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88991998841
· 쪽수 : 188쪽
· 출판일 : 2013-10-1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주요 등장인물
서장. 혼마 무네히사, 거래를 말하다
투자의 신 무네히사의 거래 강습회
투자의 필승법, 시세의 습성을 읽어라
고수의 비법, 천장과 바닥이 아닌 천장권과 바닥권을 노려라
횡보장에서는 잠시 멈춰라
쉬는 것도 투자의 방법이다
투자는 항상 겸허하게
제1장 수수께끼의 인물 혼마 무네히사
무네히사, 출생의 수수께끼
잘못된 정보가 퍼져 나간 이유
제2장 신비의 베일에 둘러싸인 무네히사의 아버지
혼마 가문의 기원과 가계도
친척도 헷갈리는 진짜 혈통
모토미쓰, 규에몬의 지배인?
모토미쓰, 규에몬의 장남 혹은 차남?
모토미쓰의 자제들
모토미쓰의 가르침과 혼마 가문의 가훈
제3장 투자가 혼마 무네히사의 탄생
무네히사, 혼마 가를 위임받다
쌀 거래의 중심지, 사카타
사카타 5법, 투기가 아닌 투자를 만들다
쌀 중심 경제가 낳은 선물거래
거래 중개인에서 쌀 방아꾼으로, 젠베의 좌절과 재기
무네히사, 혼마 가에서 의절당하다
제4장 무네히사, 쌀 투자에서 고배를 마시다
무네히사와 미쓰오카의 반목
에도에서 무너진 데와의 덴구 086
제5장 참선으로 투자의 도에 눈뜨다
가이안지에서 투자의 길을 찾다
번뇌를 버리고 투자의 신으로 거듭나다
좌선으로 투자의 혜안을 얻다
삼위의 방책, 작황?심리?가격으로 시장을 꿰뚫어라
천재의 부활, 되살아난 데와의 덴구
에도 시대의 천재지변, 심화된 부의 편중, 봉기하는 민중
제6장 무네히사와 제자들, 투자를 논하다
투자에서 실패는 병가지상사
투자가의 성공 비결 : 마음 속 맹수인 감정을 단련하라
마음을 닦아 투자의 도를 밝혀라
투자가로서 성공하는 사람, 실패하는 사람
제7장 혼마 무네히사, 병법으로 투자를 배우다
전략과 전술의 차이
쌀 투자에 도움이 되는 병법의 명언들
투자의 격언으로 투자를 배우다
투자에 도움이 되는 《논어》의 명언
제8장 조카 혼마 미쓰오카의 삶
혼마 가문 ‘중흥의 원조’
쇼나이 번의 재정 재건에 협력하다
정계의 알력으로 처음 맛본 좌절
제9장 만년의 무네히사
투자의 경험으로 사회사업에 앞장서다
에도 시대 투자 비법사 분석
불세출의 비법서 《무네히사 비록》
미쓰오카와의 화해
리뷰
책속에서
투자의 필승법, 시세의 습성을 읽어라
“쌀 투자에서 백전백승하는 비결이 있을까요?” 젠베가 무네히사에게 물었다.
“싸게 사서 비싸게 팔고, 비싸게 팔고 싸게 사면 투자에서 백전백승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는 말로는 쉽지만 실제로는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싸게 샀다고 생각했는데 나중에 가격이 더 떨어질 수도 있고, 비싼 값에 팔았다고 만족스러워했는데 나중에 가격이 크게 올라 씁쓸했던 경험을 누구나 해 봤을 겁니다. 거래에서 백전백승하는 방법, 다시 말해 투자의 필승법 따위는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성공 확률을 크게 높이는 것은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쉬는 것도 투자의 방법이다
“눈앞의 작은 가격 변동에 경거망동하는 것은 초보 투자가들에게서 자주 볼 수 있는 모습입니다. 진짜 고수는 눈앞에서 펼쳐지는 가격의 소폭 등락에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시세의 큰 흐름만 주시합니다. 현재 시세를 볼 때 본격적인 상승장인가 하락장인가, 아니면 소폭 등락을 거듭하는 횡보장인가, 본격적인 상승장 혹은 하락장이라면 어디쯤이 바닥이고 어디쯤이 천장인가, 현재는 어떤 수준인가 등등을 꼼꼼히 따져 본 후 바닥에 가까울 때 사고, 천장에 가까울 때 판다는 생각만 합니다. 그 밖의 시간에는 투자를 멈추고 절호의 매수 혹은 매도 시점이 올 때까지 진득하게 기다립니다. 이렇게 행동하는 사람은 쌀 투자로 큰돈을 벌 수 있습니다.”
사카타 5법, 투기가 아닌 투자를 만들다
무네히사가 개발한 쌀 시세의 법칙인 ‘사카타 5법’은 오늘날에도 주식 시세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사카타 5법은 초 모양의 막대그래프인 캔들을 이용한 일종의 차트인데, 이 차트에 나타나는 다섯 가지 특징(삼산, 삼천, 삼공, 삼병, 삼법)으로 매수 시점, 매도 시점을 판단한다. 캔들은 기간 중 시가, 종가, 고가, 저가를 막대 모양의 그래프로 표시하는데, 시가보다 종가가 높으면 흰색(옛날에는 적색)으로, 시가보다 종가가 낮으면 흑색으로 표시해 구별한다. 하얀 캔들은 양봉, 검은 캔들은 음봉이라고 한다. 정해진 기간 내 고가, 저가는 캔들 위아래로 뻗은 선(그림자, 꼬리)으로 표시한다. 캔들은 기간이 하루인 경우 일봉, 일주일인 경우 주봉, 1개월인 경우 월봉, 1년인 경우 연봉이라고 한다. 이런 캔들을 계속 추가해 나가다 보면 일정한 움직임이 나타난다. 이것이 바로 차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