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외과 > 정형외과
· ISBN : 9788992971881
· 쪽수 : 247쪽
· 출판일 : 2011-01-17
목차
Section 1 구조적 체요법의 배경 및 역사
CH1 구조적 체요법: 개관 7
소개 7
구조적 기능장애 7
구조적 체요법-보완적 접근 10
체형 기법 12
CH2 구조적 체요법의 역사 13
구조에 대한 전통적인 접근법 13
롤핑 14
롤핑의 초기 분파 17
구조 통합의 원리 19
CH3 다른 보완요법과 관련된 구조적 체요법 21
세 가지 핵심 보완요법 21
보완요법에 대한 다른 시각 -
Maitland의 세 가지 패러다임 23
CH4 구조적 체요법이란 무엇인가? 25
정의 25
구조적 체요법의 주요 특성 25
CH5 구조적 체요법: 자주 거론되는 질문들 31
왜 사람들은 구조적 체요법을 받는가? 31
구조적 체요법의 이점에 관한 어떤 연구가 있는가? 32
구조적 체요법은 마사지와 어떻게 다른가? 32
구조적 체요법은 측만증과 같은
비대칭 골격도 치료할 수 있는가? 33
구조적 체요법은 실제로 자세 개선에 관한 것인가? 33
Section 2 우리의 신체조직
CH6 신체 지도 37
신체에 대한 과학적 지도 38
신체적 관점 39
하나의 독특한 출발점 40
구조적 체요법의 지도 41
신체조직 내의 수준들 42
CH7 구조적 체요법의 테크닉 43
모든 신체조직층으로의 접근의 중요성 46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 46
세 개 수준의 모델 - 이완에서 통합까지 46
CH8 구조와 기능 49
구조적 방법과 기능적 방법 - 실제로 대립적인가? 50
구조와 기능의 탄생 50
신체의 구조물 52
구조적 체요법의 지도 53
구조적 및 기능적인 신체의 통일 57
요약 58
CH9 결합조직망 61
조직의 층 61
결합조직 68
근막에 초점을 맞추어 - 구조적 체요법 치료사의 영역 79
CH10 근막망의 진동하는 성질 85
길항근으로써의 근막 85
CH11 근육계 89
근육의 하위분류 89
근육조직 내에서 잘못될 수 있는 것 90
구조적인 기능장애를 야기할 수 있는 과정에 대한 개요 93
요약 96
Section 3 실습 매뉴얼
CH12 일부 흔한 자세기능장애의 유형들 99
움직임과 자세에 대한 관절운동학적인 관점 100
골격계 101
인간 모형에 대한 구조적인 개관 102
골격적으로 설명되는 자세적- 구조적 기능장애들 104
축을 이루는 구조에 대한 개관 105
CH13 구조를 치료하기 위한 몇 가지 유용한 모델들 127
내향적-외향적 모델 127
JANDA의 접근 - 긴장성 근육조직과
위상성 근육조직의 작용 134
FELDENKRAIS - ‘분노의 신체 패턴’,
그리고 HANNA의 이론 135
HANNA의 유형학에 대한 SCHLEIP의 연장 137
MYERS의 해부학 도해 139
CH14 실습: 구조적 체요법의 평가, 기술 및 전략 141
평가 141
일련의 치료 단계 계획 세우기 145
구조적 체요법의 중재 기술 147
CH15 균형 잡힌 구조를 위한 첫 번째 접근 161
보행의 시작 162
머리의 위치 유지하기 164
다섯 개의 구조적 주제 166
CH16 시상면에서의 치료 169 시상면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 근막 라인 169
전면 라인 170
후면 라인 170 시상면의 불균형에 접근하는 일반적인 프로토콜 170
시상면의 구조 체계 173
시상면의 진동을 이용한 움직임 치료 197
CH17 전두면에서의 치료 201
외측 방향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근막 선들 201
전두면에서의 비대칭적인 치료 202
전두면의 구조 체계 205
전두면의 진동을 이용한 움직임 치료 217
CH18 횡단면에서의 치료 223
횡단면의 구조 체계 223
횡단면에서의 움직임을 이용한 움직임 치료 224
CH19 견갑대의 치료 229
견갑대의 변위 229
CH20 외회전된 다리의 치료 239
역회전된 다리의 치료 239
INDEX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