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소아 물리치료

소아 물리치료

(소아물리치료 전문가를 위한 필독서, 신용어판)

권오윤 (지은이)
탑메디오피아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59,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소아 물리치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소아 물리치료 (소아물리치료 전문가를 위한 필독서, 신용어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물리치료
· ISBN : 9788991389236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13-08-14

책 소개

전반부에서는 아동의 정상발달과 신경계 관련 질환, 후반부에서는 근골골격계 관련 질환을 다루었다. 아직 해부학용어가 완전히 통일되지 않아서 구용어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영어로 해석을 달았다.

목차

제1장 정상발달(Normal Development)
제1절 유아의 반사 발달(Infantile Reflex Development) = 14
1. 반사발달 = 14
2. Vojta의 자세 반응 검사 = 18
제2절 정상 운동 발달(Normal Movement Development) = 27
1. 발달 이정표(0∼7년) = 28
2. 기능평가 수준에 따른 발달단계(신생아∼2개월) = 45
3. 발달지연 = 56
4. 결론 = 60
참고문헌 = 61
부록 1-1. Vojta의 자세반응 검사 = 62
부록 1-2. 출생 후∼5세까지 운동발달 이정표 = 64

제2장 아동 발달 평가 도구(Child Motor Development Evaluation)
제1절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Ⅱ(DDST Ⅱ) = 68
1. DOST Ⅱ 평가 영역 = 68
2. DOST Ⅱ 유의사항 = 68
3. 평가시 필요한 도구 = 69
4. 평가 순서 = 69
5. 각 항목의 결과 해석 = 70
6. 전체 결과의 해석 = 70
제2절 대동작 기능평가(Gross Motor Functional Measure : GMFM) = 74
1. 평가 목적 = 74
2. 평가 대상 = 74
3. 평가 도구 = 74
4. 평가 영역 = 74
5. 평가 = 75
6. 저자 및 참고문헌 = 76
제3절 대동작 수행능력평가(Gross Motor Performance Measure : GMPM) = 78
1. 평가 목적 = 78
2. 평가 대상 = 78
3. 평가 영역 = 78
4. 평가 = 78
5. 저자 및 참고문헌 = 79
제4절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 2nd Edition(BSID Ⅱ) = 79
1. 평가 목적 = 7 9
2. 평가 대상 = 79
3. 평가 도구 = 79
4. 평가 영역 = 79
5. 평가 = 80
6. 저자 및 참고문헌 = 80
제5절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 81
1. 평가 목적 = 81
2. 평가 대상 = 81
3. 평가 영역 = 81
4. 평가 = 81
5. 저자 및 참고문헌 = 81
제6절 뮌헨 기능 발달 진단검사(Munchener Funktionelle Entwicklungs Diagnostik) = 82
1. 평가 목적 = 82
2. 평가 대상 = 82
3. 평가 도구 = 83
4. 평가 영역 = 83
5. 저자 및 참고문헌 = 83
제7절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2(PDMS-2) = 84
1. 평가 목적 = 84
2. 평가 대상 = 84
3. 평가 영역 = 84
4. 저자 및 참고문헌 = 84
제8절 Miller Assessment of Preschoolers = 85
1. 평가 목적 = 85
2. 평가 대상 = 85
3. 평가 영역 = 86
4. 평가 = 86
5. 저자 및 참고문헌 = 86
참고문헌 = 87

제3장 뇌성마비(Cerebral Palsy)
제1절 뇌성마비의 정의 = 90
제2절 뇌성마비의 원인 = 90
제3절 뇌성마비의 분류 = 92
1. 미국뇌성마비학회 분류 = 92
2. Bobath 분류 = 103
제4절 뇌성마비의 동반장애(복합장애) = 105
1. 시각장애 = 105
2. 정신지체 = 105
3. 언어장애 = 105
4. 성장장애 = 105
5. 감각통합장애 = 106
6. 청각장애 = 106
7. 정서장애 = 106
8. 발작(seizure) = 106
9. 학습장애 = 107
제5절 뇌성마비의 진단과 평가 = 108
1. 병력(history) = 109
2. 임상적 검사 = 111
3. 신경학적 검사 = 113
4. 발달 검사 = 115
5. 뇌 영상진단 = 116
제6절 뇌성마비의 치료 = 117
1. 약물치료 = 117
2. 치료적 화학약물(chemical neurolysis) = 118
3. 정형외과적 수술 = 120
4. 신경외과적 수술 = 122
5. 보조기(orthosis) = 123
6. 작업치료 = 125
7. 언어치료 = 126
제7절 뇌성마비의 물리치료 = 126
1. Bobath 치료 = 127
2. Vojta 치료 = 130
3. 강제유도 운동치료(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 CIT) = 131
4. 치료적 전기자극(therapeutic electrical stimulation) = 131
참고문헌 = 134

