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부모교육
· ISBN : 9788993195682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1-09-2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1장 나는 왜 아이한테 화가 날까?
아이 눈에 비친 우울한 엄마들의 차마 말할 수 없었던 고백
좋은 부모가 되고 싶었던 사람들
아이 때문에 잃은 것이 너무 많다
달라진 내 아이가 무섭다
나를 거스르는 아이를 보면 화가 치민다
남들 다하는 양육이라 말하지 마라
양육, 하루빨리 벗어던지고만 싶은 짐
떼쓰는 아이들에게도 다 이유가 있다
정말 아이 때문에 화가 난 것인가
폭발하는 분노, 소용돌이치는 엄마의 마음
마음 문이 닫히고 감정은 치닫는다
다스릴 수도, 이해할 수도 없는 마음의 영역
내 분노가 고스란히 아이에게로
뿌리 깊은 어린시절의 그늘
나는 어떤 때 화가 나는가
좋은 부모 되기, 진짜 나를 찾는 과정
2장 나 혹시 이런 엄마가 아니었나?
올바르다 믿었던 부모 노릇의 진실과 자기진단
부모라는 이름의 여러 모습
아이의 전부를 알아야만 하는 부모
무서운 족쇄, 과잉보호
과잉보호는 아이에게 무능감을 키워준다
“그러다가 아이가 잘못되면 어떡해요?”
자기 기분에 맞춰 사는 변덕스런 부모
변덕스런 부모의 비극
아이를 병들게 하는 자기중심성
“널 위해서 이러는 거다”
차갑고 냉담한 부모
애정 표현이 불편한 사람들
“언젠가 진짜 엄마가 나타날 거예요!”
감정을 습관적으로 억누르는 엄마
아이에게 희생하는 부모
“너희 때문에 산다”
일찍부터 어른이 되어야 하는 아이들
금지와 통제가 많은 부모
아이가 성장하는 기회를 빼앗는 행위
아이를 부모의 권력에서 풀어줘라
자기 뜻대로 키우려는 부모와 뭐든 의존하는 아이
때리는 부모의 변명
매를 드는 부모의 세 가지 특징
아이에게 이해를 구하지 마라
3장 잘못된 ‘부모 노릇’으로 위태로워지다
‘모성’이라 믿었던 부모 횡포에서 벗어나기
부모는 신이 아니다
훌륭한 부모와는 거리가 멀었던 나의 부모
부모에겐 별일 아닌 것, 아이에겐 큰일인 것
잘못된 부모 노릇은 어디서 시작되었을까?
사랑이라고 믿었던 기억의 불편한 진실
좋은 부모와 나쁜 부모의 차이
심리적 학대인지도 모르는 부모들
부모도 그저 한 사람의 인간일 뿐이다
용서, 못할 수도 있다
내 마음의 길을 따른다
새로운 시나리오
4장 우리 아이에게서 어린 나를 보다
엄마의 ‘화’에서 발견한 오래된 마음 상처를 치유하기
정리되지 않은 기억
아이를 키울 때 느끼는 원인 모를 불편함
해결되지 않은 상처의 기습 공격
기억이 마음을 만드는 두 가지 방식
내현기억과 외현기억
‘참을 수 없는 순간’에 담긴 비밀
나도 모르게 내 행동을 지배했던 부모의 태도
부모의 반응이 아이의 관계 능력을 결정한다
자기 몰입에 빠진 부모, 위태로운 아이
오래된 감정을 버려야 하는 이유
5장 완벽한 엄마를 버리고 행복한 엄마가 되어라
엄마 자격에 묻힌 ‘지금의 행복’을 바라보기
당신의 힘겨운 현재를 돌아보라
최고만 줘야 좋은 엄마라는 잘못된 인식
누구나 상처는 있다
있는 그대로의 감정을 이해하자
아이가 자기감정을 믿게 하라
엄마의 힘든 감정을 처리하는 방법
나쁜 감정은 빨리 잊어야 하잖아요?
부정적 감정과 부정적 행동을 구분하라
마음속 깊은 상처와 만나는 방법
다시 일어서는 따스한 힘, 자기 위로
자기 위로는 하나의 능력이다
신체적으로 위로하기
스스로 위로의 시간을 만들자
자기 노출
이해의 순간을 맞으며- 내 부모도 그러했을 것이다
6장 ‘아이를 잘 키운다는 것’
아이와 친밀해지고 아이를 잘 떠나보내는 과정
아이와 건강한 관계를 맺기 위해 다시 배우는 ‘부모 노릇’
아이를 잘 키운다는 것
아이는 부모의 얼굴에서 자신을 본다
부모의 거울 역할은 아이의 자존감을 결정한다
양육은 양이 아니라 질
아이와의 불편한 관계를 회복하자
‘부모 자식 간에 뭘...’이라고요?
엄마와 아이를 친밀하게 만들어줄 회복의 단계
1단계-먼저 아이에게서 한 발짝 떨어져라
2단계-내 아이와의 관계 회복을 위한 시간
3단계-내 아이에게 맞는 화해 방법
4단계-아이에게 화해의 손길을 내밀어라
양육의 핵심은 ‘한계 설정’
되는 것과 안 되는 것을 조절하는 능력을 길러줘라
모호한 ‘안돼’가 아닌 구체적 행동을 보여줘라
충동과 욕구를 스스로 조절하게 하자
아이의 마음에 초점을 맞추자
양육의 유연성과 소통에 대하여
유연성 있는 양육이 아이의 정서를 길러준다
한계설정의 가장 중요한 키워드, 일관성
일관성과 딱딱함을 구분하라
아이를 떠나보내기
7장 양육을 ‘건강한 습관’으로 만들어라
평균 수명 80세 시대, 아이가 어른이 되어도 따뜻하게 이어지는 관계형성법
슬기로운 양육을 위한 세 가지 조화
양육은 습관이다
비판과 인정-나쁜 습관에서 벗어나기 위한 첫걸음
익숙함과의 결별-습관의 특성을 파악하라
다시 습관들이기-하고 또 하라
습관의 반동형성-어느 날 갑자기 달라지는 사람은 없다
아이의 기질과 심리적 건강을 지켜주자
아이의 모든 문제가 부모 탓은 아니다
완벽한 부모는 없다
양육은 부모가 성장하는 기회다
나가는 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