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북한의 통치체제

북한의 통치체제

(지배구조와 사회통제)

안희창 (지은이)
명인문화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1개 10,9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10,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북한의 통치체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북한의 통치체제 (지배구조와 사회통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88992803823
· 쪽수 : 357쪽
· 출판일 : 2016-01-11

책 소개

저자 안희창 통일연구원 객원연구위원은 북한체제의 기이함과 체제유지 배경을 북한의 지배구조와 사회통제를 통해 분석하고, 수령-당-대중의 통일체라는 유기체적.일심동체적 지배구조와 당근과 채찍을 겸비한 고차원의 통제가 그 요인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목차

서문 X

▶제1장◀ 서론 1

1부 북한의 지배구조
▶제2장◀ 북한 지배구조의 형성과 특징 13
1 북한 지배구조의 형성과 변천 13
2 북한 지배구조의 특징 17
1) 전통적 지배 _ 18
2) 합법적 지배 _ 21
3) 카리스마적 지배 _ 23

▶제3장◀ 혁명과 건설의 최고 영도자, 수령 26
1 북한주민에게 ‘수령’이란 26
2 수령론의 기원과 구조 32
1) 수령론에 관한 개념정리 _ 32
2) 주체사상의 이론화와 수령론의 파생 _ 34
3) 수령론의 구조와 정식화 _ 41
3 수령론 왜 만들었나 54
4 김정은 3대 세습과 수령체제 정립 57

▶제4장◀ 수령 영도의 집행기관, 노동당 61
1 노동당의 본질적 성격 및 목표 61
1) 노동당의 본질적 성격 _ 61
2) 노동당의 목표 _ 77
2 노동당의 활동 원칙 및 방식 80
1) 노동당 활동 원칙 _ 80
2) 노동당 활동 방식 _ 91
3 노동당의 조직 체계와 기능 97
1) 중앙조직 _ 97
2) 지방 및 하부 조직 _ 105

▶제5장◀ 수령과 당의 무장력, 군대 110
1 군대의 핵심 조직과 기능 111
1) 총정치국: 군의 중추 _ 111
2) 총참모부: 작전 총괄 _ 118
3) 인민무력부: 군정권 보유 _ 119
4) 최고사령부: 비상시 전권 _ 120
2 군 운영을 둘러싼 쟁점 122
1) 총정치국은 어디 소속인가 _ 122
2) 군대지휘는 누가 하나 _ 124
3 북한군 운영체계: 수령의 유일적 영군체계 125

▶제6장◀ 당과 인민의 연결고리, 국가기구 138
1 국가기구의 개념 및 조직 원리 138
1) 국가기구의 개념 _ 138
2) 국가기구의 조직 원리 _ 140
2 북한헌법의 변천과정 143
3 국가기구별 지위와 변천과정 146
1) 최고인민회의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_ 146
2) 국방위원회와 국방위원장 _ 148
3) 내각 _ 153
4) 검찰소와 재판소 _ 154
5) 지방인민회의와 지방인민위원회 _ 155

2부 북한의 사회통제

▶제7장◀ 북한 사회통제의 개념과 특징 161
1 사회통제의 개념과 북한에의 적용 161
2 북한 사회통제의 특징 164
1) 거미줄 감시망과 혹독한 처벌 _ 164
2) 주민설득용 체제논리 개발 _ 167
3) 통제강화와 통제완화의 병행 _ 170

▶제8장◀ 김일성시대 사회통제의 기본체계 175
1 사회통제 주체로서의 당: 조직지도부에 의한 전일적 통제 175
2 사회통제를 위한 구조 180
1) 온 사회의 조직화와 총화 _ 180
2) 사회주의적 소유와 중앙집권적 계획경제 _ 186
3) 식량배급제 _ 192
3 사회통제를 위한 방식 194
1) 설득에 의한 통제 _ 194
2) 강제에 의한 통제 _ 201

▶제9장◀ 김정일시대 사회통제의 변화와 특징 215
1 사회통제 변화 요인: 쯔나미 체제위기 215
1) 체제위기의 배경 _ 215
2) 체제위기의 실상: 전통적 통제의 붕괴 _ 223
2 사회통제의 변화 내용 228
1) 사회통제 주체의 변화: 노동당에서 인민군으로 _ 228
2) 사회통제 구조의 변화: 사회주의원칙 하에 실리 추구 _ 247
3) 사회통제 방식의 변화 _ 271

▶제10장◀ 김정은시대 사회통제 특징 284
1 사회통제 주체로서의 당의 위상 복원 285
2 지도사상의 변화: ‘김일성-김정일주의’ 292
3 공포정치의 극대화와 친(親)인민적 리더십 298

▶제11장◀ 결론 306

주 320
참고문헌 341
찾아보기 355
저자소개 360

도표
31 주체사상의 구성체계: ‘주체사상 총서’를 중심으로 34
32 주체사상의 철학적 원리 40
33 주체사상의 사회역사 원리 41
34 주체사상의 지도적 원칙 42
41 ‘수령의 유일적 영도체계’와 그 구성요소의 지위역할 68
42 수령·당·국가정권·근로단체·대중의 관계도 69
43 북한의 사회주의, 공산주의 사회 건설 단계 80
44 북한의 계층별 지방당조직 체계 107
51 2014년 북한의 군사지휘기구도 111
52 북한군 지휘, 당조직, 정치기관 관계 113
53 2012년 북한의 군사지휘기구도 123
54 북한군에 대한 당적 지도와 작전관계도 137
61 북한 국가기구 체계 140
62 북한의 중앙행정기구 156
63 북한의 계층별 지방정권 및 행정기관 체계 158
91 선군혁명영도와 선군사상 및 선군정치구조 240


11 설문대상 탈북자 인적사항 9
41 북한 노동당 규약의 변화 내용 78
51 최고사령관 명령 내력 130
52 1991년 이후 당·국방위원회 결정·명령 135
71 2008년 북한의 시장 단속 일지 173
81 당중앙위원회 비서국의 역할분담 176
82 조직지도부 내부 구성 179
83 경제관련 1992년·1998년 북한헌법 내용 비교 189
84 북한의 시기별 주민성분 조사사업 203
85 국가안전보위부의 위상 변화 211
91 북한의 대중·러 교역량, 1988~1993년 219
92 선군영도·선군사상·선군정치 기원 및 발전 비교 247
93 7·1조치와 후속 관련조치의 주요내용 262
94 설문에 응한 탈북자(1,694명)의 가족 사망자 2,653명의 지역별 사망자 수 267
101 김정일체제 이후 정치국 회의(확대회의 포함) 개최 개요 287
102 김정은ㅅ대 후 당중앙군사위원회 개최 개요 288

사진
31 2002년 6월 평양고려호텔에서 열렸던 통성기도 30

저자소개

안희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일보〉외교안보팀장, 통일문화연구소장, 수석논설위원을 지낸 언론인이다. 1982년부터 2015년까지 32년의 기자 생활 중 외교안보 분야에서 20여 년을 보냈다. 외교부와 통일부를 오랫동안 출입했다. 2014년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김정일시대 북한의 사회통제 연구〉라는 논문으로 북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육군본부ㆍ공군본부 정책자문위원을 역임했다. 저서로《북한의 통치체제:지배구조와 사회통제》(2016),《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공저, 1994)이 있다.
펼치기
안희창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