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역사

역사

헤로도토스 (지은이), 천병희 (옮긴이)
도서출판 숲
4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2,300원 -10% 0원
2,350원
39,9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1개 23,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45,000원 -10% 2250원 38,250원 >

책 이미지

역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역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88991290266
· 쪽수 : 994쪽
· 출판일 : 2009-02-10

책 소개

기원전 5세기에 집필된 인류 최초의 역사서 헤로도토스의 <역사> 그리스 라틴 문학 번역에서 국내 최고로 손꼽히는 천병희 단국대 명예교수의 번역이다. 헤로도토스가 다루는 <역사>의 시공간에는 동시대인이 경험하지 못한 세계, 믿어지지 않는 미지의 땅에 대한 기록이 담겨있다.

목차

옮긴이 서문 최초의 역사가이자 최초의 이야기꾼, 헤로도토스 / 5
일러두기 / 22


1권>
1-5장 서언. 헬라스인들과 비헬라스인들의 불화의 발단: 이오, 에우로페, 메데이아, 헬레네의 납치
6-94장 뤼디아 왕 크로이소스 이야기
6-28장 크로이소스의 가계(家系)
29-92장 크로이소스의 치세
29-33장: 솔론과 크로이소스
34-45장: 크로이소스의 아들 아튀스가 죽다
46-74장: 크로이소스의 페르시아 침공 준비와 배경. 아테나이와 스파르테에 대한 고찰 (56-68장)
75-86장: 페르시아 침공과 크로이소스의 패배
86-92장: 그 여파
93-94장 뤼디아인들의 관습
95-216장 퀴로스 이야기
95-107장 메디아 세력의 융성
108-130장 퀴로스의 탄생과 즉위
131-140장 페르시아인들의 관습
141-200장 퀴로스의 이오니아, 소아시아, 바뷜론 정복. 바뷜론인들의 관습(192-200장)
201-214장 퀴로스의 맛사게타이족 원정과 전사
215-216장 맛사게타이족의 관습

2권>
1장 캄뷔세스의 즉위와 아이귑토스 침공 결심
2-182장 아이귑토스
5-34장 아이귑토스의 지리와 나일 강
35-98장 아이귑토스인들의 관습과 종교
99-182장 아이귑토스의 역사

3권>
1-38장 캄뷔세스의 치세
1-3장 캄뷔세스가 아이귑토스를 공격한 이유
4-13장 캄뷔세스가 아이귑토스 정복에 성공하다
14-16장 캄뷔세스가 패배한 아이귑토스 왕과 아피스 성우(聖牛)를 모욕하다
17-26장 카르타고인들, 아이티오피아인들, 암몬인들에 대한 원정 실패
27-38장 캄뷔세스가 아이귑토스에서 가족(27-33장)과 다른 페르시아 요인들(34-38장)을 학대하다
39-60장 사모스 이야기. 스파르테인들이 사모스를 공격한 이유
39-43장 폴뤼크라테스의 행운과 반지 이야기
44-47장 망명한 사모스인들이 스파르테에 도움을 요청하다
48-53장 코린토스인들이 사모스 공격에 가담한 이유. 페리안드로스의 가족 문제
54-59장 스파르테인들의 사모스 공격이 실패로 끝나다
60장 사모스의 경이로운 건조물들: 터널, 방파제, 신전
61-87장 캄뷔세스가 죽고 다레이오스가 즉위하다
61-73장 마고스들의 왕위 찬탈. 7인의 공모
74-79장 프락사스페스와 마고스들의 죽음
80-87장 정체(政體)에 관한 토론. 다레이오스의 계략
88-116장 다레이오스의 치세
88장 다레이오스의 아시아 장악과 결혼
89-97장 태수(太守) 통치 구역들과 조공 바치는 구역들의 목록
98-105장 인디아인들과 그들의 관습
106-116장 대지의 끝에 있는 나라들에 관한 몇 가지 단상들
117-160 다레이오스의 통치
117-119장 다레이오스가 7인 중 한 명을 처형하다
120-125장 폴뤼크라테스가 오로이테스의 손에 비참하게 죽다
126-128장 다레이오스가 오로이테스를 제거하게 하다
129-138장 헬라스인 의사 데모케데스의 영향으로 다레이오스가 헬라스에 관심을 갖게 되다
139-160장 다레이오스의 원정
139-149장: 사모스를 정복하게 하다
150-160장: 반기를 든 바뷜론을 다레이오스가 재정복하다

