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초등 자녀
· ISBN : 9791199206595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25-11-19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며
“불안 대신 습관을, 조급함 대신 오늘을”
Chapter 1 초등 시기, 매일 공부 습관이 필요한 이유
01 공부 머리보다 중요한 습관의 힘
02 가장 중요한 일은 ‘큰 그림’을 그리는 것
03 공부 습관을 잡을 수 있는 마지막 시기
04 매일 공부의 종착지, ‘자기주도 학습’
Chapter 2 과목별 매일 공부 습관 만드는 법
01 국어: 평생의 무기가 되는 읽기, 쓰기, 말하기
목표 | 예습 | 복습 | 독해 문제집 | 어휘력 | 단원평가 | 서술형 평가 | 글쓰기 | 논술 | 발표 | 경청 | 토론
02 독서: 입시 결과를 좌우하는 결정적 차이
초등 독서의 중요성 | 독서 적정 시간 | 독서 환경 | 학습만화 | 독서 기록 방법 | 디지털 콘텐츠 활용
03 수학: 하루 한 쪽부터 차근차근
초등 수학의 중요성 | 복습 | 연산 | 단원평가 | 심화 학습 | 사고력 수학 | 선행학습
04 영어: 의지보다 습관의 힘으로
목표 | 교과서 | 듣기 | 말하기 | 읽기 | 독해 교재 | 쓰기 | 어휘 | 학원 | 화상영어 | 문법
05 사회: 문제 풀이보다 개념 확인
초등 사회의 범위 | 교과서 | 배경지식 | 단원평가 | 서술형 평가 | 한국사
06 과학: 문제집보다 교과서와 실험관찰
초등 과학의 목적 | 일상 속 과학 | 교과서 | 단원평가 | 서술형 평가
07 사교육 위주 과목 살펴보기
사교육 선택 기준 | 한자 | 운동 | 악기 | 미술 | 코딩 | 제2외국어
08 초등, 다양한 공부 방법 시도하기
교과서 | 문제집 | 학습지 | 태블릿 학습 | 학원
Chapter 3 초등 매일 공부 1년 계획
01 초등 매일 공부 계획 세우기
02 학기 중 평일 공부하는 법
03 방학 중 매일 공부하는 법
04 주말, 휴일 활용하는 법
05 여행, 체험학습 활용하는 법
06 틈새 시간 활용하는 법
Chapter 4 초등 매일 공부를 위한 스마트 기기 활용법
01 스마트 기기, 무조건 나쁜 걸까?
02 위험과 유혹, 어떻게 관리할까
03 학습 도구로 지혜롭게 활용하자
04 아이의 스마트폰, 언제부터 어떻게?
05 스마트 기기 활용을 위한 가족의 원칙
Chapter 5 초등 매일 공부를 위한 부모의 원칙
01 기본 습관: 공부에 앞서 준비해야 할 것들
02 환경과 집중력: 집중은 의지가 아니라 환경에서 싹튼다
03 계획과 피드백: 아이가 직접 계획하고 움직일 수 있도록
04 칭찬과 보상: 과정은 ‘다정하게’ 결과는 ‘무심하게’
05 건강과 리듬: 성장의 시간, 효율 높이는 건강 관리
06 호기심과 탐구력: 호기심을 잃지 않은 아이가 멀리 간다
07 비교와 자존감: 비교 대상은 우리 아이의 어제와 오늘
08 관계와 소통: 말보다 태도, 훈육보다 공감
09 진로와 동기부여: 꿈은 성적표가 아닌 대화에서 시작
10 기다림과 신뢰: 아이 안에 이미 있는 힘을 믿고 지지
맺으며
“다시 초등 아이를 키운다면”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타고 난 공부 머리보다 훨씬 더 중요하고 결정적인 건, 바로 매일 조금씩 더해지는 습관의 힘이랍니다. 매일 하는 일은 일상에 녹아들고, 결국 힘들지 않은 일이 되거든요. 정성스럽게 길러진 공부 습관은 아이에게 입시라는 긴 여정을 ‘억지로 하는 일’이 아니라, ‘하던 대로 계속하다 보면 좋은 결과도 따라올 수 있는 일’로 느끼게 만들어 줄 거예요.
매일 공부의 종착지는 결국 ‘자기주도 학습’입니다. 처음엔 부모의 손이 많이 가지만 공들여 완성된 공부 습관은 분명 아이를 위한 것이면서도, 그 과정을 함께 걷는 부모에게도 커다란 선물처럼 돌아옵니다. 매일 아이와 마주 앉아 공부하며 나누는 대화 속에서 부모는 아이를 더 깊이 이해하게 되고 아이 덕분에 부모도 함께 성장합니다. 시작은 아주 작고 단순한 습관이지만, 부모의 신뢰와 기다림 안에서 단단한 힘이 만들어집니다. 정해진 진도를 앞서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삶을 이끄는 연습을 하는 것, 이것이 바로 자기주도 학습입니다.
초등 시기에 성적에 도움될 일정을 추가한다면 진짜 우선순위는 독서 시간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독서를 먼저 챙기고 난 다음에 숙제와 문제집을 추가해도 늦지 않습니다. 독서가 만들어준 논리력, 사고력, 문해력이라는 힘은 사교육으로 얻을 수 없는 입시 체력의 원천입니다. 입시에서는 결국 스스로 버티는 아이가 이기는데, 그 아이의 내면을 지탱해주는 뿌리가 바로 독서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