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그림으로 보는 약리학

그림으로 보는 약리학

박찬웅 (지은이)
의학서원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그림으로 보는 약리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그림으로 보는 약리학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간호학 > 간호학 일반
· ISBN : 9788993153262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12-01-07

책 소개

태초부터 사람들은 살아가는 동안에 이런저런 외상이나 질병으로 고통을 받았을 것이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자연계 즉 초근목피를 이용하여 질병의 고통에서 벗어나려 노력하였을 것이다. 이 같은 과정에서 얻어진 오랜 경험과 지식이 체계를 이루어 동양에서는 본초학(本草學)으로 서양에서는 약물학(藥物學, Materia Medica)으로 학문체계를 이루게 되었다.

목차

1장 서론
1. 약리학의 정의

2. 약리학의 역사

3. 약의 기원
3.1 식물에서 얻어지는 유효성분
3.2 동물에서 얻어지는 유효성분
3.3 합성된 약품
3.4 유전공학적 방법으로 얻어지는 약품
coffee break 약의 여러 가지 명칭

2장 약작용의 일반원칙
1. 작용부위

2. 작용기전
2.1 세포 밖에서의 작용
2.2 세포 내에서의 작용

3. 수용체 개념

4. 수용체 초족속
4.1 리간드 조절성 효소
4.2 수용체 조절성 전사인자
4.3 G단백 연관 수용체
4.4 수용체 개폐성 이온통로

5. 약-수용체 상호작용

6. 신호전달체계

7. 용량반응관계
8. 용량반응곡선의 정량적 해석

9. 약물의 흡수
9.1 세포막의 구조
9.2 수동확산
9.3 중개확산
9.4 능동운반
9.5 탐식
9.6 여과

10. 약물의 투여경로
10.1 국소적용
10.2 전신투여
10.3 생체이용률

11. 생물학적 장벽
11.1 위장관
11.2 폐
11.3 피부
11.4 모세혈관

12. 약물의 분포

13. 약물의 대사
13.1 마이크로솜 산화반응
13.2 비마이크로솜 산화반응
13.3 환원반응
13.4 가수분해반응
13.5 결합반응
13.6 생체내변환의 약리학적 의의

14. 약물의 배설

15. 적정약물요법의 설계
15.1 유지용량
15.2 부하용량

16. 약작용과 부작용
16.1 용량 의존성 효과
16.2 용량 비의존성 효과
coffee break 혈액뇌장벽이란

3장 심맥관계 약리
1. 강심배당체
1.1 심장에 대한 작용
1.2 심전도의 변화
1.3 기타 작용
1.4 작용기전
1.5 흡수와 배설
1.6 임상적 적응증
1.7 독성

2. 항부정맥제
2.1 세포막 안정제
2.2 β-아드레날린수용체 차단제
2.3 유효불응기연장제
2.4 칼슘통로차단제
2.5 기타

3. 관상동맥확장제

4. 고지혈증 치료제

5. 고혈압 치료제
5.1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5.2 이뇨제
5.3 세동맥 및 정맥 확장제
5.4 아드레날린성 뉴런에 작용하는 약물
5.5 아드레날린수용체 차단제
5.6 승압수용기에 작용하는 약물
5.7 자율신경절에 작용하는 약물
5.8 앤지오텐신전환효소 억제제
coffee break 약물 부작용을 분류하면

4장 이뇨제
1. 사구체여과를 증가시키는 약물
1.1 강심배당체
1.2 크산틴

2. 요세관재흡수를 억제하는 약물
2.1 수은이뇨제
2.2 염화암모늄
2.3 탄산탈수효소억제제
2.4 티아지드계 이뇨제
2.5 푸로세미드와 에타크린산
2.6 스피로놀락톤
2.7 트리암테렌과 아밀로리드

