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88993734072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0-08-09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성공하는 투자자들을 위한 가치투자의 진실
PART 1 가치투자란 무엇인가
1. 기업가치 분석이란 무엇인가
가치투자의 첫걸음, 기업가치 분석
2. 효율적 시장가설
3. 기술적 분석은 어느 정도까지 알고 있어야 하는가
기술적 분석의 의미
차트에 대한 올바른 이해
4. 가치투자의 두 가지 카테고리
5. 회사의 배당 정책은 어떤 것이 옳은가
6. 가치투자자들의 연장통
재무분석의 목적
수익성 비율
영업이익률
부채상환 능력
7. 주식을 싸게 사야만 하는 이유
8. 가치투자자의 품성
가치투자자의 체질
가치투자자는 인내심이 강하며 잘 쉰다
가치투자자는 합리적이며 독창적이다
가치투자자는 침착하다
가치투자자는 과신하지 않는다
가치투자자의 적성
가치투자자는 편견을 갖지 않는다
가치투자자는 리스크에 대해 중립적이어야 한다
가치투자자는 좋은 습관과 유머감각을 갖고 있다
가치투자자의 읽고 생각하는 방식
PART 2 시세를 읽는 방법
1. 시세를 읽는 방법
2. 약세장의 판별
3. 언제 매수할 것인가
4. 언제 매도할 것인가
대형 우량주를 매도할 시기
경기변동에 민감한 종목의 매도 시기
성장이 느린 종목의 매도 시기
5. 거래빈도와 수익률의 관계
성별과 결혼 여부에 따른 회전율
회전율과 수익률의 관계
6. 경제신문의 증권관련 기사 읽기
7. 개인투자자들은 어떻게 정보에 접근할 것인가
1차 자료
2차 자료
PART 3 우량기업을 고르는 방법
1. 기업을 사는 것과 주식을 사는 것의 차이점
2. 우량기업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비우량기업
3. 우량기업을 찾는 방법
4. 독점력을 가진 회사를 찾자
5. 우량기업들의 사업영역
소비자들을 수십 년 동안 중독시켜 온 음식료 업체
특허로 보호되는 제약업체
인기 있는 브랜드를 가진 의류업체
뛰어난 기술력으로 한우물을 판 중소형 기업
6.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적정 수익률에 대한 고려
포트폴리오 구성 요령
PART 4 체크리스트 투자방법
1. 복리의 효과
매수가격과 복리의 관계
복리의 마술
2. 투자수익률을 예측하는 방법
3. 체크리스트 투자방법
질적분석을 위한 체크리스트
양적분석을 위한 체크리스트
4. 체크리스트 투자방법 적용 사례
체크리스트 적용 사례 : 롯데제과
체크리스트 평가
PART 5 실전편 : 한국의 우량기업 분석
1. 제일약품
2. 삼부토건
3. 진로발효
4. 미원상사
5. 빙그레
6. 에스원
7. 오뚜기
8. 태평양제약
9. 한국타이어
10. 롯데쇼핑
에필로그 새로운 투자의 지평을 위하여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 기술적 분석은 어느 정도까지 알고 있어야 하는가
1960년대 초에 클로드 섀넌은 기술적 분석으로 투자를 한 적이 있다. 하지만 그는 곧장 기술적 분석을 쓸모없는 것으로 규정하며 던져버렸다. “삼봉형, V자형 같은 가격변동 그래프를 가지고 작업하는 기술적 분석가들은 중요하지만 매우 지저분하게 재생된 데이터를 갖고 일하는 셈이다.” 탁월한 가치투자자들의 시작은 대부분 기술적 분석에서 출발했다. 기술적 분석을 통해 몇 년 동안 실패를 거듭한 후 비로소 가치투자로 돌아서는 것이다.
※ 가치투자의 두 가지 카테고리
가치투자는 두 가지 관점을 가지고 바라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름은 편의상 질적분석(qualitative analysis)과 양적분석(quantitative analysis)으로 붙여봤다. 먼저 양적분석은 가치투자의 가장 기본이 되는 기업의 재무적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기본적 분석에 사용되는 각종 지표와 성장률 분석, 재무제표 전반에 대한 분석, 그리고?주식 매수에?채권의 현재가치 계산방식을?적용하는 방법, 자신이 구매한 주식의 미래 복리수익률 계산 방식 등이 주요한 양적분석의 내용이다. 질적분석은 예술적 감각을 이용해야 하는 부분이다. 양적분석만으로도 주식투자에 성공한다면, 우리나라 대형 회계법인의 회계사들이 주식투자 수익률 분야에서 최상위권을 점해야 마땅할 것이다. 그리고 경제, 경영학 전공 교수들 또한 고수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 가치투자자는 편견을 갖지 않는다
가치투자도 다양한 방법이 있다. 기업의 CEO, 브랜드 가치, 독점성, 이익의 질 등을 평가하는 질적분석은 의미가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어떤 사람은 가치투자에서 정량적 분석과 기준만을 강조하는 것은 질적인 요소를 놓치게 되고 현실과 동떨어진 의미 없는 정보일 뿐이라고 평한다. 질적분석이 옳다 또는 양적분석이 옳다는 흑백 논리 역시 오류에 빠질 수밖에 없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 잘못된 결론을 내릴 가능성이 많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다. 우리는 어떤 식의 가치투자 방식을 적용하더라도 범할 수 있는 오류를 줄이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