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88993454406
· 쪽수 : 494쪽
· 출판일 : 2010-12-29
책 소개
목차
차 례
서문과 지식들
제1장 이론적 배경
1.1. 도입
1.2. 이 연구의 목표
1.3. 문법화
1.4. 문법화 이론에 대한 일련의 가설에 대하여
제2장 연구 방법
2.1. 표본 추출의 절차
2.2. 2차 근원 사용의 결과
2.3. 코딩할 형태의 선택
2.4. 코딩 형태
2.5. 의미의 코딩
2.6. 어휘적 근원
2.7. 분석
제3장 선행상, 완료상 그리고 관련된 의미
3.1. 의미 표지의 예비적 분류
3.2. 정의
3.3. 어휘적 근원
3.4. 완성상
3.5. 선행상
3.6. 결과상
3.7. 결과상에서 선행상으로
3.8. 동적 동사 근원으로부터 온 선행상
3.9. 상태 서술어와의 상호 작용
3.10. 오래된 선행상
3.11. 선행상에서 완료상과 단순 과거로
3.12. 의존소에서 온 완료상
3.13. 영 형태에서 온 완료상
3.14. 완료상과 단순 과거의 차이
3.15. 선행상의 증거가 되는 쓰임
3.16. 원격성의 등급
3.17. 형태/의미의 상관관계
제4장 문법화에 대한 양적인 접근
4.1. 도입
4.2. 음성적 축약
4.3. 자율성의 소실
4.4. 형태론적 유형론
4.5. 언어 유형론에 대한 통제
4.6. 인과율과 편견에 대한 검증
4.7. 결론
제5장 진행상, 미완료상, 현재 그리고 관련된 의미
5.1. 정의
5.2. 진행상의 근원
5.3. 진행상 의미
5.4. 미완료상, 계속상, 진행상에 대한 Comrie의 분석
5.5. 어휘적 제약
5.6. 현재와 미완료상으로 진화하는 진행상
5.7. 새로운 의미가 없는 새로운 형태
5.8. 습관상 의미
5.9. 반복상
5.10. 계속상과 빈번상
5.11. 중첩
5.12. 결론
제6장 서법과 양태
6.1. 도입
6.2. 양태의 유형
6.3. 의무
6.4. 능력과 가능성
6.5. 동작주 지향적 양태에 대한 발달의 경로
6.6. 동작주 지향적 의미와 인식적 의미
6.7. 가능성과 개연성
6.8. 동작주 지향적 양태에서 화자 지향적 양태로
6.9. 종속적 서법의 발달
6.10. 부사절에서의 가정법
6.11. 가정법에 대한 직설법 근원
6.12. 비실제
6.13. 결론
제7장 미래
7.1. 정의
7.2. 1차적 미래의 어휘적 근원
7.3. 미래로의 경로
7.4. 가까운 미래
7.5. 명령법으로 쓰인 미래
7.6. 미래에 대한 종속절 쓰임
7.7. 상적인 미래
7.8. 미래에서의 형태-의미 연계 변이
7.9. 결론
제8장 의미적 변화의 기제
8.1. 기제
8.2. 은유
8.3. 추론
8.4. 일반화
8.5 조화
8.6. 영 문법형태의 발달
8.7. 제한된 영역을 지닌 더 오래된 문법형태
8.8. 발달의 다른 단계에서의 변화의 기제
8.9. 설명
8.10. 공시적 분석과 언어 간 비교에 대한 함축
8.11. 시제, 상, 양태
[부록 A] 문법형태 범주 표본 추출 절차
Ⅰ. 표본 추출 대상
Ⅱ. 언어들의 전체 영역에 대한 기술적인 배경
Ⅲ. 표본 추출의 정의
Ⅳ. 절차
[부록 B] 의미 표지
[부록 C] 언어 자료의 근원
참고 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