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예술 통사/역사 속의 예술
· ISBN : 9788991847033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06-06-15
목차
저자서문 화보
제1장 영남화파의 범위
제1절 영남화파 연구 현황
제2절 영남화파의 정의
* 영남화파의 정의
1_ 영남화파와 영남화가
2_ 영남화파와 영남화
3_ 영남화파의 사승 및 전승에 관한 문제제기
제2장 영남화파의 형성과 배경
제1절 영남화파 시대배경과 사상의 기초
제2절 영남화파의 문화연원
제3장 영남화파의 삼걸
제1절 고검보
1_ 고검보의 생애
2_ 고검보의 예술행로
3_ 고검보의 예술성취
제2절 고기봉
1_ 고기봉의 생애
2_ 고기봉의 예술성취
제3절 진수인
1_ 진수인의 생애
2_ 진수인의 예술성취
제4장 영남화파의 강령문헌-고검보의 『나의 현대회화관』
1_ 중국화의 변혁을 외친 ‘예술혁명’
2_ 개척하고 변화하는 것이 회화발전의 규칙이다
3_ 현대회화는 반드시 아속공상의 대중적 그림어야 한다
4_ 신중국화는 반드시 현실생활을 표현해야 한다
5_ 중서절충中西折衷, 고금융회古今融會의 예술주장
제5장 영남화파의 종지-중서절충, 고금융회
제1절 ‘절충’의 문자적·철학적 의미
제2절 중서절충, 고금융회에 함유된 미학
제3절 중서절충, 고금융회가 화단에 미친 영향
제6장 영남화파의 주요 전수자
1_ 방인정
2_ 여웅재
3_ 관산월
4_ 조소앙
5_ 양선심
제7장 중국 현대미술사에서 영남화파의 위치
제1절 영남화파에 대한 각종 평론
제2절 영남화파의공헌과 공적
1_ 중국화 혁신의 선행자, 신중국화의 개척자
2_ 영남문화 발전에 대한 공헌
3_ 미술영재의 배양
4_ 혁명적인 예술관점, 선명한 예술주장
5_ 중국문화의 확장
6_ 현대문화사에서 ‘처음’으로 한 것들
제3절 영남화파의 폐단과 역사적 한계
1_ 예술이론과 예술실천의 차이
2_ “중서절충”의 제한된 형식
-중中은 신운神韻을 잃고 서西는 오직 표피만 얻다
부록
용어해설 인명해설 도판목록 인명색인
역자해설
중국화파에 대한 간략한 논의 『중국화파총서』의 서문 | 주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