3. 기타 이뇨제
3.1 삼투압이뇨제

5장 신경약리학
1. 뇌의 개요
1.1 대뇌반구
1.2 사이뇌
1.3 중간뇌
1.4 뒤뇌와 숨뇌
1.5 뇌줄기

2. 신경계의 자극 전달
2.1 축삭전도
2.2 시냅스전달

3. 자극 전달의 조절

4. 신경전달물질
4.1 아세틸콜린
4.2 노르에피네프린
4.3 도파민
4.4 세로토닌
4.5 아미노산
4.6 기타

5. 수용체

6. 신경계 약물의 작용기전
coffee break 장용성 제제란 무엇인가

6장 정신병 치료제
1. 페노티아진계

2. 부티로페논계

3. 지옥산틴 유도체
coffee break 부작용이 만든 신약

7장 정동장애 치료제
1. MAO 억제제

2. 삼환계 항우울제

3. 제2세대 항우울제

4. SSRI

5. 우울증과 고혈압의 합병

6. 리튬

8장 진정수면제
1. 바르비투르산염

2. 벤조디아제핀계

3. 구세대 진정수면제

4. 항불안제

9장 항경련제
1. 바르비탈계

2. 히단토인계

3. 카르바마제핀

4. 석신이미드계

5. 발프로산과 발프로산나트륨

6. 옥사졸리디네디온계

7. 비가바트린

8. 기타 항경련제

9. 항경련제의 장기 치료로 인한 부작용
coffee break 약을 먹으면 소변과 대변의 색이 변하는데 괜찮은가

10장 진통제
1. 마약성진통제

11장 마취제
1. 전신마취제
1.1 흡입마취제
1.2 정맥마취제

2. 국소마취제
2.1 에스테르제
2.2 아미드제
2.3 국소마취의 방법
2.4 국소마취 효과의 연장
coffee break 약물남용과 약물오용 및 약물의존이란

12장 골격근이완제
1. 신경근차단제

2. 중추성 근이완제

13장 에틸알코올
coffee break 알코올과의 약물상호작용

14장 파킨슨병 치료제
1. 항콜린제

2. 레보도파

3. 아만타딘

4. 브로모크립틴

5. 기타 약물

6. 약물에 의한 추체외로증후군
coffee break 흡연은 약의 효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15장 중추신경흥분제
1. 암페타민 및 관련 흥분제

2. 코카인

16장 자율신경계 약리
1. 자율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

2. 자율신경계 수용체
2.1 콜린수용체
2.2 아드레날린수용체

3. 말초의 부교감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3.1 콜린유사제제
3.2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
3.3 콜린성 자극제의 임상적 이용

4. 무스카린수용체 차단제
4.1 아트로핀과 히오신
4.2 아트로핀 유사작용 약물
4.3 임상적 적응증

5. 자율신경절에 작용하는 약물
5.1 자율신경절 차단제
5.2 신경절 차단 효과

6. 말초의 교감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6.1 교감신경작용제
6.2 아드레날린수용체 효능제
6.3 아드레날린수용체 차단제
6.4 아드레날린성 뉴런 차단제
coffee break 원인요법용 약물과 대중요법용 약물은 다른가

17장 내분비계 약리
1. 내분비(호르몬)

2.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3.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
3.1 바소프레신
3.2 옥시토신
3.3 자궁수축제

4.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
4.1 성장호르몬
4.2 프로락틴
4.3 생식샘자극호르몬
4.4 갑상샘자극호르몬
4.5 부신피질자극호르몬

