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88990926203
· 쪽수 : 383쪽
· 출판일 : 2006-04-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Chapter 1 경매절차 1(개요에서 매각준비까지)
01 경매란?
02 임의경매와 강제경매의 차이점
03 신법과 구법의 구분
04 이중경매란?
05 좋은 경매물건이란?
06 좋은 경매물건 고르는 방법
07 경매에 나온 부동산은 모두 형편없는 것인가?
08 경매를 하면 큰돈을 벌 수 있나요?
09 경매로 나온 부동산은 팔 수 없나요?
10 이해관계인이란?
11 경매에 참여할 수 없는 자
12 경매 컨설팅을 할 수 있는 자는?
13 미등기 건물의 경매신청 방법
Chapter 2 경매절차 2(입찰)
14 입찰 전 준비사항
15 입찰 시 준비서류
16 경매기록 열람방법
17 경매법정 게시판 보는 방법
18 입찰보증금
19 경매보증보험증권
20 대리입찰
21 공동입찰
22 외국인 및 재외동포의 입찰
23 제시외와 입찰외의 구분
24 공유자우선매수권
25 임대주택임차인의 우선매수권
26 차순위 매수신고
27 무잉여 경매
Chapter 3 경매절차 3(낙찰에서 배당까지)
28 낙찰부터 배당까지의 절차
29 배당요구의 철회
30 낙찰 불허가
31 항고 및 항고보증금
32 대위변제
33 농지취득자격증명
34 경매 취소 및 취하
35 대금납부기한
36 특별한 대금납부 방법
37 배당순위
38 채권자가 배당기일에 출석하지 않을 경우
39 소액임차인이 배당요구를 하지 않을 경우
40 배당하고 남은 금액의 처리
Chapter 4 4 경매철차 4(완전한 내집 만들기 / 인도.명도)
41 인도명령신청
42 인도명령신청 대상자
43 부동산 점유이전금지가처분 신청
44 명도소송 대상자
45 소유자가 행방불명되었을 경우
46 경매기록에 없던 세입자가 출현한 경우
47 체납관리비
48 강제집행
49 강제집행비용 회수방법
50 배당기일 전에도 강제집행이 가능한가?
51 외국인에 대한 강제집행
52 강제집행 후 임차인이 재침입했을 경우
53 관리명령
54 미등기 전매가 가능한가?
Chapter 5 경매의 핵심, 권리분석
55 말소기준권리
56 인수주의
57 유치권
58 비용상환청구권
59 법정지상권
60 지상권자에 대한 지료의 청구
61 분묘지상권
62 예고등기
63 가등기와 가처분
64 토지 별도등기
Chapter 6 주택임대차보호법 정복하기
65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적용범위
66 주택임대차보호대상(무허가건물)
67 대가구주택의 전입신고
68 다세대주택의 전입신고
69 아파트 명칭이 누락되었을 경우
70 공무원의 착오에 의한 전입신고
71 특수주소 변경
72 임대차내역 확인 방법
73 세대 열람
74 세대합가
75 임차인의 대항력 확인
76 전 소유자인 임차인의 대항력
77 대항력은 언제까지 유지해야 하는가?
78 세대원 중 일부의 주소지 이동
79 확정일자와 저당권의 순위
80 소액임차인
81 임차권 등기명령
Chapter 7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정복하기
82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의 적용 범위
83 대항력 등
84 우선변제권
85 최우선변제권(소액임차인)
부록
1. 민사집행법
2. 주택임대차보호법
3. 주택임대차보호법시행령
4.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5.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시행령
저자소개
책속에서
법원에 가기 전에는 입찰할 모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첫째, 권리분석이 정확하게 되어 있어야 합니다. 권리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법원의 매각물건명세서 및 등기부등본을 열람해보아야 합니다. 둘째, 물건분석을 해야 합니다. 물건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현장답사를 통해서 정확한 시세를 확인해야 하며, 동사무소를 방문하여 주민등록사항을 열람하여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입찰가격을 결정해야 합니다. - 본문 54~55p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