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91903890
· 쪽수 : 422쪽
· 출판일 : 2010-01-11
목차
머리말 / 5
chapter 01. 교육의 이해 13
1. 교육의 개념 15
1) 기능적 정의 15
2) 규범적 정의 16
3) 조작적 정의 17
2. 교육의 기본 전제 18
1) 인간에 대한 신념 18
2) 변화에 대한 신념 21
3) 계획에 대한 신념 22
3. 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 23
1) 교육의 필요성 23
2) 교육의 가능성 26
3) 교육의 한계성 29
4. 교육성립의 3요소 33
5. 교육의 과정 40
1) 교육과정의 각 단계 40
2) 교육의 과정 각 단계들 간의 관계 45
chapter 02. 교육의 역사적 기초 51
1. 한국교육 53
1) 원시시대 교육 53
2) 삼국시대 교육 54
3) 고려시대 교육 57
4) 조선시대 교육 58
2. 서양교육 60
1) 그리스와 로마교육 60
2) 중세교육 64
3) 근대교육 67
3. 현대교육 78
1) 교육의 과학화 운동 78
2) 어린이 해방 운동 79
3) 교육의 사회화 운동 81
4) 현대교육의 발전방향 82
chapter 03. 교육의 철학적 기초 85
1. 철학의 연구영역 88
2. 전통적 철학과 교육 91
1) 관념론적 교육설 91
2) 실재론적 교육설 92
3) 실용주의적 교육설 95
3. 현대 교육사조 97
1) 진보주의 97
2) 본질주의 101
3) 항존주의 104
4) 재건주의 108
5) 실존주의 111
6) 분석철학 114
chapter 04. 교육의 심리적 기초 119
1. 인간의 이해 121
1) 인간 본성에 대한 과학 이전의 사고 121
2) 현대 심리학의 인간관 125
2. 인간발달과 교육 130
1) 발달의 의미 130
2) 발달의 원리 131
3) 발달의 단계와 특징 134
4) 발달과업 137
5) 인간발달과 교육 139
3. 인간행동과 교육 142
1) 인간의 지적 특성 142
2) 인간의 비지적 특성 147
chapter 05. 교육의 사회적 기초 155
1. 교육.사회.문화 157
1) 사회의 기능과 교육 157
2) 교육의 사회적 기능 160
3) 문화와 교육 164
2. 사회화와 교육 168
1) 사회화의 개념 168
2) 정치적 사회화와 교육 172
3. 사회계층과 교육 174
1) 사회계층의 개념 174
2) 사회계층의 결정요인 176
3) 사회계층 이동과 학교교육 177
4. 사회변동과 교육 179
1) 사회변동의 개념 179
2) 현대 사회변동의 특징 181
3) 사회변동의 원인 183
4) 사회변동과 교육 185
chapter 06. 교육과정 187
1. 교육과정의 개념 189
1) 교육과정의 의미 189
2) 교육과정의 정의 190
3) 현대 교육과정의 특징 192
2. 교육과정의 유형 194
1) 교과중심 교육과정 194
2) 경험중심 교육과정 196
3) 학문중심 교육과정 200
4) 인간중심 교육과정 203
5) 잠재적 교육과정 206
3. 교육과정의 구성 210
1) 교육목표의 설정 210
2) 교육내용의 선정 211
3) 교육내용의 조직 214
4. 수업, 교수, 학습, 교수.학습 221
1) 개념 규명 221
2) 교수와 학습 223
chapter 07. 교수.학습지도 223
1. 교수이론과 학습이론 225
1) 교수이론 225
2) 학습이론 235
2. 교수.학습의 조건과 원리 240
1) 교수.학습의 조건 240
2) 교수.학습의 원리 245
3. 교수.학습의 과정과 형태 248
1) 교수.학습의 과정 248
2) 교수.학습의 형태 252
chapter 08. 교육공학 259
1. 교육공학의 성격 261
1) 교육공학의 정의 및 발달과정 261
2) 교육공학의 연구영역 262
3) 교수설계 및 개발모형 265
2. 교수매체의 활용 269
1) 교수매체의 개념 269
2) 교수매체의 선정기준 및 절차 270
3. 컴퓨터와 멀티미디어의 활용 272
1)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 272
2) 멀티미디어와 인터넷의 활용 274
chapter 09. 생활지도와 상담 277
1. 생활지도의 개념 279
1) 생활지도의 정의 279
2) 생활지도의 필요성 280
3) 생활지도의 원리 282
2. 생활지도의 영역과 활동 285
1) 생활지도의 영역 285
2) 생활지도의 활동 288
3. 상담의 이론과 실제 291
1) 상담의 정의 291
2) 상담이론 294
3) 상담관계의 형성 299
chapter 10. 교육평가 303
1. 교육평가의 개념 305
1) 검사.측정.평가 306
2) 교육평가의 기능 309
3) 교육평가의 난점 310
2. 교육평가의 유형 313
1) 최대 수행능력과 대표적 행동의 측정 313
2) 배치.형성.진단.총합평가 314
3) 상대평가와 절대평가 315
4) 인지적 평가와 정의적 평가 317
3. 평가도구의 기준 318
1) 신뢰도 319
2) 타당도 320
3) 객관도 321
4) 실용도 322
4. 교육평가의 실제 323
1) 인지적 영역의 평가 323
2) 정의적 영역의 평가 330
chapter 11. 교육행정과 조직 335
1. 교육행정의 개념 337
1) 교육행정의 정의 337
2) 교육행정의 성격 341
3) 교육행정의 원리 345
2. 교육행정의 조직 349
1) 중앙교육 행정조직 349
2) 지방교육 행정조직 353
3. 교육제도 358
1) 기본학제 360
2) 학제의 변화 364
chapter 12. 평생교육 367
1. 평생교육의 이해 369
1) 평생교육의 등장배경 369
2) 평생교육의 개념 정립 370
3) 평생교육의 특징 372
2. 평생교육의 이론적 기초 373
1) 성인교육 374
2) 자기주도학습 375
3) 구성주의 376
3. 평생교육법 377
1) 평생교육법의 제정 378
2) 평생교육의 법적 의미 378
3) 평생교육법 제정의 근거 379
4) 평생교육법의 주요 내용 380
5) 평생교육법 및 시행령의 핵심내용 383
chapter 13. 교사론 387
1. 교육과 교사 389
1) 교사의 중요성 389
2) 교사의 자질과 역할 390
2. 교직과 교수 402
1) 교직의 전문성 402
2) 교직의 자율성 405
3) 교직의 윤리와 교권 407
.참고문헌 413
.찾아보기 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