제4장 Bobath 치료(Bobath Therapy)
제1절 Bobath 개념 = 136
제2절 정상 자세 조절 기전(normal postural control mechanism) = 138
1. 긴장도(tone)의 정의 = 139
2. Tip's(tone influencing patterns) = 142
3. 핸들링(handling) = 144
제3절 Bobath 치료의 원칙 = 145
제4절 평가 = 147
1. 정상발달 = 147
2. 비정상 발달 = 152
3. 물리치료 기록 = 152
제5절 Bobath 치료 과정 = 158
1. 경직형(spastic type) = 159
2. 느린 비틀림 운동형(무정위형, athetosis) = 163
3. 운동실조형(ataxia) = 165
4. 근육긴장저하(hypotonia) = 167
참고문헌 = 170

제5장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
제1절 정신지체의 정의 = 172
제2절 정신지체의 유병률 = 173
제3절 정신지체의 원인 = 173
1. 유전적 원인 = 174
2. 출생 원인 = 179
3. 환경적 요인 = 181
4. 기타 = 182
제4절 정신지체의 분류 = 182
제5절 정신지체의 평가 = 184
제6절 정신지체 아동의 치료 = 185
1. 정신지체아동의 치료 = 185
2. 치료 계획 = 186
3. 물리치료 = 187
4. 일상생활활동과 이동 = 188
5. 소동작 운동과 응용 = 188
6. 놀이치료 = 189
7. 행동치료 = 190
8. 언어치료 = 190
9. 기타 치료 = 191
참고문헌 = 192

제6장 다운증후군(Down Syndrome)
제1절 다운증후군의 정의 = 194
제2절 다운증후군의 유병률 = 194
제3절 다운증후군의 분류 = 195
1. 표준형(regular trisomy) 다운증후군 = 195
2. 자리옮김형(전위형, translocation) 다운증후군 = 196
3. 모자이크형 다운증후군 = 196
제4절 다운증후군의 증상 = 197
제5절 다운증후군의 운동발달 = 198
제6절 다운증후군의 치료 = 199
제7절 다운증후군의 물리치료 = 200
1. 머리 조절(head control) = 200
2. 손으로 지지하여 엎드리기(prorte on hand) = 200
3. 뒤집기(railing) = 201
4. 앉기(sitting) = 201
5. 배밀이와 네발기기(creeping&crawling) = 201
6. 서기(standing) = 201
참고문헌 = 203

제7장 팔신경얼기 손상(Brachial Plexus Injury)
제1절 팔신경얼기 손상의 개요 = 206
제2절 팔신경얼기 손상의 발병률 = 207
제3절 팔신경얼기 손상의 종류 = 207
1. 당김 손상(traction injury) = 207
2. 분만마비(obstetric paralysis) = 211
3. 외상(trauma)에 의한 손상 = 213
4. 의인성 손상(iatrogenic injury) = 214
5. 종양 팔신경얼기병증(neoplastic brachial plexopathy) = 214
제4절 팔신경얼기의 말초신경별 손상 = 215
1. 긴 가슴 신경(long thoracic nerve, C5∼C7) = 215
2. 겨드랑 신경(axHiary nerve, C 5∼6) = 215
3. 근육피부 신경(musculocutaneous nerve, C5∼E7) = 216
4. 노신경(radial nerve, C5∼T1) = 218
5. 정중 신경(median nerve, C5∼T1) = 220
6. 자신경(uinar nerve, C7∼T1) = 222
제5절 팔신경얼기 손상의 치료 = 225
1. 일반적인 고려사항 = 225
2. 물리치료 및 기타 치료 = 226
참고문헌 = 229

제8장 척추갈림증 및 물뇌증(Spina Bifida&Hydrocephalus)
제1절 척추갈림증(spina bifida) = 232
1. 개요 = 232
2. 역학 = 232
3. 원인 = 233
4. 분류 = 235
5. 진단 = 237
6. 임상적 특징 = 239
7. 평가 = 246
8. 치료 = 251
제2절 물뇌증(hydrocephaus) = 257
1. 정의 = 257
2.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의 순환 = 258
3. 기전 = 259
4. 원인 = 260
5. 증상 = 261
6. 치료 = 261
참고문헌 = 263

