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연극/영화
· ISBN : 9788993683028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09-08-30
목차
머리말
서론-영상이란 무엇인가
제1부 영상의 구성
제1장 미장센
I. 미장센의 개념
1. 미장센의 뜻과 역사적 의미
2. 프레임의 구성
1) 프레임과 영화의 공간
2) 프레임 구성
II. 미장센의 요소들
1. 세팅
1) 세팅의 역할
2) 세팅의 종류
(1) 로케이션 촬영
(2) 스튜디오 세트 촬영
(3) 기타: 소품, 색채의 활용
2. 의상과 분장
3. 조명
1) 조명의 역할
2) 조명의 양상
4. 인물의 움직임
III. 미장센의 실제
1. 미장센 비교 사례
2. 텔레비전의 미장센
제2장 촬영
I. 촬영이란 무엇인가
II. 카메라
1. 카메라의 종류
2. 렌즈
1) 표준 렌즈
2) 광각 렌즈
3) 망원 렌즈
4) 줌 렌즈
3. 조리개
4. 광학필터
III. 촬영방식과 그 효과
1. 피사계심도의 조작
1) 얕은 초점
2) 깊은 초점
2. 카메라 프레이밍
3. 카메라 높이와 각도
4. 이동촬영
1) 팬과 틸트
2) 이동 샷
5. 촬영 지속시간
6. 촬영 속도
IV. 영화 화면과 텔레비전 화면
1. 종횡비
2. 기록 매체의 선택
1) 필름
2) 비디오테이프
V. 촬영 인력
VI. 촬영 장면 분석
제3장 편집
Ⅰ. 편집이란 무엇인가?
1. 편집의 정의
2. 편집의 기능
1) 통사적 기능
2) 의미론적 기능
Ⅱ. 편집에 관한 이론들
1. 그리피스와 고전적 커팅
2. 소비에트 몽타주와 형식주의 전통
1) 레프 쿨레쇼프
2) V.I. 푸도프킨
3)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
3. 앙드레 바쟁
1) 앙드레 바쟁과 사실주의
2) 앙드레 바쟁과 에이젠슈테인
3) 내적 몽타주
Ⅲ. 연속편집과 비연속편집
1. 연속편집
1) 공간적 연속성
2) 시간적 연속성
2. 비연속편집
Ⅳ. 방송 영상의 편집
1. 편집 과정
2. 방송 영상 편집의 기본 원칙
1) 연속성
2) 연관성
3) 편집자의 윤리적 문제
4) 편집을 고려한 촬영시의 유의사항
3. 선형편집과 비선형편집
제4장 사운드
Ⅰ. 영화 사운드란 무엇인가?
Ⅱ. 영화 사운드의 역사
1. 사운드의 도입
2. 사운드 기술의 발전
Ⅲ. 대사와 내레이션
1. 대사
2. 내레이션
Ⅳ. 음악
1. 영화 음악의 특징
2. 영화 음악의 기능
Ⅴ. 음향효과
Ⅵ. 침묵
Ⅶ. 사운드 편집
1. 사운드 편집 과정
2. 사운드 대위법
Ⅷ. TV 사운드의 특징
1. 보도 영상의 사운드 활용
2. TV 사운드 작업 과정
제2부 영상의 틀
제5장 내러티브
I. 내러티브의 의미
II. 내러티브의 구축
1. 플롯과 스토리
2. 인과관계, 시간, 공간
3. 내러티브의 역할
III. 내러티브의 분류
1. 영화 내러티브: 고전적 할리우드 내러티브와 비고전적 내러티브
2) TV 내러티브: 극장용 영화, TV용 영화, 시리즈, 시리얼
IV. 내러티브 분석
V. 비내러티브
제6장 장르와 스타
I. 장르
1. 장르의 의미와 기능
2. 장르의 변화
3. 영화 장르
1) 웨스턴
2) 코미디
3) 멜로드라마
4) 갱스터
5) 뮤지컬
6) 필름 누아르
II. 스타
1. 스타의 의미와 기능
2. 스타의 변천
제7장 영상의 기술
I. 영화의 기술의존성
1. 영화 발명을 위한 기술의 역사
1) 움직임의 환영을 만들어내는 광학 기구
2) 사진의 발명
3) 활동사진의 선구자들
4) 영화 탄생의 순간들
2. 영화의 기계성
II. 텔레비전의 발명과 새로운 가능성
1. 텔레비전의 역사와 메커니즘
2. 텔레비전이 영화에 미친 영향
1) 영화 기술의 혁신
2) 영화의 미학적 변화
3. 텔레비전의 가능성
III. 아날로그와 디지털
1. 아날로그 영상과 디지털 영상
2. 이미지의 역사와 원본과 복사본의 개념
IV. 영상과 뉴미디어
1. 뉴미디어의 탄생과 원리
2. 영화와 뉴미디어의 관계
1) 영화로부터 뉴미디어로의 진화
2) 뉴미디어로부터 영화로의 영향
3. 뉴미디어의 가능성
1) 상호작용성
2) 가상 이미지와 가상현실
제3부 영상과 사회
제8장 영상과 자본
I. 영상 산업화의 요인
1. 기술적 요인
2. 사회문화적 요인
II. 영상상품의 특성
III. 영상 산업화의 영향
1. 오락화
2. 소비자본주의 촉진
3. 집중과 초국적화
IV. 영상산업의 전개
1. 영화산업
2. 방송영상
1) 방송체제
2) 텔레비전의 발전
3. 급변하는 영상산업
제9장 영상과 관객
I. 관객의 개념
II. 관객의 역할
1. 영상의 소비자
2. 의미의 구성자
III. 관객집단과 대중관객
IV. 보는 주체로서의 관객
V. 관람환경
제10장 영상과 사회
I. 영상은 사회적 산물
II. 영상의 사회적 중요성
1. 일상적 편재성
2. 사회적 기능의 수행
3. 사회현실의 구성
4. 새로운 지각 경험
III. 현대사회와 영상
1. 활자문화에서 영상문화로
2. 영상문화와 사회이론
1) 문화산업론
2) 미디어포화론
3) 스펙터클 사회
4) 비디오스피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