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한의학
· ISBN : 9788990828972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20-10-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_ 경락
경락이란
경락과 경혈
음양과 경락
몸의 음양과 경락
팔과 다리의 음양과 경락
우리가 꼭 알아야 할 경락
혈자리 찾는 법
1) 골도법 / 2) 동신촌법
임맥과 독맥에서 반드시 외워야 할 혈자리
1) 임맥(任脈) / 2) 독맥(督脈)
12정경에서 반드시 외워야 할 혈자리
1)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 / 2)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
3)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 4)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
5) 수소음심경(手少陰心經) / 6) 수태양소장경(手太陽小腸經)
7)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 8)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
9) 수궐음심포경(手厥陰心包經) / 10) 수소양삼초경(手少陽三焦經)
11)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 / 12)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종합편
1) 기준선을 중심으로 한 머리 부위의 혈
2) 기준선을 중심으로 한 가슴과 배 부위의 혈
3) 기준선을 중심으로 한 등 부위의 혈
4) 손 부위의 혈 / 5) 다리 부위의 혈
경락들의 관계
1) 부부 관계 / 2) 형제 관계 / 3) 이웃 관계 / 5) 친구 관계
하나의 혈만으로
2부_ 은단침
은단침이란
아픈 곳의 반대편을 자극하여 치료하는 방법 세 가지
옆으로 대응법
1) 테니스 엘보 증상으로 오른쪽 팔꿈치 부위가 아플 때
2) 왼발 엄지발가락 아랫부분 통풍으로 고생할 때
위아래 대응법
1) 미주알이 빠질 때
2) 머리 윗부분에 열이 나면서 머리카락이 빠질 때
앞뒤 대응법
1) 신경을 많이 써서 뒷목이 자주 아플 때
2) 발뒤꿈치가 갈라질 때 / 3) 젖몸살이 있거나 젖이 부족할 때
손과 발의 혈로 얼굴과 몸의 병을 치료하는 방법 네 가지
손 몸 바른 대응법
1) 소변을 참지 못하고 흘릴 때
2) 냉증, 생리통, 생리불순
3) 허리가 아플 때
손 몸 거꾸로 대응법
1) 눈 떨림, 치통, 코막힘 등 얼굴 부위에 생긴 병
2) 감기나 몸살 기운으로 목 뒤에서 등까지 아플 때
3) 화(火)병
발 몸 바른 대응법
1) 치질 / 2) 아랫배가 아픈 여성 / 3) 복상사
발 몸 거꾸로 대응법
1) 어깨가 딱딱하게 굳어 있거나 아플 때
2) 체하거나 코가 막혔을 때, 가슴이 답답할 때, 생리통이 심할 때
3) 얼굴 부위가 떨리는 긴장성 경련
4) 머리가 아플 때
3부_ 약손
약손 쓰기의 세 가지 수칙
약손의 기본형식
1) 손얹기 / 2) 짚어주기 / 3) 쓸어주기
4) 주물러주기 / 5) 움직여주기
다섯 가지 약손 더 자세히 살펴보기
손얹기
1) 손얹기의 효과 / 2) 손얹기의 방법
짚어주기
1) 짚어주기의 효과 / 2) 짚어주기의 유형
3) 걸음마식 짚어주기 / 4) 걸음마식 덮어짚기 연습 / 5) 걸음마식 잡아짚기 연습
쓸어주기