제9장 기운 목(Torticollis)
제1절 기운 목의 개요 = 266
1. 정의 = 266
2. 특성 = 267
3. 해부학 = 267
제2절 기운 목의 원인 = 268
1. 선천성 기운 목(congenital torticollis) = 269
2. 후천적 기운 목 또는 연축성 기운 목(acquired torticollis, spasmodic torticollis) = 270
3. 그 외에 다른 원인 = 271
제3절 기운 목의 증상 = 271
제4절 기운 목의 평가 = 272
1. 흔히 발견되는 문제(common subjective findings) = 272
2. 객관적인 방법(objective procedures) = 273
3. 자세평가(postural evaluation) = 273
4. 성장과 인체계측 측정(growth&anthropometric measures) = 274
5. 유연성(flexibility) = 274
6. 근육검사(testing the integrity of muscle innervation) = 275
7. 감각평가(sensory evaluation) = 275
8. 운동발달 평가(motor development evaluation) = 275
9. 초기평가(initial evaluation) = 275
제5절 기운 목의 치료 = 277
1. 치료 목적(treatment objective) = 277
2. 치료 지침(treatment guideline) = 277
3. 치료가 늦어진 유아 관리 = 277
4. 후천성 기운 목의 치료 = 279
5. 일반적인 치료(common treatment) = 280
6. 보호자 교육 = 281
참고문헌 = 284

제10장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 소아 만성 관절염, 스틸 병(Juvenile Rheumatoid Arthritis, Juvenile Chronic Arthritis or Still's Diseas)
제1절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의 정의 = 286
제2절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의 분류 = 286
1. 전신형(systemic) = 286
2. 다관절형(polyarticuiar) = 287
3. 소수관절형(pauciarticular) = 287
제3절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의 의학적 처치 = 288
제4절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의 특징 및 문제 = 289
제5절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의 평가 = 291
제6절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 = 294
참고문헌 = 297

제11장 선천성 엉덩관절 탈구(Congenital Dislocatk of Hip)
제1절 선천성 엉덩관절 탈구의 정의 = 300
제2절 선천성 엉덩관절 탈구의 유병률 = 300
제3절 선천성 엉덩관절 탈구의 병리 = 301
제4절 선천성 엉덩관절 탈구의 진단 및 평가 = 302
1. 보행기 이전 검사 = 302
2. 보행기 이후 검사 = 303
3. 방사선 검사 = 305
제5절 선천성 엉덩관절 탈구의 정형외과적 치료 = 306
1. 보조기 = 306
2. 당김 = 308
3. 석고 고정 = 308
4. 수술에 의한 정복 = 308
제6절 선천성 엉덩관절 탈구의 물리치료 = 309
1. 고정기간 동안의 물리치료 = 309
2. 고정기간 후의 물리치료 = 309
참고문헌 = 311

제12장 척주옆굽음증(Scoliosis)
제1절 척주옆굽음증의 정의 = 314
제2절 척주옆굽음증의 원인 = 315
제3절 척주옆굽음증의 검사 및 평가 = 315
1. 관찰 = 315
2. 방사선 검사 = 317
제4절 척주옆굽음증의 분류 = 318
1. 비구조성 척주옆굽음증(nonstructural scoliosis) 또는 기능적 척주옆굽음증(functional scoliosis) = 318
2. 구조적 척주옆굽음증(structural scoliosis) = 319
제5절 척주옆굽음증의 임상 소견 및 예후 = 320
1. 비구조적 척주옆굽음증 = 320
2. 구조적 척주옆굽음증 = 321
제6절 척주옆굽음증의 치료 = 322
1. 비구조적 척주옆굽음증 = 322
2. 구조적 척주옆굽음증 = 322
참고문헌 = 329
부록 12-1. 척주옆굽음증 환자를 위한 운동치료 지침(오른쪽 옆굽음증일 경우) = 330

제13장 소아 발(Growing Foot)
제1절 발 보조기학(pedorthics) = 336
제2절 발의 정상 발달(normal development of the foot) = 337
제3절 선천성 소아 발 변형 = 340
1. 발 변형의 분류(classification of foot deformities) = 340
2. 원인 = 343
3. 소아 발 변형의 종류 = 343
참고문헌 = 368

