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토목공학 > 토목공학 기초
· ISBN : 9788992259620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0-12-16
책 소개
목차
제1장 암석의 종류와 분류
1.1 퇴적암
1.1.1 퇴적암의 생성 과정
1.1.2 퇴적암의 특징
1.1.3 퇴적암의 분류
1.2 화성암
1.2.1 화성암의 산상
1.2.2 화성암의 구조 및 조직
1.2.3 화성암의 분류
1.3 변성암
1.3.1 환경과 암석의 변성
1.3.2 변성암의 구조
1.3.3 변성암의 분류
1.4 암석의 풍화작용
1.4.1 암석의 풍화 특성
1.4.2 풍화대의 시공과 구분방법
제2장 변형작용과 지질구조
2.1 연성전단대
2.2 습곡
2.2.1 습곡의 각 부분 명칭
2.2.2 습곡의 종류
2.3 절리
2.4 단층
2.4.1 단층의 종류
2.4.2 단층의 구분 방법
2.4.3 단층조사법과 건설공사
2.4.4 활성단층의 정의
2.4.5 단층 등급분류의 예
2.5 부정합
2.5.1 부정합의 종류
2.5.2 부정합의 인지
2.6 불연속면
2.6.1 방향성
2.6.2 간격
2.6.3 연속성
2.6.4 거칠기
2.6.5 벽면강도
2.6.6 간극
2.6.7 충전물
2.6.8 누수
2.6.9 불연속면군의 수
2.6.10 암괴의 크기 및 모양
2.7 취성파괴이론
제3장 한반도의 지질구조
3.1 옥천습곡대
3.2 추가령단층대
3.3 호남전단대
3.4 양산단층대
3.5 지질연대 및 층서
제4장 선캠브리아 시대의 암석
4.1 경기도 및 강원도 일대의 변성암류
4.1.1 경기편마암복합체
4.1.2 서산층군
4.1.3 춘천누층군
4.1.4 연천층군
4.1.5 태백산편마암복합체
4.2 전라도 및 경상도 일대의 변성암류
4.2.1 소백산편마암복합체
4.2.2 지리산편마암복합체
4.3 변성암의 풍화특성 및 불연속 암반의 이방성
4.3.1 옥천대의 천매암
4.3.2 선캠브리아기의 운모편암
4.4 불연속 암반의 이방성 및 역학적 거동
제5장 고생대의 암석
5.1 충청지역의 옥천대 변성암
5.2 강원지역과 단양-문경지역의 고생대 지층
5.2.1 조선누층군
5.2.2 평안층군
5.3 석회암 지반의 문제점
5.3.1 석회암 지대에서 발견되는 특징적 구조
5.3.2 석회암 지대의 지표침하
5.3.3 지하수위 변화
5.3.4 풍화토층(풍화잔적토)의 형성 단면구조
제6장 중생대의 암석
6.1 충남 보령 일대의 중생대 퇴적암(남포층군)
6.2 단양-문경 일대의 중생대 퇴적암(반송층군)
6.3 서울-경기-충청 일대의 화강암류(대보화강암)
6.3.1 서울 화강암
6.3.2 관악산 화강암
6.3.3 수원 화강암
6.3.4 남양 화강암
6.3.5 안성 화강암
6.3.6 이천 화강암
6.3.7 인천 화강암
6.3.8 김포 화강암
6.3.9 강화도 화강암
6.3.10 양평 중성-염기성 복합체
6.4 경상도 일대의 백악기 퇴적암과 화성암(경상누층군)
6.4.1 신동층군
6.4.2 하양층군
6.4.3 유천층군
6.4.4 백악기 소분지
6.4.5 불국사 화강암
6.5 화강암 및 퇴적암의 풍화특성
6.5.1 화강암의 풍화특성
6.5.2 마사토
6.5.3 퇴적암의 풍화특성
제7장 신생대의 암석
7.1 포항분지
7.2 제4기의 제주도의 화산암
7.3.1 지질
7.3.2 지질구조
7.3.3 제주도의 지반조사 시 유의점
7.3 울룽도와 독도의 지질
7.3.1 울릉도의 지질
7.3.2 독도의 지질
7.4 점토광물 및 특수지반
7.4.1 점토광물
7.4.2 특수지반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