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92264860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15-09-01
책 소개
목차
제 1 장 표준화
1.1 표준과 표준화는 무엇인가?
1.2 표준화의 목적
1.3 표준화의 효과
1.4 표준 패러다임의 변화
1.5 표준의 분류
1.6 표준.품질.적합성평가
제 2 장 사내표준화
2.1 사내표준화 개요
2.2 사내표준화 목적
2.3 사내표준의 요건
2.4 사내표준화의 기대효과
제 3 장 사내표준화 프로세스
3.1 개요
3.2 방침 설정
3.3 추진조직 구성 및 운영
3.4 추진계획 수립
3.5 경영시스템 분석
3.6 사내표준화 대상 선정
3.7 부문별 사내표준안 작성
3.8 사내표준안 심의.등록
3.9 실행.유지.관리
제 4 장 관리표준 및 기술표준 작성방법
4.1 관리표준 작성방법
4.2 기술표준 작성방법
제 5 장 사내표준모델
5.1 사내표준목록별 규정내용
5.2 사내표준모델 목록
제 6 장 질의응답(Q&A)
부록
심사항목별 사내표준모델
공장심사보고서
※ 심사항목별 사내표준모델(CD수록)
저자소개
책속에서
사내표준화 대상 결정
표준화의 대상은 업무방법과 절차 및 작업방법이 정해져 있지 않아 부적합이 발생하는 것들이다. 표준화의 대상은 물적 요소와 업무분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제품의 종류, 성능, 단위, 용어, 기호, 특성, 형식, 구조, 등급, 상태 등은 물적 요소에 해당하며, 조직 및 직무분장 규정과 같이 업무처리의 내용과 책임, 권한, 절차, 양식 등에 대한 표준은 업무분야에 해당된다. 서비스산업이나 공공기관에서는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가 곧 제품이 된다. 표준화의 대상을 선정할 경우에, 표준화 적용구조로서 1950년대에 랄.베어만(L. C. Verman) 에 의해 처음 제창된 표준화 공간의 개념 속에 제시된 표준화의 주제(영역), 국면 및 수준의 3가지 축을 이용할 수 있다.
기술표준 작성방법
기술표준은 회사에서 생산하는 제품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계되는 제품의 종류, 성능, 단위, 용어, 기호, 특성, 형식, 구조 등급, 상태 등의 기술적인 사항을 표준화한 것이다. 작업표준, 설비표준, 검사표준, 제품표준, 자재표준, 기술기준, 공정도 등으로 구분된다. 제품표준은 일반적으로 완제품과 원자재 등에 대해 작성한다. 검사표준은 자재, 재료 등에 대한 인수검사표준, 공정별 반제품에 대한 중간검사표준, 최종제품에 대한 최종검사표준으로 구분하여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작업표준 작성방법
작업표준은 해당 공정의 작업자가 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재, 사용설비, 작업순서, 작업방법, 작업조건 및 작업 시 주의사항 등을 구체적으로 정한 표준을 말한다. 조직의 특성에 따라 인쇄본, 도해, 사진 등 다양한 형태로 작성될 수 있으며, 인쇄본은 서술형(작업표준) 또는 요약형(작업표준서, 작업지도서)으로 작성할 수 있다. KS인증심사기준에는 외국인이 있는 조직의 경우 사진, 도해 등을 활용하여 작업표준을 작성하도록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