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음악이론/음악사
· ISBN : 9788991952034
· 쪽수 : 186쪽
· 출판일 : 2007-07-25
책 소개
목차
감사의 글
프롤로그
서문
제1부
제1장 해부학의 기본개념
1.1. 해부학상의 위치: 축(軸)과 면
1.2. 운동기관
1.2.1. 뼈와 관절
1.2.2. 근육과 근 수축
1.3. 신경계
1.4. 호흡기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
제2장 음악 동작
2.1. 음악 동작에 대한 접근 방법
2.2. 정적 요소: 직립자세의 유지?두부(頭部)?골반
2.2.1. 정적 자세의 조절
2.3. 동적 요소: 등뼈?상지(上肢)
2.3.1. 동적 자세의 조절
2.4. 적절한 음악훈련을 위한 전체적인 주의사항
2.5. 유년기의 음악활동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
제3장 음악가의 신체?운동 컨디션
3.1. 신체적 성질
3.1.1. 신체?운동 컨디션
3.2. 신체 컨디셔닝의 이점
3.2.1. 일반적인 효용
3.2.2. 음악가에게 있어서의 효용
3.3. 음악가용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기본
3.4. 스포츠?운동 추천
3.4.1. 음악가에게 추천하는 운동
3.4.2. 운동 선택과 실시에서의 중요한 주의사항
보다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
제2부
제4장 음악가를 위한 신체 컨디셔닝
4.1. 음악훈련에서의 호흡 컨트롤
4.1.1. 호흡 컨트롤
4.2. 음악훈련에서의 워밍업
4.2.1. 워밍업
4.3. 음악훈련에서의 스트레칭
4.3.1. 스트레칭
4.4. 음악훈련에서의 조정력
4.4.1. 조정력 트레이닝
보다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
제5장 음악환경
5.1. 에르고노믹스의 기본개념
5.1.1. 자세 : 선 상태? 아니면 앉은 상태?
5.1.2.악기
5.1.3. 시력과 청력
5.1.4. 음악환경의 실내온도?습도
보다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
책속에서
모든 음악가의 신체 컨디셔닝은 호흡 컨트롤이 포함되어야 한다. 호흡이 음을 만들어내는 근원이 되는 관악기주자나 성악가에게 있어서 호흡을 컨트롤하는 중요성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러나 호흡은 다른 조직.기관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호흡을 아는, 즉 호흡기관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누구에게나 중요하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좋은 호흡 컨트롤은 호흡수를 감소시키고, 폐활량의 증가를 가능하게 하며, 근골격 조직 내의 산소량을 늘리는데도 연결된다. 따라서 어느 분야의 음악가에게나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 그 외에 호흡 컨트롤은 집중력 향상에도 연결된다. 프로스포츠 선수가 선수권.전형대회에서의 중압감을 줄이기 위해서 이 종류의 훈련을 일상 트레이닝으로 도입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다.
이제부터 말하는 3가지 형태의 호흡을 사용한 기본훈련은 악기를 이용한 워밍업의 전 단계에서 하는 거승로 성악가나 관악기주자가 연주중에 하는 호흡법 테크닉은 아니다. 그 대부분은 보다 정확한 스피드, 용량의 공기를 컨트롤하기 위한 호흡법, 이른바 복부 횡경막식 호흡을 사용하고 있다. 이 호흡법은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 용량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긴 패시지를 연주할 때에는 특히 유효하다.
- 본문 76~77쪽, '음악훈련에서의 호흡 컨트롤'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