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는 아직도 기적을 기다리는가?

우리는 아직도 기적을 기다리는가?

(신약의 기적이야기의 의미와 계시)

고위공 (지은이)
드림북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600원 -10% 2,500원
700원
14,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우리는 아직도 기적을 기다리는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는 아직도 기적을 기다리는가? (신약의 기적이야기의 의미와 계시)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성경의 이해
· ISBN : 9788992143868
· 쪽수 : 342쪽
· 출판일 : 2017-09-20

책 소개

'성서이해의 길' 시리즈의 네번째 책이다. 이 책은 앞에 나온 <신약성서의 비유이야기>에 이어져있다. 비유이야기와 기적이야기는 신약성서를 구성하는 두개의 기본형식이다. 복음서의 저자들은 예수님의 비유와 기적을 이야기의 형태로 기술한다.

목차

안내의 글 / 7

제1부 기적이야기의 이해

제1장 기본문제 / 22
제2장 기적이해의 범주 / 49
제3장 성서의 기적이야기 / 80
제4장 요한복음의 일곱 표적 / 166

제2부 기적해석의 방법

제1장 해석의 지침 / 194
제2장 이론적 관점 / 202
제3장 방법의 상호연관 / 212

제3부 기적이야기의 실천적 해석

제1장 해석의 모델의 설계 / 222
제2장 고기잡이 기적의 해석 / 230
제3장 일곱 개의 사례분석 / 240
결론: 기적이야기의 해석을 마치며 / 332

참고문헌 / 335
용어색인 / 336

저자소개

고위공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문과대학 명예교수 1944년생.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및 대학원 독문과 졸업, 독일 Tbingen 대학교 문학박사(1979년). 홍익대학교 문과대학 독문학과와 대학원 미학과에서 강의. 독일 Tbingen 대학교, Freiburg 대학교, Berlin Humboldt 대학교 초빙교수, 1999년 영국 IBC(International Biographical Center) 선정 ‘20세기 세계학술연구업적 수상자’ 주된 저술: 문학과 미술의 만남(2004, 학술원 추천도서), 열린 미학의 지평(공저, 2008), Intermedialit¦t und Kulturkomparatistik(2007, 독일 P. Lang 출판사), 마가복음 읽기(2014), 요한계시록 해석(2016), 신약성서의 비유이야기(2017), 우리는 아직도 기적을 기다리는가?(2017), 이야기로 신약성서 읽기(2018), 그림으로 성서를 읽다(2019), 고난의 시기에 다시 읽는 요한계시록(2021), 낙원의 표상에서 하나님나라의 복음으로(2023). 예수님, 오늘 어디에 계십니까?(역서, 2023), 성서와 시(2024) 기타 학술논문 57편
펼치기

책속에서

기적(奇蹟, miracle)이란무엇인가? 사전적으로는익숙된 사물의 진행의 분쇄를 통해 놀라움을 유발하는 비범한 사건으로 정의된다. 보통 기적이라고 말할 때 여기에는 하나님이나 보다 높은 존재의 힘이 작용한다는 관념이 들어있다. 이와같은 기적의 개념은 확장될 수 있다. 원래의 의미의 기적은 그 어떤 일이 자연의 질서에 반해서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비일상의 현상은 현대의 합리주의 사고와 모순된다. 여기에서 부정적인 기적의 비판이 제기된다. 그러나 믿음의 차원에서 보면 전능한 하나님에게는 자신에 의해 창조된 자연질서의 와해가 가능하다. 구약과 신약의 기적은 이 사실을 증언한다.


성서는 기적을 으로 규정한다. 이 기본명제는 세례요한의 제자들을 향한 예수님의 자기선언에서 증명된다. 예수님은 메시아의 존재와 신분을 물어보는 그들에게 병치유와 소생의 기적이 복음전파의 증거라고 답변한다. 이를 위해 이사야서에연속해서 등장하는 선지자의 예언을 인용한다(26.19, 29.18-19, 35.5-6, 61.1). 고귀한 전승의 구절은 마태와 누가에 의해 의미 있게수용된다(마태 11.4-6, 누가 7.22-23). 두 병행구문에 언급된 다섯 가지 기적은 유대민족이 고대하였던 메시아의 구원사역의의 실행이다. 그것은 무한한 긍휼과 자비의 산물이다. 예수님은 세례요한을 향한 전언의 마지막에서 복음을 믿는 자에게 주어지는축복을 지적한다. 기적의 수행을 통한 는 신약의 기적이야기를 서술하는 기본지침이다.
성서의 기적은 세계의 사건과 자연의과정으로의 하나님의 개입이다. 이것은 성서에 기록된 두 가지중요한 기본사실에서 확인된다. 하나는 이다. 원초의 기적인 천지창조의 사역에는원시의 혼돈의 상태로부터의 창조가 하나님의 말씀의 권능에 의거한다(창세기 1.1-2). 창조의 “로고스”(logos)는 사도 요한에 의해 “육화된” 예수님으로 이어진다. 요한복음을 열어주는 “로고스 찬가”에는 태초의 말씀이 지상으로 내려와 “장막의 거처(eskenosen)”가 된다(요한 1.14).


신약의 기적이야기의 주연은 적극적 활동의주체인 예수님이다. 기적의 대상자, 중재자, 목격자는 모두 조연에 불과하다. 이야기로서의 기적서술의 중심에는예수님이 서있다. 문화사의 문맥에서 역사적 예수는 고대의 기적행위자의 스펙트럼에서 특별한 로 부각된다. 나사렛(Nazaret) 예수는 역사적 인물이나 문학적 주인공으로서의 기적행위자와 뚜렷하게 구분된다. 헬레니즘과 유대의 문서에 등장하는 적지 않은 기적행위자는 모두 역사의 변화에 종속된 상대적 형상이다. 그러나 신약성서의 기적이야기에 제시된 예수님은 악령추방자이며 동시에 예언적 기적수행자이다. 후자의 경우는 구약과 유대의 문서에 예언된 기적의 실현자로 나타난다.
악령의 추방과 질병의 치유는 예수님의 기적수행에서 상이한방식으로 평가된다. 앞의 경우는 투쟁과 관철을 상징하는데 비해 뒤의 경우는 회복과 실현을 지시한다. 악령의 추방은 하나님의 나라가 지상에 성취되는 종말의 관점에서 이해된다. 예수님의 기적행위는 종말적 선포의 틀에서 기대되어진 하나님의나라의 도래에서 그 의미가 드러난다. 이에 반해 질병의 치유는 지상에서의 육체적, 정신적 고통의 해소이다. 그러나 두 기적의 형식은 복음의 구원이라는 차원에서 하나로 용해된다. 기적행위의 대상이 되는 고통의 속성에도 서로 연결된다. 즉 악령의 사로잡힘과 질병의 발생은 동일한근원에서 설명된다. 이와 같은 사고에는 귀신들림의 현상에 관한 병리학적 진단이 작용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