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 소리 우리 음악

우리 소리 우리 음악

(김명곤 아저씨가 들려주는,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세종도서))

김명곤 (지은이), 이인숙 (그림)
상수리
1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우리 소리 우리 음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 소리 우리 음악 (김명곤 아저씨가 들려주는,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세종도서))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문화/예술/인물 > 음악/미술/예체능
· ISBN : 9788993397109
· 쪽수 : 104쪽
· 출판일 : 2009-10-07

책 소개

우리 음악을 통해 역사와 문화를 배우고 민족의 멋과 흥도 느낄 수 있도록 돕는 책. 고대시대부터 현대까지 대표적인 음악과 악기, 재미있는 음악 이야기 등을 시대별로 정리해서 초등학생이 알아야 할 우리 음악 지식을 모두 담고자 했다.

목차

1. 고대 우리 음악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먼 옛날 고대의 우리 음악_10
노래와 춤이 있는 축제 같은 ‘굿’_13

2. 고유한 음악을 만든 삼국과 가야
거문고를 만든 고구려_20
일본에 음악을 전해 준 백제_24
노래의 나라, 신라_26
문화가 발달한 작은 나라, 가야_30

3. 불교 음악이 꽃피었던 통일신라시대
전통음악과 외래음악이 하나가 된 통일신라 음악_36

4. 고려시대에는 어떤 음악이 있었을까요?
궁중 음악의 발달_44
새로운 향악의 등장_46

5. 조선시대 음악
세종대왕의 음악 정책_52
민속악의 발달_58
아주 먼 옛나루터 우리 곁에 있던 민요_62
흥겨운 장단에 신명 나는 풍물놀이_69

6. 판소리와 일제강점기 음악
서민들을 위한 노래 판소리_74
노래하는 소리 광대_82
일본 침략으로 위기를 맞은 판소리_85

7. 새로운 우리 음악
해당 후 민족정신을 되살린 음악_90
친근한 음악으로 발전한 국악_91

퀴즈로 풀어 보는 우리 소리 이야기

특별부록 : 음악으로 듣는 한국 음악사 CD
선곡 : 국악방송 이윤경 팀장, 마스터링 : 국악방송 장형덕 감독

고대 시대 우리 음악
1 굿 남해안별신굿-애장소리
연주자 정영만 외, 시간 8:32(일부, 4:24), 음원 국악방송

삼국과 가야시대 우리 음악
2 거문고독주 영산회상-하현도드리
연주자 이세환, 시간 2:48(전곡), 음원 국악방송

통일신라시대 우리 음악
3 대금독주 청성곡
연주자 김정승, 시간 8:24(일부, 3:27), 음원 국악방송

조선시대 우리 음악
4 궁중음악 여민락 1장 일부
연주자 국립국악원, 시간 6:38(일부, 4:00), 음원 국립국악원

5 영산회상 타령
연주자 곽태규 외, 시간 3:00(전곡), 음원 국악방송

6 시조 동창이
연주자 김병오, 시간 3:41(전곡), 음원 국악방송

7 시나위 연주자 이용구 외, 시간 11:58(일부, 3:41), 음원 국악방송

8 산조 가야금산조-휘모리
연주자 이지영, 시간 7:21(전곡), 음원 국악방송

9 민요 모 심는 소리-열소리
연주자 최장규 외, 시간 2:57(전곡), 음원 국악방송

10 민요 정선 아리랑
연주자 김길자 외, 시간 3:05(전곡), 음원 국악방송

판소리와 일제강점기
11 판소리 사랑가
연주자 정경화, 시간 5:03(전곡), 음원 국악방송

새로운 우리 음악
12 사물놀이 연주자 신창렬 외, 시간 4:54(전곡), 음원 국악방송

저자소개

김명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배우. 극작가. 연출가. 소리꾼. 전북 전주 출생. 서울대 사범대학 연극반에서 연극 활동을 시작했다. 판소리에 매료돼 전통 예술에 관심을 갖게 됐으며 대학 시절부터 10년간 명창 박초월에게 판소리를 배웠다. 대학 졸업 후 ≪뿌리 깊은 나무≫ 기자, 배화여고 독일어 교사 생활을 하면서도 연극 활동을 이어갔다. 1983년 영화 <바보 선언>으로 스크린에 데뷔해 <서편제>로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을 받으며 영화배우로서 이름을 널리 알렸지만, 극작가 및 연극 연출가로도 활발하게 활동했다. 교사 극단 ‘상황’, 놀이패 ‘한두레’, 극단 ‘연우무대’를 거쳐 전통 연희의 현대적 수용과 민족극 수립을 목표로 1986년 극단 ‘아리랑’을 창단했다. 연극 「아리랑」(1986), 「갑오세 가보세」(1988), 「인동초」(1988), 「점아 점아 콩점아」(1990), 「격정만리」(1991), 「유랑의 노래」(1998), 「우루왕」(2000) 등의 각본을 쓰고 연출하였으며, 창극 「금수궁가」(1988), 「흥보전」(2021) 등의 각본과 연출, 영화 <서편제>의 시나리오를 담당하였다. 2000~2005년 국립중앙 극장장을 지냈고, 2006년 제42대 문화관광부 장관에 취임했다. 이후 세종문화회관 이사장, 마포문화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꿈꾸는 광대』, 『恨: 김명곤의 광대기행』 등이 있다.
펼치기
이인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응용미술학 전공 후, 영국 킹스턴대학교에서 일러스트레이션 고급 과정을 수료했다. 주로 어린이를 위한 그림 작업을 하며 프리랜스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하고 있다. 그린 책으로는 <조삼모사> <3살 아이> <4살 아이> <춤추는 오리> <사랑의 깡동바지>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