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외과 > 정형외과
· ISBN : 9788993340426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16-04-20
책 소개
목차
저자서문 / vii
저자명단 / viii
역자서문 / ix
역자명단 / x
SECTION 1 Introductory overview / 1
1. 책 안내(Guide to the book) 3
2. 용어?(Terminology) 5
3. 역학?(Epidemiology) 9
3.1 병인 9
3.2 역학 지표들 9
4. 근막통증증후군의 병인(Aetiology of myofascial pain syndrome) 13
4.1 원인 요인 13
4.2 근막통증을 지속시키는 요인들 15
4.3 근막통증의 만성화 15
5. 근육의 해부학과 생리학(The anatomy and physiology of the muscles) 17
5.1 육안적 구조 17
5.2 기능 18
5.3 신경생리학 20
6. 병태생리(Pathophysiology) 29
6.1 역사 29
6.2 병태생리와 관계된 이론 29
6.3 특정한 병태생리학 31
6.4 확장된 통합가설 33
7. 유발점은 locomotor system의 기능적 이상이다. 35
7.1 기억과 locomotor system의 연관성 35
7.2 mTrP 병리적 역할 37
8. 근막통증유발점과 근막(Myofascial trigger points and fascia) 43
8.1 해부학: 정의 43
8.2 생체역학적 기능 44
8.3 근육 긴장? 44
8.4 감각기관으로서의 근막 45
8.5 통증유발점에 대하여: 치료적 고려 45
9. 섬유근통증후군(Fibromyalgia syndrome) 47
9.1 역학 47
9.2 환자의 증상 양상 47
9.3 진단 48
9.4 치료 49
10. 근막통증유발점 및 신체형 통증(Myofacial trigger points and somotoform pain) 53
10.1 개요 및 임상 양상 53
10.2 역학 53
10.3 병인론 및 발병기전 54
10.4 감별 진단 54
10.5 치료 55
10.6 노동 능력에 대한 평가 55
11. 근육의 통합론적 고려(Integrated holistic consideration) 57
11.1 서론 57
11.2 근육의 기능과 목적 58
12. 근막통증의 진단(Diagnosis of myofascial pain) 61
12.1 원칙 61
12.2 근막통증 문진하기 62
12.3 신체검사 69
12.4 mTrP의 특이 진단 76
12.5 검사 과정의 기술적인 부분 82
12.6 종합적인 진단 내리기와 치료에 대한 설명 84
13. 감별진단(Differential diagnosis) 87
13.1 침범된 구조와 원인에 따른 감별진단 87
13.2 분포 형태에 따른 감별진단 100
SECTION 2 근막통증의 치료 / 107
14. 치료의 원칙(Principles of treatment) 109
14.1 의사?환자 관계 109
14.2 실제적 조언들 109
14.3 법적인 측면들 110
14.4 기록하기 110
15. 만성 통증의 경우 의사?환자 관계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in cases of chronic pain) 111
15.1 환자의 상황과 고려할 수 있는 치료의 장애물 111
15.2 의사나 치료사가 범하기 쉬운 실수 112
15.3 해결책 112
15.4 통증의 이해를 위한 인용과 이야기들 113
16. 적절한 치료의 선택(Selection of suitable treatments) 115
16.1 표준 치료법들 115
16.2 다른(표준) 치료들 116
17. 도수치료와 물리치료(Manual therapy and physiotherapy) 119
17.1 도수유발점 치료에 대한 Dejung manual 119
17.2 Lewit 치료 기법들 122
17.3 스프레이와 스트레칭, 냉각과 스트레칭 129
17.4 근막통증유발점의 치료를 위한 근막 기법 131
18. 통증유발점 치료 계획 수립(Treatment plan for myofascial trigger point therapy) 135
18.1 수기요법과 건침 135
18.2 신장과 이완/스트레칭과 탈긴장 137
18.3 기능적 훈련과 인간공학 142
19. 물리치료적 시술(Physical procedures) 145
19.1 초음파 치료 145
19.2 온열 및 한랭 치료 145
19.3 전기치료 146
19.4 부항? 147
19.5 경피적 전기신경자극 치료 148
19.6 레이저 치료 150
19.7 체외 충격파 치료 155
20. 근막통증유발점의 주사치료(Trigger point infiltration) 159
20.1 적응증과 금기 159
20.2 주사에 사용되는 약제 159
20.3 시술 163
