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세무/재무/회계
· ISBN : 9788990856289
· 쪽수 : 246쪽
· 출판일 : 2008-05-23
책 소개
목차
1. 왜 원가계산이 필요한가?
1. 원가를 모른다면, 물건은 팔 수 없다
2. 기업의 이익과 원가
3. 원가의 신기함 - 100엔 숍의 장치 (1)
4. 원가의 신기함 - 100엔 숍의 장치 (2)
5. 업종별로 보는 원가
6. 비용과 원가의 손실
7. 코스트관리, 원가관리는 비즈니스의 기본
컬럼 어느 지인과의 대화(전편)
2. 원가의 구조를 알자
1. 지출은 모두 그 해의 원가일까?
2. 다음 해에 이월되는 원가 (지출)의 B/S표시
3. 전분기 말의 제품을 다당분기에 판매한다면?
4. 원가의 3요소 (1) - 재료비
5. 원가의 3요소 (2) - 노무비
6. 원가의 3요소 (3) - 경비
7. 외주가공비
8. 회사의 기능과 원가의 관계
9. 영업비용의 분류와 관리 방법 (1)
10. 영업비용의 분류와 관리 방법 (2)
컬럼 원유가격의 상승은 계산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3. 원가계산 절차의 개요를 알자
1. 원가계산은 왜 필요한 것일까?
2. 원가계산의 목적
3. 원가에서 판매 가격을 정하는 길잡이
4. 원가계산의 성립 과정
5. 원가계산의 구조와 경영 목적
6.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
7. 원가계산을 하기 위한 기본 규칙서
8. 원가계산의 순서
9. 재료의 소비금액 계산 (1) - 지출 수량의 계산
10. 재료의 소비금액 계산 (2) - 지출 단가의 결정
11. 재료의 소비금액 계산 (3) - 분실, 도난 등
12. 노무비의 소비금액 계산 (1) - 직접공의 임금
13. 노무비의 소비금액 계산 (2) - 임률의 종류
14. 노무비의 소비금액 계산 (3) - 지급액과의 다른 점
15. 제조간접비의 간단한 계산 사례
컬럼 어느 지인과의 대화(중편)
4. 제조간접비의 기초 지식
1. 제조간접비의 분류
2. 감가상각비의 기초 지식
3. 부문별 제조간접비의 집계
4. 제조부문의 설정기준
5. 제조간접비 배부계산의 수순
6. 제조간접비의 실제배부계산 (1)
7. 제조간접비의 실제배부계산 (2)
8. 제조간접비의 정상배부계산
9. 정상배부금액과 실제발생금액의 차이
10. 예산관리 입문 지식
11. 변동예산
12. 고정예산
13. 변동예산에 의한 예산 차이
14. 고정예산에 의한 예산 차이
15. 변동예산에 의한 조업도 차이
16. 고정예산에 의한 조업도 차이
17. 예산 차이와 조업도 차이의 정리
18. 조업도의 종류
컬럼 어느 지인과의 대화(후편)
5. 각 제품마다의 원가계산
1. 제품별로 원가를 집계하는 의미
2. 개별원가 계산
3. 공손이 있을 때의 처리 - 개별원가계산
4. 종합원가계산이란?
5. 종합원가계산의 종류
6. 재공품의 계산 (1) - 직접재료비
7. 재공품의 계산 (2) - 가공비
8. 재공품의 계산 (3) - 계산과 표시의 정리
9. 재공품의 계산 (4) - 월초에 재공품이 있는 경우
10. 단순종합계산의 기초 지식
11. 등급별 종합원가계산의 기초 지식
12. 조별 종합원가계산의 기초 지식
13. 공정별 종합원가계산
컬럼 활동기준원가계산(Activity - Based - Costing) 이란?
6. 표준원가계산의 기초 지식
1. 표준원가계산이란?
2. 표준원가계산의 목적
3. 표준원가계산 절차의 흐름
4. 원가표준의 설정 (1) - 직접재료비
5. 원가표준의 설정 (2) - 직접노무비
6. 원가표준의 설정 (3) - 제조간접비표준
7. 원가 차이를 구하는 방법
8. 직접재료비 차이의 분석
9. 직접노무비 차이의 분석
10. 제조간접비의 예산 차이, 조업도 차이
11. 제조간접비의 능률 차이
12. 원가 차이의 회계처리
7. 직접원가계산의 기초 지식
1. 직접원가계산과 전부원가계산의 다른 점
2. 변동비와 고정비의 분류
3. 전부원가계산제도의 문제점
4. 직접원가계산의 특징
5. 직접원가계산의 손익계산서
6. 손익분기점이란?
7. 손익분기점 분석의 응용 (1)
8. 손익분기점 분석의 응용 (2)
9. 안전한계율
10. 손익분기점비율
11. 직접표준원가계산
8. 의사결정과 원가 계산
1. 의사결정의 의미와 수순
2. 의사결정의 종류
3. 전술적 의사결정의 사례(1)
4. 전술적 의사결정의 사례(2)
5. 전략적 의사결정의 투자안 평가방법
6. 화폐의 시간가치
7. 주요부분현재가치법에 의한 투자안의 평가
8. 의사결정에 의한 원가개념
책속에서
1. 회사의 기능과 원가의 관계
원가란 경영 목적을 위해 소비한 가치를 뜻한다. 예를 들어 제품의 제조활동에 들어간 비용을 '제조원가'라 한다. 그 안에는 크게 '재료비', '노무비, '경비'의 3가지가 있다는 얘기는 앞 장에서 봤다.
언뜻 보면 이것들은 기본적으로 공장에서 소비한 비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어떤 비용이 발생했을 때 그 발생 장소가 어디인가를 머릿속에 떠올리고 원가계산을 생각한다면 아주 유효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본문 46p 중에서
2. 원유가격의 상승은 계산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원유의 오른 가격을, 판매 가격에 전가할 수 없다면 매출액은 변함이 없겠지만, 제품 중 원유를 원료로 쓰는 화학약품이 포함돼 있으면 재료비의 원가요소는 아주 높은 고액이 되기 때문에 당연히 매출원가는 크게 오르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매출총이익은 크게 줄어들게 된다. 기업의 가장 중요한 요점은, 이익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에 있기 때문에 그 피해가 크다.-본문 53p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