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홍승 스님의 자연을 담은 사찰음식

홍승 스님의 자연을 담은 사찰음식

홍승 (지은이)
클리어마인드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1개 7,65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홍승 스님의 자연을 담은 사찰음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홍승 스님의 자연을 담은 사찰음식 
· 분류 : 국내도서 > 요리/살림 > 건강요리
· ISBN : 9788993293227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0-12-08

책 소개

패스트푸트로 일찍이 전 세계에 영향력을 행사한 미국에서도 사찰음식이 관심을 끌고 있는 이즈음 사찰음식의 대중화.전문화에 앞장선 홍승 스님이 사람을 살리고 정신을 맑게 하는 약과 같은 한 권의 책을 냈다.

목차

Lesson 1. 사찰음식은 누가 먹나요? 8│Lesson 2. 무엇을 먹나요? 10│Lesson 3. 어떻게 먹을까요? 12│Lesson 4. 왜 먹어야 하나요? 14│Lesson 5. 언제 먹어야 하나요? 18│

Part 1 밥·죽│공양주 소임 23│
가지나물비빔밥 27│나물밥전 29│두부김밥 31│단호박밥 32│송이버섯밥 35│두부야채볶음밥 37│
시래기밥 39│연잎밥 40│무밥 43│장아찌김밥 45│표고버섯밥 47│녹차밥 49│
냉이두부김밥 51│연자죽 52│마죽 52│흑임자죽 53│콩나물김치죽 53│녹두죽 54│야채죽 55│

Part 2 국·탕·찌개│별좌 소임 57│
나물찌개 61│매생이누룽지탕 63│야채곤약전골 65│버섯들깨탕 66│능이버섯국 69│
아욱수제비 71│무맑은표고국 73│사찰식 만둣국 75│비빔국수 77│녹차자장면 78│

Part 3 볶음·나물·반찬│나물 이야기 81│
머위들깨찜 85│양송이버섯찜 87│호박선 89│두부고추장강정 91│우엉양념구이 93│
삼색더덕잣즙무침 95│홍시무생채 97│고수무침 99│각종 나물 무침 101│

Part 4 전·구이·튀김│103│
연근삼색전 105│콩나물장떡 107│무전 108│인삼마전 109│녹두전 111│
도토리묵구이 113│방아장떡 115│가지새싹전 117│매생이전 호박전 118│

Part 5 맛간장으로 만드는 조림반찬│천연조미료 121│
천연조미료를 이용한 채수·맛간장·진간장 만드는 법 124│
녹차볶음조림 127│땅콩조림 129│미역튀김조림 131│다시마조림 132│
연근우엉호두조림 135│단호박조림 137│곤약조림 139│연근유자청조림 141│
콩나물장조림 143│마콩강정 145│녹차두부찜 147│

Part 6 장아찌│장아찌 이야기 149│
가죽장아찌 153│깻잎된장장아찌 155│방풍나물장아찌 157│곰취장아찌 159│
산초장아찌 161│간장고추장아찌 162│두부장아찌 165│가지장아찌 167│
송이고추장장아찌 169│야채장아찌 171│김장아찌 173│

Part 7 김치│김치 이야기 175│
사찰 김장 179│고구마순김치 181│청경채김치 183│우엉김치 185│풋고추김치 187│
연근김치 189│양배추롤김치 191│깻잎물김치 193│알타리무물김치 195│알타리무김치 197│
갓김치 199│참나물무말이물김치 201│갓과 오이 절임 203│여름동치미 205│

Part 8 손님 초대요리로 좋은 음식│스님들의 소임 207│
우엉잡채 211│가지매실즙탕수 213│표고버섯탕수 215│사찰식 감자피자 217│
연근찹쌀찜 219│브로콜리야채볶음 221│두부잡채 223│오이청포묵야채말이 225│
삼색연근찹쌀찜 227│송이구이 229│함지쌈 231│수삼냉채 233│버섯겨자냉채 234│

Part 9 부각·다식·후식│부각 이야기 237│
감자부각 240│연근부각 240│김부각 241│깻잎부각 241│인삼양갱 243│삼색경단 245│
두부단호박영양갱 247│두부과자 249│