4권>
1-144장 스퀴티스와 다레이오스의 원정
1-82장 스퀴타이족의 관습
1-4장: 원정의 원인: 스퀴타이족의 아시아 침공
5-16장: 스퀴타이족의 기원
17-36장: 스퀴튀스의 여러 부족들과 지리. 북쪽에 사는 부족들
37-45장: 세계지도
46장: 유목민으로서의 스퀴타이족
47-75장: 스퀴티스 지방의 강들(47-58장). 스퀴타이족의 관습(59-75장)
76-80장: 스퀴타이족과 이방인들. 아나카르시스와 스퀼레스
81-82장: 스퀴타이족의 인구수
83-142장 다레이오스의 스퀴티스 원정
83-98장: 수사에서 이스트로스 강으로 행군하다
99-101장: 스퀴티스 땅의 생김새
102-120장: 스퀴타이족이 이웃 부족들에게 도움을 호소하다
121-142장: 다레이오스가 스퀴티스 원정에 실패하다
143-144장 다레이오스가 아시아로 퇴각하며 헬레스폰토스 일대를 정복하도록 메가바조스를 뒤에 남겨두다
145-205장 페르시아가 리뷔에에 원정군을 파견하다
145-167장 퀴레네 시 건설과 초기 역사
168-199장 리뷔에 부족들과 그들의 관습
168-180장: 트리토니스 호 동쪽에 사는 리뷔에인들
181-190장: 아이귑토스의 테바이에서 아틀라스까지의 오아시스들. 그곳의 관습들
191-196장: 트리토니스 호 서쪽에 사는 리뷔에인들
197-199장: 리뷔에의 토양, 특히 퀴레네의 삼모작
200-205장 페르시아인들이 퀴레네를 함락하려다 실패하다

5권>
1-22장 페르시아인 메가바조스가 트라케와 마케도니아를 정복하다
1-22장 마케도니아
1-2장: 파이오니아인들이 페린토스인들에게 승리하다
3-10장: 트라케인들의 관습
11장: 뮈르키노스
12-16장: 파이오니아인들을 아시아로 이주시키다
17-22장: 페르시아인들이 마케도니아로 사절단을 보내다
23-126장 이오니아 반란
23-35장 히스티아이오스와 아리스타고라스
36-38장 이오니아가 봉기하여 참주들을 축출하다
39-96장 아리스타고라스가 도움을 청하고자 스파르테와 아테나이를 방문하다
39-51장: 스파르테에서의 아리스타고라스
52-54장: 사르데이스에서 수사로 가는 도로
55-96장: 아테나이에 간 아리스타고라스
55-65장: 아테나이의 참주정이 종식되다
66장: 클레이스테네스와 그의 정적 이사고라스
67-69장: 시퀴온의 참주 클레이스테네스
70-73장: 스파르테의 클레오메네스가 아테나이의 이사고라스를 도우러 오지만 격퇴되다
74-76장: 펠로폰네소스인들이 앗티케로 쳐들어가지만 성공하지 못하다
77-81장: 아테나이가 칼키스, 보이오티, 테바이, 아이기나와 전쟁을 하다
82-89장: 아테나이와 아이기나가 대립하게 된 원인
90-96장: 스파르테가 힙피아스를 복권시키려다 실패하다
97장 아테나이가 아리스타고라스에게 함선 20척을 내주다
98-103장 이오니아인들과 아테나이인들이 진격하여 사르데이스에 불을 지르다
104-116장 퀴프로스가 반기를 들다가 예속되다
117-123장 페르시아가 공세를 취하다: 헬레스폰토스, 카리아, 아이올리스, 이오니아
124-126장 아리스타고라스가 트라케에서 죽다

6권>
1-33장 이오니아 반란의 분쇄
1-5장 히스티아이오스가 반란에 가담하다
6-21장 라데에서 페르시아 함대가 승리하고 밀레토스가 함락되다
22-25장 사모스인들이 시켈리아로 이주하다
26-30장 히스티아이오스가 죽다
31-33장 페르시아인들과 포이니케인들이 이오니아인들을 정복하고 벌주다
34-42장 밀티아데스와 트라케의 케르소네소스
43-45장 마르도니오스가 헬라스 원정에 실패하다
46-131장 다티스와 아르타프레네스의 헬라스 원정
46-47장 타소스가 굴복하다
48-49장 다레이오스가 헬라스 도시들에게 흙과 물을 바칠 것을 요구하다. 아이기나인들이 이에 응하다
50장 스파르테의 두 왕 클레오메네스와 데마라토스의 반목
51-60장 스파르테의 왕이 두 명이 된 내력과 왕들의 특권들
61-66장 클레오메네스가 데마라토스를 왕위에서 물러나게 하다
67-72장 데마라토스가 페르시아로 망명하다
73-84장 클레오메네스의 뒷이야기
85-93장 아테나이와 아이기나의 적대 관계
94-101장 페르시아인들이 에게 해의 섬들과 에레트리아를 정복하다
102장 페르시아인들이 마라톤에 상륙하다
103-117장 마라톤 전투와 밀티아데스
118-120장 페르시아인들이 아시아로 돌아가다
121-131장 알크메오니다이 가(家)
132-140장 밀티아데스의 에게 해 섬들 원정과 죽음