5. 갑상샘호르몬
5.1 갑상샘저하증
5.2 갑상샘항진증

6. 성호르몬
6.1 안드로겐
6.2 에스트로겐
6.3 프로게스테론

7. 당뇨병 치료제
7.1 인슐린
7.2 경구혈당강하제

8. 부신피질호르몬
8.1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길항제

18장 비스테로이드소염제
1. 살리실산염

2. 아닐린 유도체

3. 피라졸론 유도체

4. 새로운 비스테로이드소염제

5. 통풍 치료제
coffee break 아스피린천식이란 무엇인가

19장 소화기계 약리
1. 위·십이지장궤양 치료제
1.1 제산제
1.2 위산분비 억제제
1.3 점막보호제

2. 정장제
2.1 팽창성 정장제
2.2 윤활성 정장제
2.3 자극성 정장제
2.4 정장제 사용 시의 주의점

3. 지사제

4. 진토제

5. 건위소화제 및 담즙분비 촉진제
5.1 건위소화제
5.2 담즙분비 촉진제
coffee break 설사는 어떻게 정의하는가

20장 조직호르몬
1. 히스타민
1.1 항히스타민제

2. 세로토닌
2.1 세로토닌 효능제
2.2 항세로토닌제

3. 브라디키닌

4. 앤지오텐신
4.1 ACE 억제제

5. 아이코사노이드

6. 기타 펩티드 조직호르몬
coffee break 항우울제 SSRI와 SSNRI의 차이점은

21장 혈액학적 약물
1. 빈혈 치료제
1.1 피리독신
1.2 엽산
1.3 비타민 B12
1.4 철제
1.5 조혈성장인자

2. 혈액응고제
2.1 비타민 K
2.2 항응고제

3. 항혈소판제

4. 섬유소용해제, 항섬유소용해제
coffee break 약 먹는 시간을 식전,식간,식후로 지정하는 이유는

22장 비타민
1. 비타민 A

2. 비타민 B

3. 엽산

4. 비타민 B12

5. 비타민 C

6. 비타민 D

7. 비타민 K
coffee break 브랜드 의약품과 제네릭 의약품의 차이점은

23장 항균제
1. 항균작용기전
1.1 엽산 생성 저해
1.2 세포벽 합성 저해
1.3 단백 합성 저해
1.4 세포막 투과성 저해
1.5 핵산 합성 저해

2. 약물내성

3. 항균요법의 원칙

4. 술폰아미드제

5. 요로 소독제

6. 항생제
6.1 페니실린
6.2 세팔로스포린
6.3 β-락탐계 항생제
6.4 아미노글리코시드제
6.5 클로람페니콜
6.6 테트라사이클린제
6.7 마크롤라이드
6.8 펩티드 항생제
6.9 퀴놀론계 항생제
6.10 내성 결핵에 대한 항생제

7. 항진균 항생제

8. 항트리코모나스제

9. 항결핵제

10.항바이러스제
coffee break 아편유사제 순환처방이란 무엇인가

24장 항암제
1. 알킬화제

2. 대사길항제

3. 항생물질

4. 호르몬

5. 방사성 화합물

6. 기타 약물

7. 악성종양요법제의 독성

25장 면역억제제
1. 시클로스포린

2. 타크로리무스

3. 세포독성약물
3.1 아자티오프린
3.2 메토트렉세이트
3.3 시클로포스파미드
3.4 미코페놀레이트모페닐
4. 항체

5. 기타 면역억제제
5.1 부신피질스테로이드
5.2 술파살라진
5.3 시클로포스파미드
5.4 멜팔란
5.5 우라실머스타드
5.6 클로람부실
5.7 알킬술폰산
5.8 니트로소요소
5.9 트리아젠
coffee break 모양과 이름이 비슷한 약은

26장 호흡기계 약리
1. 호흡중추에 작용하는 약물
1.1 호흡흥분제
1.2 호흡억제제

2. 기관지에 작용하는 약물
2.1 기관지수축제
2.2 기관지확장제

3. 기관지천식

4. 거담제

5. 진해제

인용 및 참고문헌
찾아보기
영문
한글

저자소개

박찬웅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약리학) 현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현 가천의과학대학교 뇌과학연구소 초빙교수 대한약리학회 회장 역임 대한분자, 세포생물학회 회장 역임 한국신경과학회 회장 역임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