21. 보완대체치료법과 자연요법치료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 naturopathic treatments) 167
21.1 정의 167
21.2 원리 168
21.3 치료적 시술 169
21.4 보완대체의학을 복합적인 통증 프로그램으로 통합 177
22. 이완요법: 육체와 정신(Relaxation techniques: body and mind) 181
22.1 서론 181
22.2 서양의 이완 요법들 182
22.3 동양의 이완 요법들 185
23. 약물 요법(Systemic pharmacotherapy) 189
23.1 서론 189
23.2 약물의 종류 189
23.3 치료 계획 194
SECTION 3 신체부위에 따른 근육과 통증유발점 / 197
24. 두부(Head) 199
24.1 두통(Headaches) 199
24.2 구강악계(Stomatognathic system) 200
24.3 교근(M. masseter) 204
24.4 측두근(M. temporalis) 208
24.5 내측익돌근(M. pterygoides medialis) 211
24.6 외측익돌근(M. pterygoid lateralis) 213
24.7 이복근/두힘살근(M. diagastricus) 215
24.8 경돌설골근/붓목뿔근(M. stylohyoideus) 217
24.9 하악설골근/턱목뿔근(M. mylohyoideus) 218
24.10 이설골근/턱끝목뿔근(M. geniohyoideus) 220
25. 목과 어깨(Neck and shoulder region) 223
25.1 기능적 연관 223
25.2 정신신체적 연관 224
25.3 증상 224
25.4 진단과 치료시 고려해야할 점 225
25.5 통증유발점을 찾기 위한 검사 226
25.6 두판상근/머리널판근(M. splenius capitis) 229
25.7 경판상근/목널판근(M. splenius cervicis) 231
25.8 경부척주기립근(M. cervical erector trunci) 234
25.9 후두하근(M. suboccipital) 239
25.10 흉쇄유돌근(M. sternocleidomastoideus) 243
25.11 사각근(M. scaleni) 246
25.12 승모근(M. trapezius) 251
25.13 견갑거근(M. levator scapulae) 255
26. 어깨와 상지(Shoulder and upper arm) 259
26.1 기능적 연관 259
26.2 정신신체적 연관 260
26.3 증상 260
26.4 진단과 치료시 고려해야할 점 261
26.5 통증유발점을 찾기 위한 검사 261
26.6 삼각근(M. deltoideus) 265
26.7 극상근(M. supraspinatus) 268
26.8 극하근(M. infraspinatus) 272
26.9 소원근(M. teres minor) 276
26.10 광배근(M. latissimus dorsi) 278
26.11 대원근(M. teres major) 281
26.12 견갑하근(M. subscapularis) 284
26.13 대능형근과 소능형근(Mm. rhomboidei major and minor) 287
26.14 오훼완근(M. coracobrachialis) 290
26.15 상완이두근(M. biceps brachii) 293
26.16 상완근(M. brachialis) 296
26.17 상삼두근(주근) [M. triceps brachii with (M. anconeus)] 298
27. 팔꿈치, 전완과 손(Elbow, forearm and hand) 303
27.1 기능적 연관 303
27.2 정신신체적 연관 303
27.3 증상 304
27.4 진단과 치료시 고려해야할 점 304
27.5 통증유발점을 찾기 위한 검사 304
27.6 손의 신전근(Hand extensors) 305
27.7 상완요골근(M. brachioradialis) 313
27.8 손가락 신근(Finger extensors) 316
27.9 회외근(M. supinator) 319
27.10 장수장근(M. palmaris longus) 323
27.11 손과 손가락 굴곡근(Hand and finger flexors in the forearm) 326
27.12 무지내전근과 무지대립근(M. adductor and opponens pollicis) 332
28. 흉추와 흉부(Thoracic spine and thorax) 337
28.1 기능적 연관 337
28.2 정신신체적 연관 338
28.3 증상 338
28.4 진단과 치료시 고려해야할 점 339
28.5 통증유발점을 찾기 위한 검사 339
28.6 흉추의 자생적인 척추신전근(Thoracic autochthonous back extensors) 342
28.7 대흉근(M. pectoralis major) 348
28.8 소흉근(M. pectoralis minor) 352