제14장 소아 근육병(Muscular Disease)
제1절 신경근 질환(neuromuscular disease) = 370
제2절 근 디스트로피(muscular dystrophy) = 371
제3절 근 디스트로피의 분류 및 특징 = 373
1. 듀센형 근 디스트로피(Duchenne muscular dystrophy) = 373
2. 베커형 근 디스트로피(Becker muscular dystrophy) = 375
3. 팔다리이음구조형(limb-girdle type) = 376
4. 얼굴어깨위팔형 디스트로피(facioscapulohumeral dystrophy) = 377
5. 근긴장 디스트로피(myotonic dystrophy) = 379
6. 에어리-드라이퓨스 디스트로피(Emery-Dreifuss muscular dystrophy) = 380
제4절 근육병의 단계별 증상과 특징 = 381
1. 보행 시기 = 381
2. 휠체어 시기 = 382
3. 침상 시기 = 383
제5절 근 디스트로피의 진단 = 384
1. 임상소견 = 384
2. 근육병 환자를 위한 팔 기능 평가 = 385
3. 근육병 환자를 위한 다리 기능 평가 = 386
제6절 근 디스트로피의 치료 = 387
1. 치료의 개요 = 387
2. 물리치료 = 389
참고문헌 = 391

제15장 혈우병(Hemophilia)
제1절 혈우병의 개요 = 394
1. 혈우병의 특성 = 394
2. 혈우병의 분류 = 394
제2절 혈우병의 임상적 특성 = 395
1. 혈우병의 출혈 증상 = 395
2. 혈우병 환자에서 발생될 수 있는 합병증 = 396
3. 혈우병 환자의 급성 혈관절증(acute hemarthrosis) = 397
4. 혈우병 환자의 근육 혈종(muscle hematoma) = 397
5. 혈우병 환자의 만성 혈관절증(chronic hemarthrosis) = 398
제3절 혈우병 환자의 출혈에 대한 처치 = 401
1. 급성 출혈에 대한 처치 = 401
2. 관절 출혈에 대한 처치 = 401
3. 근육 줄혈에 대한 처치 = 401
4. 중추신경계 부위의 출혈에 대한 처치 = 402
제4절 혈우병의 물리치료 = 402
1. 관절 문제에 대한 물리치료 = 402
2. 근육 출혈에 대한 물리치료 = 405
3. 혈우병 환자 치료를 위한 일반적인 물리치료 = 406
제5절 혈우병 환자의 전반적인 관리 원칙 = 409
참고문헌 = 412

제16장 화상(Burn)
제1절 화상의 개요 = 416
제2절 화상의 발생률 = 417
제3절 화상의 원인 = 419
제4절 화상의 분류 및 임상적 양상 = 420
1. 화상의 크기 = 420
2. 화상의 부위 = 422
3. 화상의 깊이 = 422
제5절 화상의 의학적 처치 및 물리치료 = 425
1. 응급기(emergent phase) = 425
2. 급성기(acute phase) = 429
3. 재활기(rehabilitation phase) = 434
참고문헌 = 436

제17장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
제1절 외상성 뇌손상의 정의 = 438
제2절 외상성 뇌손상의 원인 = 438
1. 발생학적 원인 = 438
2. 생체역학적 원인 = 438
제3절 외상성 뇌손상의 유병율 = 439
제4절 외상성 뇌손상의 일반적 분류 = 440
1. 개방성 손상과 폐쇄성 손상 = 440
2. 손상 정도에 따른 분류 = 442
제5절 외상성 뇌손상의 병인학 = 443
1. 일차적 손상(primary injury) = 443
2. 이차적 손상(second injury) = 447
제6절 외상성 뇌손상의 평가 = 449
1. 글라스고우 혼수 척도(Glasgow coma scale : GCS) = 450
2. 란초로스 아미고스 인지기능수준(Rancholos Amigos level of cognitive function : LOCF) = 450
3. 글라스고우 결과 척도(Glasgow outcome scale : GOS) = 451
4. 라파포트의장애등급 척도(Rappaports disability rating scale) = 452
제7절 외상성 뇌손상의 임상적 증상 = 453
1. 인지적 결함(cognitive deficits) = 453
2. 행동 결함(behavior deficits) = 454
3. 의식수준의 감소(decreased level of consciousness) = 454
4. 감각운동 결함(sensorimotor deficits) = 455
제8절 외상성 뇌손상의 치료 = 456
1. 평가 = 456
2. 물리치료 = 456

참고문헌 = 463
찾아보기(Index) = 465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