼 초에 썼던 중편소설을 투고한 아내 덕으로 등단(『문학과사회』1993, 여름호, 「몽유병에 걸린 하수구 구멍」), 서울예전 문창과에서 「소설창작특강 I, II」로 사기 치다(미완이기 때문에, 소설쓰기는 계속된다. 최고의 작품은, 아직 쓰지 않은 내 안의 소설), 「변명, 혹은 오해, 그리고 반향과 혼란과」(중편소설) 등을 발표하다 불혹인데, 유혹의 손길에 몸이 타다, 중편소설집『틈을 위한 변주』(문학과지성사)를 내다, 『불광』에 엽편소설 「말(馬처)럼 뛰는 말(言) 생각하기」(박꽃 시간에 뜬 달맞이꽃 두 송이, 수박씨와 아버지, 그때 그 시절을 아시는지, 극쫑, 틀니 끝에 매달린 저녁 식사, 삶은 감자 한 알 등) 연재,「당신의 눈 속에 숨은 당신을 위하여」,「두 대의 버스가, 나란히 질주하는」,「풍경이 밀어낸 자리」등을 발표, 서울예대 문창과 강의를 그만두다(14년 시간과 젊음(?)을 소진하다) 그래, 하늘이 뭐라시던(知天命)? 마당 풀 뽑기로 시작하는 봄날 아침은 변함없고, 텃밭 소출은 품값도 못되는데, 생계와 무관한 소설 쓰기와 노자 읽기로 시간 죽이며, 아내와 거세종 슈나우저 나무와 산다
펼치기

책속에서

경사진 길을 오른다. 선암사 대웅전을 배관하고, 경내를 둘러보고 난 뒤에 오를까 망설이다, 대각암을 향한다. 어서, 대각국사의 부도사리탑을 보고 싶은 마음이 앞선다. 어긋난 법도를 탓 한다면, 감수해야 할 밖에, 딱히 다른 도리가 없을 성싶다. 그저, 가는 사람 붙잡지 않고, 오는 사람 막지 않는다는 불가의 오랜 묵계에 기대고 싶을 뿐. (90쪽, '못물이나 강물을 마실 수 없으면서, 어찌 큰 바다를 삼키겠는가'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