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헤지펀드

헤지펀드

최민용 (지은이)
유로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4,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헤지펀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헤지펀드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88993796018
· 쪽수 : 314쪽
· 출판일 : 2009-12-15

책 소개

미국이나 영국과 같은 자본시장의 선진국에서 자생적으로 출현하여 눈부신 성장을 거듭해온 헤지펀드에 대해 다룬다. 헤지펀드의 특성, 역사, 성장과 현황, 투자 전략, 순기능과 역기능, 국제적 논의 및 시장의 자율규제 등을 살펴본다.

목차

추천사
서 문

제1장 시작하면서

제2장 헤지펀드의 특성
1. 헤지펀드란?
가. 투자자 구성
나. 펀드 매니저의 보수 체계와 투자
다. 절대 수익(Absolute Return)의 추구
라. 레버리지(Leverage)의 사용
마. 유동성이 비교적 적다.
바. 다양한 투자 전략
2. 다른 펀드와의 비교
가. 뮤추얼 펀드(Mutual Fund)
나. PEF(Private Equity Fund)
다. 벤처 캐피탈 펀드(Venture Capital Fund)
라. 펀드 시장에서의 각 펀드의 근접

제3장 헤지펀드의 역사
1. 헤지펀드의 탄생
2. 1969년부터 오늘날까지
3. 로버트슨, 소로스, 마이클 스타인하르트

제4장 성장과 현황
1. 급격한 성장
2. 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
가. 21세기 금융 쓰나미-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
나. G20 회담
3. 헤지펀드 시장의 위축과 회복, 향후 전망
4. 아시아 헤지펀드 시장
가. 아시아 시장의 약진
나. 성장의 추이
다. 수익률
라. 개선 사항
5. 헤지펀드업계의 최근 동향-경쟁력을 위한 변화

제5장 조직과 관련인, 관련 서류
1. 조직상의 특징
2. 관련인
가. 스폰서와 투자자
나. 투자 자문업자 및 펀드 매니저
다. 브로커(Broker)
라. 변호사
마. 감사(Auditor)
바. 펀드 사무관리자(Administrator)
3. 관련 서류
가. 사모 투자안내서(Private Placement Memorandum)
나. 정관(Memorandum and Articles of Association)
다. 인수서류(Subscription Document)
라. Form ADV
마. 이면 약정서(Side Letters)

제6장 투자 전략
1. 일반
2. 펀드의 분류
가. 투자 형태에 따른 분류
나. 투자 지역에 따른 분류
다. 투자 분야에 따른 분류
3. 롱숏 전략
4. 차익거래

제7장 공매도, 레버리지 그리고 파생금융상품
1. 공매도(Short Sale)
가. 뜻
나. 내용
다. 장점 및 리스크
라. 공매도의 제한
마. 헤지펀드와 공매도
2. 파생금융상품(Derivatives)
가. 뜻
나. 파생상품 이용의 장점
다. 종류
라. 신용파생상품(Credit Derivatives)
3. 레버리지
가. 뜻
나. 재무레버리지의 효과
다. LTCM 사태
라. 헤지펀드와 레버리지

제8장 순기능과 역기능

제9장 미국의 규제
1. 규제관련 논의, 그 특성과 방향
2. 내용
가. 규제관련 논의
나. 규제의 현황
다. 헤지펀드 자문업자에 대한 등록의무의 부과
라. 새로운 규제 방향-반사기규정 등
3. 오바마 정부의 규제 강화 움직임

제10장 영국의 규제
1. 헤지펀드 일반론
가. 개념
나. 투자 전략
2. 규제 일반론(Principle-based Regulation)
3. 구체적인 규제 내용
4. 규제의 강화 움직임
5. 펀드 매니저에 대한 보고의무의 강화
6. 향후 규제 관련 주요 쟁점

제11장 리스크의 관리
1. 중요성
2. 리스크의 종류
3. 다이아몬드 펀드 사례
4. 구체적 리스크의 검토
가. 가격책정 리스크(Pricing Risk)
나. 시장 리스크
다. 유동성 리스크
라. 거래 상대방 신용 리스크
마. 운영 리스크
바. 규제 준수 리스크
사. 레버리지

제12장 국제적 논의 및 시장의 자율규제
1. 그 동향
2. IOSCO의 Principles For the Valuation ofHedge Fund Portfolios
3. FSF 권고사항
4. HFWG의 Hedge Fund Standards:Final Report, January 2008
가. 투자자와 거래 상대방에 대한 공시
나. 자산의 평가(Valuation)
다. 리스크 관리
라. 펀드의 지배구조
5. Sound Practices for Hedge Fund Managers2007 Edition

제13장 헤지펀드의 도입
1. 펀드 시장의 성장
2. 자본시장법에 의한 기존 규제의 수정
가. 자산 운용 방법의 확장
나. 집합투자기구의 확장
다. 집합투자 대상 자산의 범위
라. 펀드별 투자대상 자산 제한의 폐지
마. 사모펀드의 규제 완화
바. 자산 운용방법 제한의 철폐
사. 증권사기 관련 규정
3. 헤지펀드의 도입
가. 정부의 방향
나. 적격투자자대상 사모집합투자기구
다. 자문업자 등록의 문제
라. 포괄적 사기금지 조항
마. 리스크 관리의 문제
바. 투자은행 및 프라임 브로커 산업의 육성

제14장 헤지펀드 행동주의
1. 헤지펀드와 주주행동주의(Shareholder Activism)
2. 헤지펀드 주주행동주의의 우월성 및 차별성
3. 헤지펀드 행동주의의 리스크
가. Empty voting의 문제
나. 단기적 수익의 추구
4. 헤지펀드 주주행동주의와 규제

제15장 헤지펀드의 선택
1. 펀드 선택의 어려움
2. 펀드의 선택
가. 펀드의 축약
나. 펀드의 실적을 나타내는 지표
3. 펀드 선택을 위한 실사(Due-Diligence)
가. 펀드에 대한 분석
나. 펀드 운용팀 및 운영에 대한 분석
다. 투자전략의 분석
라. 투자절차
마. 펀드의 인프라에 대한 분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최민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법학과, The School of Law, UCLA, LL.M, The spontaneous and simultaneous court interpretation course at UCLA(extension) ∙변호사(M&A and Corporate Finance)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상법) <저서 “헤지펀드”, 유로출판사 2009>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