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육아 > 자녀 심리
· ISBN : 9788992309875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4-07-16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Prologue
Power Base. 파워나지움을 세우다
01. 바보들의 도전행진
정말 이렇게 살아도 되는 걸까|학교를 세우다|중국으로 몰려오는 한국 학생들
02. 교육의 리노베이션을 이루다
03. 학교 이상의 파워나지움
공부란? 교육이란?|인재발전소 '파워나지움'
Power One. 네트워크 파워
01. 학교를 넘어, 우리는 가족
선후배를 없애라|하창이가 경험한 'NO 선후배' 문화|SNS=스쿨 네트워크 서비스
02. 양떼들의 목자같이
시험 치는 선생님|교장실의 우유카페|유라의 우유타임|삶으로 가르치는 교육|목장을 만들다|파자마 나이트|돌봄과 섬김이 있는 곳, 목장|내게 목장이란?
03. 인간관계, 지금이 아니면 늦다
생활관, 관계훈련의 Best Place
★ 부모 & 교사를 위한 실천로드맵
Power Two. 멘털 파워
01. 감사 in Everything
감사의 과학|감사와 학업성취도|감사로 내면을 성형하다|감사 습관이 멘털 파워를 키운다
02. 멘털 파워의 적, 비교의식
세 통의 편지|힐링으로 멘털 파워를 키운다|24/360 원칙|자기 사랑, 멘털 파워의 기초
03. 돌파의 능력
다윗 프로젝트|다윗 프로젝트 1 ? 장거리 도보여행|다윗 프로젝트 2 - 기초 군사훈련|멘털 강화 프로그램을 만들라
★ 부모 & 교사를 위한 실천로드맵
Power Three. 브레인 파워
01. 학생에 의한, 학생을 위한 학습법
솔로몬 프로젝트|스터디메이트를 만들다|멘토링 시스템으로 실력을 배가하다
02. 뇌 과학을 활용하라
학습의 메커니즘|행복감이 중요하다|음악을 타고 흐르는 행복 호르몬|위클리 테스트와 생활그래프|토론식 수업으로 뇌를 자극하다|뚜랑커우학교의 성공스토리|토론교육현장을 오픈하다
03. 뇌가 똑똑해지려면
다니엘 프로젝트|중독의 함정을 멀리하라|뇌사랑 프로그램을 실시하다
★ 부모 & 교사를 위한 실천로드맵
Power Four. 모럴 파워
01. 정직의 경쟁력
치팅(cheating)의 심리학|거짓말은 파괴를 부른다|찬민이의 정직훈련
02. 부모사랑으로 키워지는 모럴 파워
부모, 자녀를 이어주는 손 편지
03. 기부와 자선, 기적을 이루는 힘
기부와 자선, 기적을 이루는 힘|나눔의 기쁨을 알게 하라|정빈이의 쌈짓돈 기적|학생들이 만든 장학재단|마음 따뜻한 인재
★ 부모 & 교사를 위한 실천로드맵
Power Five. 리더십 파워
01. 셀프 리더십
셀프리더십, 바인더에서 시작하다|유리의 바인더 예찬|연정이의 셀프 리더십, 관점의 변화|은찬이의 셀프 리더십, 스스로를 사랑하는 법
02. 공동체 리더십
영진이의 화장실 리더십|찬희의 방장 리더십|희진이의 부목자 리더십|누구나 리더가 될 수 있다
03. 소셜 리더십
아웃리치, 소셜 리더십의 인텐시브코스|중국어와 영어로 글로벌 리더십을 키워라|다중문화 리더십을 키워라|G2를 정복하는 리더|Multi-cultural Global Servant Leaders
★ 부모 & 교사를 위한 실천로드맵
Power Six. 바디 파워
01. 운동화를 신은 뇌
운동의 뇌 과학|운동의 경쟁력|체육수업을 살려라
02. 음식조절능력
아침식사가 성적을 좌우한다|장을 다스리는 능력이 필요하다|장 건강이 뇌 건강이다|두뇌김밥과 해독주스|식습관으로 자기를 사랑하라|음식조절능력이 두뇌경쟁력을 높인다
★ 부모 & 교사를 위한 실천로드맵
Power Seven. 스피리추얼 파워
01. 죽음을 공부하라
죽음을 기억하라|규혁이의 유언장|유나의 관 체험|죽음을 공부하라|끝이 아닌 완성
02. 삶을 공부하라
창고 인생 vs 통로 인생|수정이의 통로인생|삶을 공부하라
★ 부모 & 교사를 위한 실천로드맵
Epilogue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Something Different를 가진 자는 Somebody Different가 된다. ‘Number One’이 아닌 ‘Only One’으로 세상을 특별하고 남다르게 살아가는 사람 말이다.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든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든, 교육의 목적은 이런 사람을 만들어내는 데 있다. 그러나 지금 우리의 교육현실은 어떠한가. 온통 ‘Number One’만을 향해 달음박질치도록 채찍질 하고 있지 않은가. -서론 中
KAIST 공학박사에 스탠퍼드 대학(Stanford University) 포스트닥터. 별 탈 없이 안락한 삶을 누릴 수 있을 터였다. 하지만 내 진짜 삶을 들여다 본 이후로 나는 성공에만 만족하는 삶을 더 이상 살아갈 수 없었다. 이미 내 안에는 나와 같이 ‘생존’ ‘출세’ ‘욕망’에 휩싸여 방황하는 사람들이 올바른 가치관에 입각한 꿈과 희망을 찾고 성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싶은 사명이 생겨버렸다. 결국, 온갖 부러움을 살만한 조건들을 뿌리치고 주변 사람들로부터 미쳤다는 소리를 들어가며 중국으로 향했다. -바보들의 도전행진 中
몸 안의 질병을 찾기 위해 병원에서는 MRI를 돌리듯이, 우리 교사들은 학생들의 개선해주어야 할 점들을 찾기 위해 24/360이라는 4차원 MRI를 작동시킨다. 청소년기는 기분 좋았다가도 갑자기 시무룩해지고, 고민이 많아지는 시기다. 이때 자기 사랑이 소멸되기 쉽다. ‘자기사랑’은 자존감을 회복하기 위한 선행과정이다. 자존감은 아무리 높이라고 말해도 저절로 높아지지 않지만, 자신을 사랑하는 법을 배우면 자존감은 저절로 높아진다. 때문에 자기 사랑이 소멸되려 할 때마다 아이들을 만나 자존감을 북돋아주어야 한다. 이를 반복하다보면 그 후 어떤 흔들림 속에서도 분명한 자기 정체성을 갖게 된다. -24/360법칙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