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90840455
· 쪽수 : 1020쪽
· 출판일 : 2018-06-1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_ 화엄의 숲길을 걸으며
제1장 『화엄경』의 성립과 전래
제1절 『화엄경』의 성립 배경
제2절 『화엄경』 현존 문헌
제3절 『화엄경』의 명칭과 그 해석
제4절 80권본 『화엄경』 6회 26품의 개요
제2장 화엄의 불신론과 세계관
제1절 불신(佛身)의 개관
1. 불신론(佛身論)의 정의
2. 제 경론에서의 불신론
제2절 화엄 십신불
1. 『화엄경』에서의 불신론
2. 화엄교학의 불신론
3. 화엄 견불의(見佛義)
제3절 여래 10종 광명
1. 지상법회(地上法會)의 방광(放光)
2. 천상법회(天上法會)의 방광
제4절 여래출현과 성기법문
1. 여래출현과 여래장의 문제
2. ‘성기’의 번역어 및 용어 검토
3. 「여래출현품」의 내용
4. 성기사상의 성립
5. 법장의 정리
6. 「성기품」 주요 경문(60권본과 80권본 비교)
제5절 세계성취와 화장세계
1. 우주의 성립과 『화엄경』 「세계성취품」
2. ‘여래의 신력’으로 성취된 다중우주
3. 중생의 행업과 우주 환경의 문제
4. 보현행원과 ‘위대한 설계’
5. 화장세계의 광경
6. 화장세계의 의미
제3장 화엄 선지식론
제1절 보살 선지식
1. 보현보살
2. 문수보살
3. 관자재보살
제2절 비구와 비구니 선지식
1. 덕운비구 선지식의 법문
2. 해운비구 선지식의 법문
3. 선주비구 선지식의 법문
4. 해당비구 선지식의 법문
5. 선견비구 선지식의 법문
6. 사자빈신비구니 설법
제3절 신중 선지식
1. 다양한 신(神)의 개념
2. 화엄신중의 위상과 그 역할
3. 선지식 신중의 위상과 그 역할
제4절 여성 선지식
제5절 53선지식의 명칭과 법문
제4장 화엄 기본 교의
제1절 화엄 분과설과 종취 및 교판
1. 화엄의 분과설
2. 화엄의 종취설
3. 화엄의 교판설
제2절 화엄 삼매의
1. 각 회의 대표 삼매
2. 『입법계품』의 1백 삼매
3. 해인삼매의 위상
4. 「십정품」의 10종 삼매
제3절 화엄 유심의
1. 「야마천궁보살설게품」의 유심
2. 「십지품」 제6 현전지의 유심
3. ‘삼계유심’의 주석
4. 10중 유식의 창안
5. 10중 유식의 연기적 의미
6. 법장 이후의 10중 유식의 전개
제4절 화엄 법계의
1. ‘법(法)’의 의미
2. 존재 일반으로서의 연기법
3. 보편적 이법(理法)으로서의 법 개념
4. ‘계(界)’의 의미에 대한 탐구
5. ‘법계(法界)’에 대한 정의
6. 화엄교학에 있어서 ‘법계’의 의미
제5장 화엄 원융교의
제1절 육상원융의
1. 육상원융의 전거
2. 육상원융의 의의
제2절 십현연기 무애법문
1. 십현문의 창안
2. 각 문헌에서의 십현문
3. 십현문의 해석
4. 법장의 법계연기 사상
제3절 연기인문육의
1. 연기인문육의의 연원
2. 연기인문육의의 해석
제4절 삼성원융의
1. 유식의 삼성설
2. 유식사상의 삼성과 삼무성
3. 화엄의 삼성 육의의(六義義)
제5절 원융과 상즉의 관계
1. 화엄 원융의 의미
2. 상즉의 논리적 구조
3. 상즉의 사상적 전개
제6절 삼성원융관문
1. 『삼성원융관문(三聖圓融觀門)』의 문헌적 특징
2. 『삼성원융관문』 과문
3. 문수와 보현의 역할
4. 비로자나법계
5. 삼성과 법성의 원융
제6장 화엄 수행론
제1절 공관과 공행
1. 반야 공관
2. 화엄 공행
3. 화엄 공관의 전개
제2절 화엄 보리심론
1. 발보리심 경문
2. 「입법계품」의 보리심 법문
제3절 화엄 신심론(信心論)
1. 화엄의 ‘신(信)’의 용례
2. 「십지품」에서의 신(信)의 의미
3. 한역 『화엄경』 각 품에서의 신(信)의 용례
4. 화엄교학에서의 ‘신(信)’에 대한 해석
제4절 화엄 계학
1. 계학과 관련된 화엄경류
2. 『화엄경』 관련 경전의 계학
3. 화엄경류 계학의 특성
4. 삼취정계의 내용
5. 화엄계학의 사상적 특성
부록
1. 각 품의 품명 비교표
2. 5주(周) 인과 도표
3. 「이세간품」의 2천 행문
4. 범본 『화엄경』 「입법계품」의 구성과 53선지식 법문
5. 화엄 광명에 대한 주석
6. 『법계안립도』
7. 대승의 세계관
8. 법성게(法性偈)
9. 화엄경약찬게(華嚴經略纂偈)
10. 보살 수행계위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