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외과 > 성형외과
· ISBN : 9788992006682
· 쪽수 : 204쪽
· 출판일 : 2010-01-01
책 소개
목차
서 론 1
1. 항노화 미용의료의 현재와 미래 1
2. 본 책자에 기술된 시술과 저자 소개 2
제Ⅰ부 안티에이징 미용의료
제 1 장 안티에이징(항노화) 미용의료의 주의 사항 6
1) 효과의 표현 6
2) 국가 또는 후생노동성의 승인이 없는 약이나 치료기구 등을 이용한 의료를 시행할 때 주의점 6
3) 트레이서빌리티의 중요성 7
4) 자비 진료 7
5) 광고 7
제 2 장 항노화 미용의료의 진단과 치료 목적 9
제 3 장 미국의 미용의료 현황 10
1) 레이저, RF 요법 10
2) Botox+히알루론산 11
3) Barbed suture 테크닉 11
4) 지방주입의 재 도래 12
5) 스킨케어 예방 미용의학 14
6) 메디컬 스파 14
7) FDA와 미용외과 15
8) 메조테라피 17
제 II 부 각 론
제 1 장 Botulinus 독소 요법 20
A. 역사 / 약리학 / 장래의 전망 20
1) 역사 20
2) 약리학 21
3) 장래의 전망 21
4) 결론 22
B. Botox 요법의 현황 (미국) 26
1) Botox 붐으로 들뜬 미국 26
2) Botulinus 독소 26
3) 희석 / 보존법 27
4) 시술에 대한 동의 28
5) 시술전의 준비 29
6) Botox의 시술 방법 31
7) 기타 질환 41
8) 부작용 42
9) 금기 사항 44
제 2 장 OBAGI Nu-Derm 요법 45
A. OBAGI Nu-Derm system에 의한 스킨케어 45
B. 임상적 응용 47
1) 배경 47
2) OBAGI Nu-Derm system의 약리 48
3) OBAGI Nu-Derm system에 사용되는 제품과 사용법 50
4) 치료 순서와 방법 53
5) OBAGI Nu-Derm system의 처방의 유의점과 효과 55
6) 결론 58
제 3 장 비침습 레이저-Sciton 레이저 63
A. 서론 63
B. Sciton 레이저 64
1) 시장 64
2) Sciton사 65
3) Sciton 레이저 65
4) Profile 레이저의 적용 66
C. Sciton 레이저에 의한 치료 방법 76
1) 복합기와 단체기 76
2) ClearScan (1,064 nm Nd:YAG) 76
3) Broanband intense pulsed light (BBL) 78
4) Contour (2,940 nm Er:YAG) 79
5) ThermaScan (1,319 nm Nd:YAG) 82
제 4 장 여드름의 항산화 치료 84
1) 여드름의 병태생리 84
2) 여드름의 민감성 피부 85
3) 일본의 여드름 치료 87
4) 여드름의 항산화 치료 89
5) 여드름의 항산화 치료의 실제 92
6) 완치를 향한 여정 102
제 5 장 피하주입물-Filler와 지방 110
A. 서론 110
B. Filler의 정의 111
1) 아교질 (collagen) 111
2)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112
C. Filler 주입의 실제 114
1) 약제의 특성 114
2) 주입 부위의 선택 115
3) 기타 치료법과 병행 116
4) 알레르기 116
5) 주의 사항 117
6) 기대되는 결과 118
D. 지방주입 방법 122
1) 적용 122
2) 시술 방법 122
3) 증례 127
E. 불분명한 filler의 주입시 주의 사항 129
제 6 장 Water Jet Assiated Liposuction 132
A. 서론 132
B. Water Jet Assiated Liposuction 135
1) BodyJet의 배경과 특징 135
2) 개량형의 주입 용액 136
3) 준비 단계 137
4) 주입, 린스, 흡입 138
5) 재주입용의 지방이식 조직 139
6) 시술의 개요 139
7) 한계 / 결점 140
8) 시술 후의 처리 141
9) 결과 141
10) 맺는말 142
11) 증례 143
제 7 장 존 다이어트 (Zone Diet) 149
A. 존 다이어트 : 항염증 다이어트 149
1) 항염증 다이어트 149
2) Eicosanoids 150
3) 필수지방산의 전구체 150
4) 존 다이어트(zone diet) 151
5) 사일런트형 염증의 결과 151
6) 치료약으로서의 식이요법 151
7) 존 다이어트의 기본 152
8) EPA의 역할 152
B. 존 다이어트의 실제 154
1) 존 다이어트의 개요 154
2) 제지방 체중의 계측과 섭취해야 할 영양소의 양적 파악 154
3) 존 다이어트의 간편한 도입법 154
4) 존 다이어트에서 시행하는 각종 검사 155
5) 식이요법에 의한 치료 156
제 8 장 안티에이징 의료 158
A. 안티에이징 의료의 개요 158
1) 의료 현장에 있어서 전통적, 안티에이징 의료의 차이 158