7권>
1-19장 다레이오스가 죽고 크세르크세스가 즉위하다. 헬라스 원정에 관한 논의
20-25장 원정 준비. 아토스 운하 건설. 헬레스폰토스의 선교(船橋)들
26-131장 크세르크세스가 텟살리아로 진격하다
26-32장 크세르크세스가 캅파도키아를 출발하여 사르데이스로 행군하다. 퓌티오스의 헌신적인 제안
33-37장 선교들이 폭풍에 파괴되자, 크세르크세스가 헬레스폰토스를 태형으로 다스리게 하고 새로운 선교들을 건설하게 하다
38-39장 퓌티오스에 대한 잔혹 행위
40-43장 사르데이스에서 아뷔도스로 행군하다
44-53장 아뷔도스에서의 함대 사열. 크세르크세스와 아르타바노스의 대화
54-58장 페르시아군이 다리를 건너다
59-60장 도리스코스에서의 군 사열
61-88장 페르시아 육군의 규모와 편제
89-100장 페르시아 해군의 규모와 편제
101-104장 크세르크세스와 데마라토스의 대화
105-127장 페르시아 육군이 도리스코스를 출발하여 트라케와 마케도니아를 지나 테르메까지 진출하다
128-131장 페네이오스 강변에서의 크세르크세스
132-178장 헬라스인들의 전쟁 준비
132-137장 크세르크세스가 헬라스의 여러 도시들에게 흙과 물을 바칠 것을 요구하다
138-142장 헬라스인들의 자유를 지켜준 것은 아테나이인들이다
143-144장 테미스토클레스가 함대 건설을 주장하다
145-171장 헬라스인들이 동맹을 결성하고 새로운 동맹군들을 찾는 한편 아시아로 첩자들을 보내다. 아르고스, 쉬라쿠사이, 케르퀴라, 크레테가 헬라스 동맹에 가입하지 않다
172-174장 텟살리아인들이 페르시아인들 편에 가담하다
175-177장 헬라스인들이 테르모퓔라이 고갯길을 지키고 아르테미시온으로 함대를 파견하기로 결정하다
178장 델포이인들이 바람의 신들을 위해 제단을 설치하다
179-183장 페르시아 함대가 테르메에서 마그네시아 반도로 진출하다
184-187장 당시 페르시아 육군과 해군의 규모
188-191장 페르시아 함대가 폭풍으로 큰 피해를 입다
192-201장 페르시아 육군이 테르모퓔라이까지 진출하다
202-239장 테르모퓔라이 전투. 레오니다스가 이끄는 스파르테 300인 결사대의 최후. 크세르크세스의 작전 토론

8권>
1-20장 아르테미시온 해전
21-26장 테르모퓔라이에서 패한 헬라스 함대가 남쪽으로 철수하다
27-39장 페르시아군이 보이오티아 지방을 지나 델포이까지 진격하다가 격퇴되다
40-125장 살라미스 해전
40-49장 살라미스의 헬라스 함대
50-55장 페르시아인들이 앗티케로 진격하여 아테나이를 파괴하다
56-65장 살라미스에서 이스트모스로 회항하려던 헬라스 장군들의 작전 계획이 테미스토클레스에 의해 좌절되다
66-69장 페르시아인들의 작전회의와 아르테미시아의 조언
70-83장 헬라스인들이 이스트모스 방벽을 강화하다. 테미스토클레스의 계략
84-96장 살라미스 해전
97-107장 크세르크세스가 마르도니오스를 남겨두고 철군하기로 결정하다
108-112장 승리한 뒤의 헬라스인들
113-120장 크세르크세스의 도주
121-125장 헬라스인들이 테미스토클레스에게 경의를 표하다
126-135장 아르타바조스가 마르도니오스에게 돌아오다. 마르도니오스가 텟살리아에서 겨울을 나다
136장 마르도니오스가 마케도니아 왕 알렉산드로스를 사절로 보내 페르시아 편이 되도록 아테나이인들을 설득하려 하다
137-139장 마케도니아 왕가의 역사
140-144장 아테나이인들이 마르도니오스의 제의를 거절하다