1) 쓸어주기의 효과 / 2) 쓸어주기의 유형
주물러주기
1) 주물러주기의 효과 / 2) 주물러주기의 유형
움직여주기
1) 움직여주기의 효과 / 2) 움직여주기의 유형
12경락 늘여펴기
수태음폐경 / 수양명대장경
1) 기본자세 / 2) 수태음폐경 / 3) 수양명대장경
족양명위경 / 족태음비경
1) 기본자세 / 2) 족양명위경 / 3) 족태음비경
수소음심경 / 수태양소장경
1) 기본자세 / 2) 수소음심경 / 3) 수태양소장경
족태양방광경 / 족소음신경
1) 기본자세 / 2) 족태양방광경 / 3) 족소음신경
수궐음심포경 / 수소양삼초경
1) 기본자세 / 2) 수궐음심포경 / 3) 수소양삼초경
족소양담경 / 족궐음간경
1) 기본자세 / 2) 족소양담경 / 3) 족궐음간경
여러 자세에서 약손 쓰기
엎드려 누운 자세에서 약손 쓰기
1) 발목과 종아리 / 2) 넓적다리 뒤쪽과 엉덩이 / 3) 등허리와 어깻죽지
4) 뒷머리, 어깨, 등줄기 / 5) 왼쪽 허리, 엉덩이, 다리 뒤쪽 / 6) 왼다리 바깥쪽
7) 오른다리 뒤쪽 / 8) 왼다리 뒤쪽 / 9) 오른쪽 허리, 엉덩이, 다리 뒤쪽, 바깥쪽
10) 엎드려 누운 자세에서 움직여주기
앉은 자세에서 약손 쓰기
1) 어깨와 목 / 2) 팔과 손 / 3) 앉은 자세에서 움직여주기
바로 누운 자세에서 약손 쓰기
1) 머리와 얼굴 / 2) 목과 어깨, 가슴 / 3) 팔과 손 / 4) 배 / 5) 넓적다리 앞쪽
6) 오른다리 바깥쪽 / 7) 왼다리 안쪽 / 8) 오른다리 안쪽 / 9) 왼다리 바깥쪽
10) 발 주무르기 / 11) 바로 누운 자세에서 움직여주기
모로 누운 자세에서 약손 쓰기
1) 머리와 목 / 2) 어깨와 팔
3) 옆구리와 엉덩이, 다리 바깥쪽
저자소개
책속에서
팔뚝을 예로 들면 팔뚝 길이가 긴 사람이든 짧은 사람이든 각자 자기 팔뚝 길이를 12등분 하고, 등분된 한 칸의 길이를 1촌으로 정한다. 이렇게 하면 팔뚝 길이가 긴 사람의 1촌은 조금 길 것이고, 짧은 사람의 1촌은 조금 짧을 것이다. 따라서 골도법을 기준으로 한다면 각자에게 맞는 자를 적용하는 것이니 자기 몸에서 정확한 혈자리를 찾을 수 있다. 참고로 배꼽에서 회음혈까지는 누구라도 5촌이다. 유치원 아이도 5촌이고, 키가 2미터 가까이 되는 농구 선수도 그 부위는 5촌이다.
서울을 출입하기 위해서는 관문인 남대문, 동대문을 통과해야 한다. 몸에서도 관문이 4개가 있으니 합곡혈과 태충혈이 그것이다. 문은 들고 나는 곳이기 때문에 막혔을 때 열어두면 막힌 것이 해소된다. 사관혈도 체하거나 갑자기 기가 막힐 때 많이 쓴다. 볼펜 굵기만큼 두꺼운 침을 사용했던 옛날에는 임산부에게는 금했다. 태아에게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요즘은 바늘 같은 침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럴 일은 생기지 않겠지만 알고 있어야 한다. 다이어트 침법을 조사해 보면 사관혈은 반드시 포함되어 있다.
이론적으로는 몸통 맨 아래에 있는 회음혈로 머리의 열을 내릴 수 있는데 그 자리는 은단침을 놓기 힘든 자리이니 발의 맨 아래에 있는 용천혈로 대신한다. 용천혈은 화를 습관적으로 내는 사람이나 고혈압 증상이 있는 사람에게도 효과가 있으며, 치매 예방에도 좋다. 용천혈에 은단을 붙여서 자주 손으로 눌러주어 자극을 주는 것도 좋지만 크기가 은단보다 훨씬 큰 ‘껍질이 있는 율무 씨앗’을 붙이고 걷는 것이 더 효과가 있다. 노인 환자들에게 권한 적이 있는데 효과가 기대 이상으로 좋아 한의원에서 준비한 율무 씨가 바닥날 정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