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사회/역사교육 전공
· ISBN : 9788991403116
· 쪽수 : 318쪽
· 출판일 : 2005-07-15
책 소개
목차
제1부 동아시아 평화 정착을 위한 반성과 모색
1 김성재_동아시아 평화 공존을 위한 한일 두 나라 화해와 평화 연대
2 김동훈_한일 두 나라의 과거, 현재, 미래와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교육
3 와다나베 오사무_일본 글로벌 대국화의 새로운 단계와 아시아 평화
4 메라 세이지로_전후 일본 평화 교육과 역사 인식
5 사누끼 히로시_일본 평화 교육 발자취
6 강순원_21세기 동아시아 평화와 한국 교육
7 한운석_독일-폴란드 역사 교과서 협력이 평화 교육에 주는 뜻
8 오바나 키요시_‘새역모’ 교과서 불채택 운동
제2부 평화 교육 프로그램
1 즈치야 미쯔오_고교생과 ‘마쯔시로’ 대본영
2 카사이 히데히코_시즈오카에서 베트남과 UN으로
3 마츠야마 나오토시_울타리 안에서 본 일본
4 사토 히로시_평화스런 학교 문화 만들기
5 정용민_청소년 통일 캠프를 통한 한반도 평화 교육
6 오오타니 다케오_중학생이 생각하는 조선 문제
7 최종순_아이들과 함께 한 역사 다시 쓰기
8 변상철, 야지마 츠카사_한일 두 나라 화해를 위한 평화 기행
저자소개
책속에서
평화의 반대편에는 직접적인 전쟁만이 있는 것은 아니다. 거기에는 인간의 존엄성을 빼앗는 '폭력 문화'가 있으며, 일상생활 속에 있는 왕따와 자타에 대한 박해, 인권 감각의 황폐함이나 인간과 사회에 대한 불신 등 평화를 좀먹는 토양의 확산에도 주의를 기울이고 싶다.
삶의 기쁨과 자기 미래에 대한 희망이 없는 아이들에게 평화 가치는 와닿지 않을 것이다. 평화 교육의 최대 전제는 삶의 즐거움과 재미에 맛을 들이고 인간 신뢰를 길러 주는 학교 만들기가 아니겠는가? 아이들 한 명 한 명에게 삶의 의욕을 북돋아 주고 자기 힘과 가치에 대한 자각을 불러 일으키는 교육을 하고 싶다. - 본문 241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