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교리/강론
· ISBN : 9788992825078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21-11-12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I. 전통적인 사목 이해와 사목 미래학
1. 전통적인 사목 이해
1.1. 사목의 개념
1.2. 예수님의 사목
2.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의 사목 이해
2.1. 「사목 헌장」(Gaudium et Spes)에서의 사목
3. 사목 비전 창출의 3단계
3.1. 제1단계: 현재 실천의 객관적 파악
3.2. 제2단계: 사목신학적 성찰
3.3. 제3단계: 새로운 비전의 창출
II. 사목 패러다임의 변화
1. 2000년 교회사에서의 사목 패러다임 변화
1.1. 원그리스도교의 묵시문학 패러다임
1.2. 고대 교회의 헬레니즘 패러다임
1.3. 중세 교회의 로마 가톨릭 패러다임
1.4. 종교 개혁의 개신교 패러다임
1.5. 근대의 계몽주의 패러다임
1.6. 현대의 일치 운동 패러다임
1.7. 미래 교회의 진로
2. 200년 한국 천주교회사에서의 사목 패러다임의 변화
2.1. 평신도 사도직 패러다임(1784-1831년)
2.2. 교계제도화 패러다임(1831-1886년)
2.3. 개화 패러다임(1886-1905년)
2.4. 정교 분리 패러다임(1905-1945년)
2.5. 구호 활동 패러다임(1945-1960년)
2.6. 정의 구현 패러다임(1960-1989년)
3. 미래 사목의 패러다임
3.1. 시대에 따른 종교 환경의 변화
3.2. 시대 변화에 따른 종교 심성의 변화
3.3. 21세기 사람들이 신앙을 찾는 동기
3.4. 새로운 사목 패러다임의 모색을 위한 성찰
3.5. 요청받는 사목 패러다임
3.6. 넓은 의미의 ‘생태 웰빙’을 이해하기 위하여
Ⅲ. 한국 가톨릭교회의 전망
1. 21세기 가톨리시즘(Catholicism)
1.1. 진정 ‘가톨릭’이 되려거든
1.2. 한국 가톨리시즘의 시대적 배경: 4대 메가트렌드
1.3. 다원 문화
1.4. 21세기 영성 대안
2. 본당 활성화 방안 EP-1234
2.1. EP-1234의 개념
2.2. EP-1234의 구성
2.3. EP-1234의 원리
3. 4차 산업혁명과 미래 사목
3.1. ‘초지능 신(New Type)인류’는 아담의 후예인가?
3.2. 탐욕과 야심
3.3. 혁신 요청
3.4. 미래세대형 인간
3.5.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교회의 대칭 및 비대칭 방안
에필로그: 은총의 시대를 내다보며
주석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21세기 초입을 지나면서 한국 천주교회의 사목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청받고 있다. 정치, 사회, 문화 등 모든 영역에서 20세기 말에 비할 때 새로운 사목 상황이 전개되고 있기 때문이다. 시대의 징표를 읽고 지혜롭게 대처하라는 예수님의 말씀은 바로 오늘의 한국 천주교회에 해당하는 말씀이라고 볼 수 있다.
역사적으로 성공한 교회들이 있었고 실패한 교회들이 있었다. 성공한 교회들에는 비밀이 있다. 바로 ‘EP-1234’다. EP-1234는 본당 활성화를 위한 마스터플랜이다. 이는 단순히 공허한 이론적 기획이 아니다. 역사적으로 그리고 세계적으로 성공한 교회의 성공 비결을 원리적으로 종합한 사목 모델이다. 일선 사목 현장에서 열매를 맺는 것으로 검증된 인자들만을 체계적으로 집성한 모델이다.
가톨릭교회와 신앙인 역시 4차 산업혁명이 몰고 올 문화적 변화를 미래 인류와 함께 수용해야 할 것이다. 문화는 피한다고 피해지지 않고 외면한다고 외면당하지 않는 힘을 지니고 있다. 로봇에 의존한 가사 자동화, 직업 변동, 통신수단 진화 등으로 교회의 관리 및 운용에도 엄청난 변화가 초래될 것이다. … 교회는 지혜로운 방어책을 강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