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상담/치유
· ISBN : 9788992193436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24-05-0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김준수 박사 | 아신대학교 상담학 교수 1
안경승 박사 | 아신대학교 상담학 교수,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회장 2
노기순 간사 | 예수전도단 독수리사역 상담학교 코디네이터 3
프롤로그 8
제1부 정서의 이론적 이해
제1장 정서의 이해 16
1. 정서 개념 25
2. 정서 특징 31
3. 정서 발달의 이해 37
제2장 일반 심리학의 정서 이해 47
1. 다양한 학문에서 바라본 정서적 관점의 일반적 이해 47
2. 심리 이론에서의 정서 이해 54
제3장 기독교 상담의 정서 이해 66
1. 구속사에서 보는 정서 66
2. 성경에서의 정서 85
3. 기독교 상담과 정서 101
제2부 영적 성숙에 대한 이론적 이해
제4장 심리학의 영적 성숙 118
1. 심리학에서의 영성 118
2. 심리학에서 바라본 성숙 이해 120
제5장 기독교 상담의 영적 성숙 132
1. 기독교 상담에서의 영성 132
2. 기독교 상담에서의 성숙 136
3. 기독교 상담과 영적 성숙 138
4. 성경에서 말하는 영적 성숙 146
제3부 정서와 영적 성숙 관련성
제6장 기독교 상담과 심리학에서 본 영적 성숙의 통합 155
1. 통합의 필요성과 의미 155
2. 통합의 주요 관점 158
제7장 영적 성숙 발달론과 정서 165
1. 카터(Carter)의 영적 성숙론 165
2. 헥버그와 겔리치(Hagberg & Guelich)의 신앙론 169
3. 정서 지능 4 요인론 174
4. 발달론과 정서 그리고 현실 지각력의 관계 181
5. 정서가 영성에 미치는 영향 184
제8장 심리학에서 다루는 정서와 영적 성숙의 영역 190
1. 자존감과 정서 191
2. 자아실현의 성숙과 정서 194
제9장 기독교 상담에서 다루는 정서와 영적 성숙의 영역 197
1. 정서의 영, 성령 197
2. 성령의 열매(갈 5:22-23) 199
3. 팔복(마 5:1-12) 203
4. 거룩한 정서 209
제10장 정서와 영적 성숙에 대한 새로운 인식 214
1. 정서 치유와 영적 성숙의 과정적 연결 214
2. 정서와 영적 성숙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 219
참고 문헌 222
저자소개
책속에서
정서는 한 개인이 현실 적응을 위해 필요한 영역으로, 개인의 내적 세계와 외적 세계의 지각을 연결하는 신호의 자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한마디로 정서는 현실지각력의 근원이다. 이것은 지금-여기 존재하는 나로서의 자각을 포함한다.인간이 진정한 자기와 연결되려면 내면의 감정을 경험해야 하며 이것이 실존이다.인간이라면 느껴야 한다.느낀다는 것은 인간을 특징 지우는 중요한 요소이다.인간이 지금 여기서 느끼는 것이 현실이고 현존의 증거라고 할 수 있다
정서 발달이 중요한 이유 중하나는 창조의 자기로 존재하려는 것이다. 우리가 삶의 갈등이나 고통 혹은 편안한 환경 등어느 환경이나 상황에 놓이더라도 우리의 의지대로 움직일 수 있고 선택할 수 있는 하나님으로부터 부여된 온전한 선택권을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나‘로서 자율성과 주도성, 주체성의 사용을 위해 정서 발달은 가장 기본적 요소이다. 이를 토대로 인간 발달의 궁극적 목표와 방향성은 내가 누구인지 정체성의 자각을 통해 실존하는 관계의 발달이다. 그 관계의 중심에 정서가 존재한다.
창조의 정서는 실존하는 인간의 정직한 상태로 하나님과 연결된 통로지만 타락한 인간 속성이 현실 속에서 하나님 혹은 정서 본연의 건강한 창조성을 온전히 자각하고 정직한 느낌으로 인식하기란 쉽지 않다.오히려 사탄은 하나님이 인간 자기 실존 상태를 경험하도록 만드신 정서의 통로를 사용하여 잘못 자각하도록 유혹하고 잘못 인식하게 함으로써 타락한 인간이 경험하는 자기 느낌을 불신하고 거부하거나 억압으로 하나님에게서 멀어지게 만드는 통로로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