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사
· ISBN : 9788992486125
· 쪽수 : 840쪽
· 출판일 : 2011-11-21
책 소개
목차
총론
제1장 명(明)·청(淸)의 건축
제1절 자금성(紫禁城) 궁전
제2절 천단(天壇)과 능침(陵寢)
제3절 사묘(寺廟)와 민가(民家)
제4절 원림(園林)
제2장 궁정회화(宮廷繪?)
제1절 명대의 궁정회화 활동
제2절 청대의 궁정회화
제3장 직업화가와 문인화가의 병존 시대
제1절 대진(戴進)·오위(吳偉)와 절파(浙派)
제2절 ‘오파(吳派)’의 지도자 심주(沈周)와 문징명(文徵明)
제3절 당인(唐寅)과 구영(仇英)
제4절 ‘백양(白陽)’·‘청등(靑藤)’의 사의 화조화
제5절 ‘남진북최(南陳北崔)’와 증경(曾鯨)의 인물 초상화
제4장 동기창(董其昌)과 송강파(松江派)
제1절 오문(吳門)의 쇠퇴와 송강(松江)의 흥기
제2절 동기창(董其昌)의 생애와 예술
제3절 동기창의 남북종설(南北宗說)
제5장 청대 초기의 화단과 ‘사왕(四王)’·‘사승(四僧)’
제1절 창신(創新)에 몰두한 청대 초기 금릉(金陵)·환절(?浙)의 화단
제2절 ‘사승(四僧)’의 예술 창조
제3절 ‘청초(淸初) 육대가(六大家)’의 회화 공력
제6장 양주(揚州) 화단과 ‘양주팔괴(揚州八怪)’
제1절 청대 중기의 양주화파(揚州?派)
제2절 ‘양주팔괴(揚州八怪)’
제3절 화암과 양주의 기타 화가들
제7장 만청(晩淸) 시기의 상해(上海) 화단
제1절 허곡(虛穀)의 생애와 예술
제2절 해상(海上) 삼임(三任)
제3절 시사신문(時事新聞) 화가 오우여(吳友如)
제4절 전혜안(錢慧安)과 상해의 화회(?會)
제5절 오창석(吳昌碩)과 그의 예술
제8장 명(明)·청(淸) 판화의 예술 성취
제1절 명·청의 궁정 판화
제2절 민간 판화 중심과 소설·희곡 등의 삽도(揷圖)
제3절 화보(?譜)와 전보(箋譜)
제4절 민간 목판(木版) 연화(年?)
제5절 문인화가와 삽도 판화
제9장 서법(書法)
제1절 명대(明代)의 서법
제2절 청대(淸代)의 서법
제10장 명(明)·청(淸)의 조소(彫塑)
제1절 사관(寺觀)의 조소
제2절 능묘(陵墓) 석조(石彫)와 묘용(墓俑)
제3절 금동(金銅) 불교(佛敎) 조상(造像)
제4절 공예(工藝) 조소가(彫塑家)들
제11장 다양하고 화려한 명·청의 공예 미술 (상)
제1절 명·청 공예 미술의 개요
제2절 자도(瓷都) 경덕진(景德鎭)
제3절 주류의 지위를 차지한 청화자기(靑花瓷器)
제4절 명·청 시대의 채색 자기[彩瓷]
제5절 색유(色釉)
제6절 지방의 유명 자기들
제12장 다양하고 화려한 명·청의 공예 미술 (하)
제1절 정교하고 우아하며 정취 있는 옥기(玉器)
제2절 칠기(漆器)의 황금시대
제3절 명·청 시대의 법랑(琺瑯)
제4절 명·청 시대의 가구(家具)
부록 1 중국의 연호 : 명(明)·청(淸) 시대
부록 2 도판목록
부록 3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