자연을 담은 사찰음식을 펴내면서 250│

저자소개

홍승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4년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본사 동화사 산내암자 부도암으로 출가하고, 1985년 범어사에서 수계를 받았다. 중앙승가대학 불교학과 졸업 후 1991년부터 제방에서 4안거 성만, 대흥사 말사 원갑사 주지, 실천불교승가회 기관지 불교정론 편집장으로 활동하였다. 대구불교방송 계약직 PD로 근무하였고, 9교구 본사 포교당 관오사 주지, 9교구 본사 동화사 편집국장,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포교연구실사무국장을 역임하였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사서실 사찰음식을 담당하였다. 2002년 불교텔레비전 ‘홍승스님의 사찰음식’, food채널 ‘풍경이 있는 요리’, 2003년 Q채널 추석특집 다큐멘터리 ‘사찰음식으로 부처를 만나다’ 등 다수의 텔레비전 방송에 출연 진행하며 사찰요리 대중화에 기여하였다. 2009년부터 매해 전남 장흥 한방 “卓” 밥상 (한방음식) 분야를 시연하고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2012년 대한불교조계종 사찰음식 교재편찬위원회에 위촉되었으며, 2012년 킨텍스 국제요리경연대회 사찰음식부문 농림수산식품위원장상을 수상하였다. 2005년 서울 양재동에 ‘사찰음식연구회’를 개원하였고, 2008년부터 경주 동국대학교 불교 문화대학원 차와 사찰음식학과 겸임교수에 임용되어 전공수업 및 동대 평생교육원 수업에서 강의하고 있다. 현재 연구회 본원이 부산 남구 대연동에 있으며 2011년 사단법인을 설립하여 ‘(사)홍승스님의사찰음식연구회’를 운영하고 있다. 그 외 부산 대덕사, 창원 성주사, 포항 황해사 등 다수의 사찰과 기관에서 사찰음식에 대해 강의하고 있으며, 사찰음식 연구회 활동 및 요리 전수활동을 하며 사찰음식 을 알리고 보전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저서로 [차와 채식], [홍승 스님의 자연을 담은 사찰음식], [마음을 담은 사찰 음식]이 있다. *cafe.daum.net/hongfoodok
펼치기

책속에서

그래서 공양주는 상공양주, 하공양주로 소임이 짜입니다. 상공양주 스님은 법랍이 좀 되신 스님으로 정하고 하공양주는 법랍이 적은 스님이 맡습니다. 하공양주 스님이 쌀을 씻고 솥을 닦고 나무를 갖다 놓고 밥 지을 준비를 마치면 상공양주 스님이 나와서 쌀을 솥에 안치고 물을 봅니다. 장작의 양을 조절하여 불을 지핍니다. 밥물이 끓기 시작하면 적당한 시기에 불을 빼야 합니다. 이때 불을 잘 빼느냐에 따라 밥맛과 누룽지의 맛이 결정됩니다.


도반 절에는 농사를 많이 지으니 먹을거리가 지천입니다. 밭에서 바로 캐 온 나물을 삶아서 조물조물 무치거나 생절이를 해서 상을 차리면 밥 한 그릇은 뚝딱합니다. 밥을 먹으면서 다음 끼니는 무엇을 먹을까 얘기합니다. 식탐이 절로 납니다. 그러면서 다시 얼굴 보며 웃습니다. 자연은 이처럼 삶의 모양새가 같은 사람들끼리 서로 얼굴만 보아도 미소 짓게 하는 힘이 있습니다. 그래서 자연은 결코 등한시할 수 없는 관계인 것 같습니다.


이 중 자색이라는 소임이 있습니다. 자색 소임은 법랍이 조금 되는 스님들이 사시기도 하고 자원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을 부치는 소임입니다. 전이나 튀김 등은 자주 해 먹는 음식은 아니지만 특별한 행사가 있거나 대중공양이 있을 때는 자색 스님들이 바빠집니다. 전을 부치는 일이 쉬운 듯싶어도 불 조절과 시간 조절을 잘하고 그때그때 부치는 전의 성질을 잘 알아서 해야 하는 일이라 조금 까다로운 소임인 듯싶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