9권>
1-11장 마르도니오스가 텟살리아에서 앗티케로 남하하여 다시 동맹을 제의하다가 거절당하자 아테나이에 불을 지르다. 마침내 스파르테인들이 이스트모스로 진출하다
12-16장 마르도니오스가 아테나이에서 보이오티아로 철수하다
17-18장 페르시아 편에 가담한 포키스인들
19-24장 헬라스인들이 키타이론 산으로 진출하다. 페르시아 기병대장 마시스티오스의 죽음
25-89장 플라타이아이 전투
25-30장 헬라스군의 규모와 배치
31-32장 페르시아군의 규모와 배치
33-38장 양군이 제물을 바치고 받은 신탁
39-43장 마르도니오스가 싸우기로 결정하다
44-45장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가 마르도니오스의 결정을 아테나이인들에게 알려주다
46-48장 스파르테인들이 전투 위치를 바꾸려 하다
49-57장 전 헬라스군이 군영을 옮기다
58-79장 플라타이아이 전투. 마르도니오스가 전사하다
80-85장 전리품의 분배
86-88장 페르시아에 적극 부역한 테바이인들을 응징하다
89장 아르타바조스가 페르시아로 도주하다
90-107장 뮈칼레 전투
90-98장 헬라스인들이 사모스인들과 동맹을 맺다. 헬라스 함대가 소아시아 뮈칼레로 진출하다
99-105장 뮈칼레 전투
106장 에게 해의 섬들을 헬라스 동맹에 받아들이다
107장 페르시아인들이 도주하다
108-113장 크세르크세스가 아우 마시스테스의 아내와 딸을 사랑하다
114-121장 아테나이인들이 세스토스를 함락하고 아르타윅테스를 책형에 처하다
122장 아르타윅테스의 선조와 다른 페르시아인들에게 준 퀴로스 대왕의 현명한 조언에 대한 회고


참고문헌 / 915
도량형 환산표 / 917
찾아보기 / 919
지도 / 995

저자소개

헤로도토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키케로에 의해 ‘역사의 아버지’라 불린 기원전 5세기의 그리스 역사가 그의 생애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 학설이 주장되고 있으나 자세한 것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그는 소아시아의 할리카리나소스에서 기원전 480년대에 출생했으며, 가까운 친척인 파니아시스가 참주 리그다미스 2세에게 피살되자 그의 일족은 사모스로 망명했다. 그 후 기원전 445년경에는 당시 전성기를 누리던 아테네로 이주했다. 그곳에서 그는 페리클레스, 소포클레스 등과 친교를 맺었으며, 시를 낭독하여 큰 인기를 얻고 아테네시로 10탈란톤의 돈을 받기도 했다. 그는 기원전 443년(또는 444년) 아테네가 남이탈리아에서 건설한 식민도시 투리오이에 가서 펠로폰네소스 전쟁 초기까지 살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그가 대단한 여행가임을 그의 저서 《역사》를 통해 알 수 있지만, 언제 여행을 했는지는 전해지지 않는다. 그의 여행 범위로는 북으로 스키타이, 동으로 유프라테스를 내려가 바빌론, 남으로는 이집트의 엘레판티네, 서로는 이탈리아와 아프리카 키레네에까지 이르고 있다. 그가 생애를 마친 곳은 아테네라는 설과 또 하나는 투리오이라는 설 등 두 가지 설이 있다.
펼치기
천병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5년 동안 독문학과 고전문학을 수학했으며 북바덴 주정부가 시행하는 희랍어 검정시험(Graecum)과 라틴어 검정시험(Großes Latinum)에 합격했다. 고전 번역가로 활동하며 그리스 문학과 라틴 문학을 원전에서 우리말로 옮기는 작업에 매진하며 고전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원문의 깊이와 의미를 충실히 전달하면서도, 한국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문장으로 번역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표적인 원전 번역으로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뒷세이아』,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 오비디우스의 『변신이야기』 『로마의 축제들』, 아폴로도로스의 『원전으로 읽는 그리스 신화』, 『아이스퀼로스 비극 전집』, 『소포클레스 비극 전집』, 『에우리피데스 비극 전집』, 『아리스토파네스 희극 전집』, 『메난드로스 희극』, 『그리스 로마 에세이』, 헤로도토스의 『역사』, 투퀴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전쟁사』, 크세노폰의 『페르시아 원정기』, 플라톤의 『국가』 『법률』 『소크라테스의 변론/크리톤/파이돈/향연』 『고르기아스/프로타고라스』,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정치학』 『수사학/시학』 등 다수가 있으며, 주요 저서로 『그리스 비극의 이해』 등이 있다. . 2022년 12월 향년 83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페르시아 학자들에 따르면, 헬라스인들과 비헬라스인들이 반목하게 된 것은 포이니케인들 탓이라고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8962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