28.9 흉골근(M. sternalis) 355
28.10 상후방거근(M. serratus posterior superior) 357
28.11 전방거근(M. serratus anterior) 360
28.12 하후거근(M. serratus posterior inferior) 364
29. 복부(Abdomen) 367
29.1 기능적 연관 367
29.2 정신신체적 연관 367
29.3 증상 368
29.4 진단과 치료시 고려해야할 점 368
29.5 통증유발점을 찾기 위한 검사 368
29.6 복직근(Rectus abdominis) 370
29.7 복사근(M. obliquus abdominis) 374
29.8 배세모근(M. pyramidalis) 377
30. 요추, 골반 및 고관절 부위(Lumbar spine, pelvis and hip region) 381
30.1 기능적 연관 381
30.2 정신신체적 연관 381
30.3 증상 382
30.4 진단과 치료시 고려해야할 점 382
30.5 통증유발점을 찾기 위한 검사 385
30.6 요추고유근(M. lumbar autochthonous back) 386
30.7 요방형근(M. quadratus lumborum) 396
30.8 주요장요근(M. iliopsoas major) 398
30.9 골반저근(Pelvic floor muscles) 403
30.10 대둔근(M. gluteus maximus) 407
30.11 중둔근(M. gluteus medius) 411
30.12 소둔근(M. gluteus minimus) 415
30.13 이상근(M. piriformis) 419
31. 고관절, 대퇴부, 슬관절(Hips, thighs and knees) 423
31.1 기능적 연관 423
31.2 정신신체적 연관 424
31.3 증상 424
31.4 진단과 치료시 고려해야할 점 425
31.5 통증유발점을 찾기 위한 검사 425
31.6 기능 검사 426
31.7 대퇴근막장근(M. tensor fascia latae) 429
31.8 고관절 내전근(Hip joint adductors) 432
31.9 대퇴사두근(M. qudriceps femoris) 436
31.10 슬굴곡근(M. Ischiocrural) 441
31.11 슬와근(M. popliteus) 444
32. 하지와 발(Lower leg and foot) 447
32.1 기능적 연관 447
32.2 정신신체적 연관 447
32.3 증상 448
32.4 진단과 치료시 고려해야할 점 448
32.5 통증유발점을 찾기 위한 검사 449
32.6 전경골근(M. tibialis anterior) 452
32.7 장비골근 및 단비골근(Peroneus longus and peroneus brevis) 456
32.8 비복근(Gastrocnemius) 460
32.9 가자미근(M. soleus) 464
32.10 후경골근(M. tibialis posterior) 468
32.11 장무지신근, 장지신근(Extensor hallucis longus and extensor digitorum longus) 471
32.12 장지굴근, 장무지굴근(Flexor digitorum longus and flexor hallucis longus) 475
참고문헌 / 479
찾아보기 / 489
책속에서
역자서문
대한신경근골격연구회는 1995년 닥터 시리악스의 정형의학을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이를 보급하기 위하여 구성되었으며, 그 후 재활도수치료 강좌와 영상의학과를 제외한 타 전문과목에서 국내 최초로 신경근골격초음파 강좌를 개설하였습니다. 과거 20년 동안 신경근골격 질환에 관심을 가진 많은 의사들에게 다양한 강좌를 통하여 정형의학을 기본으로 한 근골격계 질환과 관계된 다양한 의학적 지식을 보급하였습니다.
연구회 설립 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통증유발점의 진단과 치료”라는 책을 번역하게 되었습니다. 본 도서는 근막통증증후군의 병인, 병리생리학, 진단 및 치료 등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들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어 근육통증에 관심 있는 독자들에게 근육통증을 가진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그동안 바쁜 시간 중에도 본 서적 발간을 위해 정성껏 변역에 참여하신 여러 교수님들과 출판을 위해 물심양면으로 도움을 주신 도서출판 메디안 북의 김용덕 사장님과 직원 분들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2015년 10월
대한신경근골격연구회 회장 박 기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