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언론정보학
· ISBN : 9788992309110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07-12-1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제 1장 텔레비전의 3 시대
1) 팔레오 텔레비전 (pal?o-t?l?vision)
2) 네오 텔레비전 (n?o-t?l?vision)
3) 포스트 텔레비전 (post-t?l?vision)
제 2장 텔레비전의 소멸
1) 탈미디어화
- 고도세분화
- 관계의 점진적 변이
- 행사 제작자들의 권력 획득
2) 의존성
- 디지털 컨버전스
- 경제적 독립성의 종말
3) 탈전문화
제 3장 공적 공간의 해체
1) 텔레비전 정보의 3 시대
- 팔레오 텔레비전의 제도권형 정보
- 네오 텔레비전의 스펙터클형 정보
- 포스트 텔레비전의 퓨전형 정보
2) 사건이 곧 미디어다
3) 비동시적 토론
맺는 말
책속에서
이제 시청자에게 이야기를 하는 것은 텔레비전이 아니다. 일종의 거울놀이를 통해 시청자가 자기 자신에게, 또 자기 자신에 관하여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시청자-수용자가 바로 네오 텔레비전이라는 장치의 중앙에 놓이게 된 것이다.-p43 중에서
정부가 제작한 정보 리포트들을 살펴보다 보면 대외홍보와 저널리즘의 전통적 경계가 모호해진 세계를 여행하게 된다. 이 세계에서 지역 방송국 진행자들은 대외홍보 전문가들이 작성한 보도자료로 뉴스를 시작한다. 또한 정부가 제작한 보도자료는 위성방송, 인터넷 포털 사이트, 조합원 정보 프로그램과 방송 네트워크의 뉴스를 거치면서 전송되는 과정에서 미로 속으로 사라져버렸다가는 표백과 세탁을 거친 독립 저널리즘의 형태로 반대편에서 등장하는 그런 세계이다.-p163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