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92619813
· 쪽수 : 386쪽
· 출판일 : 2013-08-23
책 소개
목차
저자서문5
제1장
누가복음 배경 연구·13
복음서 연구의 한 전제 . 누가복음의 역사적 배경 . 누가복음의 문화적 배경 .
누가복음의 사회적 배경
제2장
누가복음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29
왜 누가복음을 설교해야 하는가? . 누가복음에서 무엇을 설교해야 하는가? . 누가복음이 말하는 ‘복음에 합당한 삶’이란 무엇인가? . 목회 현장에서 잘못 해석되며 설교되는 누가복음 본문이 있다면? . 누가복음을 설교하려는 설교자들이 주의해야 할 점과 참고 주석 소개
제3장
누가신학의 기독론·47
섬기는 자로서의 예수
문제제기 . 새로운 기독론 접근의 가능성 . 마가복음의 구속적 기독론 .
누가복음의 사회구원적 기독론 . 가난한 자를 위한 복음 .
전인 구원적 기독론을 향한 제언
제4장
누가신학의 제자도·67
들어가는 글 . 복음서 해석의 두 가지 원리 . 본문 상의 차이점 .
누가 신학에서의 제자도의 조건 . 제자도의 조건으로서의 ‘모든 것’의 포기 .
나가는 글
제5장
누가신학의 성령론·85
들어가는 말 . 누가복음에서의 성령 . 사도행전의 성령론 . 오순절 성령강림 사건(행 2:1-4) . 오순절 성령강림 사건의 단회성과 연속성 . 사마리아 성령강림 사건(8:14-24) . 고넬료 가정에서의 성령강림 사건(행 10:44-48) . 에베소 교회에서의 성령강림 사건(행 19:1-7) . 사도행전에 나타난 누가신학의 성령론의 특징 . 나가는 말
제6장
누가의 여성신학·143
들어가면서 . 누가복음에 나타난 여성의 향상된 이미지 . 그러면 왜 여성 사도는 없는가? . 이상(理想)과 상황(狀況)의 조화 . 국문초록
제7장
누가의 선교신학·175
선교사로서의 누가 . 복음서에 나타난 누가의 선교신학 . 사도행전에 나타난 누가의 선교신학 . 누가신학의 ‘제1주제’로서의 복음전도
제8장
누가복음의 비유 연구·197
재물 주제와 관련된 비유들: 사랑의 실천 . 기도에 관한 비유들 . 기타의 비유들
제9장
부자 관원은 왜 떠나가지 않았을까?·219
복음서의 다양성에 입각한 본문 해석의 두 번째 경우
Ⅰ. Ⅱ . Ⅲ
제10장
누가복음의 서문 연구·229
그리스/로마 문화양식에 따른 헌정사
데오빌로는 가공(架空)의 인물인가? . 데오빌로는 그리스도인인가? .
대표적 수신인으로서의 데오빌로
제11장
마리아의 찬가에 대한 소고·241
들어가며서 . 사회복음적 의미
제12장
누가의 예루살렘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연구·253
들어가는 말 . 마가복음에서 예루살렘의 부정적 이미지 .
예루살렘에 대한 긍정적 자료들 . 긍정적 이미지의 동기들 . 나가는 말
제13장
공동체적 관점에서의
이웃 개념과 이웃 사랑·273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눅 10:25-37)를 중심으로
들어가는 말 . 비유의 문맥 및 배경 .
이웃과 맺어야 할 바른 관계는 무엇인가? . 나가는 말
제14장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삶의 원리로서의 ‘우리 의식’ 연구·291
한국사회의 현 주소 .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삶의 특성 .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삶의 원리-”우리 의식” .
결론: 한국 사회의 공동체성 회복을 위한 제언
제15장
누가-행전에 나타난
용서와 화해·315
들어가면서 . 누가복음에서의 용서와 화해 . 사도행전에서의 용서와 화해 .
나가면서
제16장
누가복음과 신명기 사이의 상관성 연구·337
들어가면서 . 선지자로서의 예수 그리스도 . 예수님의 광야시험 사건 .
나가면서
참고문헌·361
성구색인·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