2) 병의 예방과 수명 연장에 대한 효과 160
3) 역동적 전환 161
4) 확정적 VS. 불확정적 연명 162
5) 안티에이징 의료의 목표 162
6) 결론 164
B. 안티에이징 의료의 실제 166
1) 안티에이징 의료의 기본 사항 166
2) 포괄적 안티에이징 의료 167
3) 안티에이징 의료의 실제 168
4) 안티에이징 의료의 향후 과제 177
제 III 부 요약편
제 1 장 Botulinus 독소 요법 182
1) 일본의 Botox 치료법에 대한 규제 182
2) 승인 전의 Botox 도입?사용 182
3) 전망 183
제 2 장 OBAGI Nu-Derm 요법 185
1) 방법 185
2) 주의점 185
3) 의약품 ?트레티노인(tretinoin)의 구입-『약감 증명 신청 순서』 185
4) 정보 제공 185
제 3 장 비침습 레이저 치료-Sciton 레이저 186
1) 구입 방법 186
2) 보수 186
제 4 장 여드름의 항산화 치료 189
1) 항산화 비타민이 포함된 화장품 189
2) 항산화 비타민의 원재료 도입 189
3) 그 외의 화장품 관련 정보 190
제 5 장 피하주입물-Filler와 지방 191
1) 지방주입법 도입의 안내 191
제 6 장 Water Jet Assisted Liposuction 192
제 7 장 존 다이어트 (Zone Diet) 195
1) 존 다이어트의 제품 195
제 8 장 안티에이징 의료 196
1) Aging Research System™ 196
2) 도입에 대해서 198
색 인 199
●한글 색인 199
●영문 색인 201
Column
●미국의 미용의료 변화 18
●OBAGI Nu-Derm system과 Dr. Obagi 46
●Tretinoin의 크림 62
●미.일의 화장품 배급성분의 기준 상위점 62
●지방주입에 대하여 128
●안티에이징과 연관된 5가지 인자 179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항노화 또는 미용의료적인 내용의 진료를 새롭게 실행하려고 하면 의문이나 당황스러움을 갖는 것이 보통이다. 이는 단순히 미용
관련 의료가 건강보험제도 밖의 진료이며 낯설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법에 대해 대학시절에 미용관련 의료 계통의 강의
를 많이 듣지 못하였기 때문에 기본적인 지식이 부족하다. 또한 간편함이나 낮은 침투성을 주장하며 최근에 유행하고 있는 것처
럼 보이는 “기미, 주름”의 치료법이나 체형관리를 위한 시술이 실제로 어느 정도 유용한지, 시술에 의한 부작용과 같은 다양
한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당혹감의 차이로 인해, 미용목적의 의료를 외과의 범주 안에서 취급해 온 미용외과전문의도 있다. 이는 미용의료
에서 이용되는 레이저나 filler, 여러 약제 등이 최근에 급속하게 성장한 분야인 동시에 너무나도 종류가 다양하여, 단순히 복용
하거나 주사, 레이저 또는 빛을 쏘이는 등의 간편함과는 달리 이들의 시술이 과학적인 근거가 불충분하다고 생각된다. 과거의 경
험이나 합병증의 보고에 의해 부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기법 등이 소개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에는 이 중에서 실용 가능한 몇 가지의 시술을 기법의 개발자 또는 임상 의학에서 자주 접하는 교수님과 같이 소개하였다.
또한 이러한 수단을 이용하는 선진국인 미국에서 공동 편집자 Robert Kure 교수(미국성형외과학회인정 전문의사)가 임상 의학분
야에서 경험했던 것을 적어 주었다. 물론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수단이나 기법 중에도 더욱 뛰어난 것이 있지만, 지면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다음 기회로 미루도록 하겠다.
더욱이 미용목적의 의료가 가지는 특이성을 고려해서, 실제로 이러한 시술을 도입할 때 주의해야 할 점들을 총론에 서술하였다.
또한 이 책에서 채택한 시술의 도입에 대한 방법을 포함시켰다.
마지막으로 미용의료는 기존의 일반 질병을 대상으로 한 의료에 비해 지속적으로 발전 중이며, EBM 등에 있어서는 매우 취약한
분야이지만, 이러한 의료에 흥미를 가지고 있는 의사들에게 참고나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끝으로, 바쁜 시간에도 불구하고 집필을 해주신 여러 교수님과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준 여러분들에게 깊이 감사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