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무역계약실무

무역계약실무

(무역계약서 작성실무부터 무역분쟁사례까지)

이헌묵 (지은이)
유로
48,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8,500원 -0% 0원
2,420원
46,0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48,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무역계약실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무역계약실무 (무역계약서 작성실무부터 무역분쟁사례까지)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무역
· ISBN : 9788993796315
· 쪽수 : 446쪽
· 출판일 : 2017-06-30

목차

머리말 | 5

제1부
양해각서와 비밀유지계약

1장 양해각서와 계약서의 차이점 | 21
1. 국제계약의 구속력(binding effect) | 21
2. 양해각서의 비구속력(non-binding effect) | 22
3. 결론 | 22
2장 비밀유지계약 | 23
1. 비밀유지계약의 필요성 | 23
2. 비밀유지계약의 내용 | 24
3. 비밀유지계약의 위반의 효과 | 25
4. 결론 | 26

제2부
견적서(proforma invoice), 주문서(purchase order), 계약서

1장 견적서(proforma invoice)와 주문서(purchase order)만으로 수출계약이 체결되었는지 여부 | 33
1. 쟁점 | 33
2. 준거법의 결정 | 34
3.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협약의 적용 | 34
4. 계약성립의 요건 | 34
5. 매매계약서 작성의 중요성 | 35
2장 주문서(purchase order)와 계약서의 차이 | 37
1. 주문서의 성질 | 37
2. 계약의 성립 ? 청약(offer)과 승낙(acceptance) | 38
3. 청약의 구속력과 실효 | 38
4. 계속적 수출거래에서의 주문서 | 40
5. 변경을 가한 승낙 | 40
6. 결론 | 40

제3부
국제물품매매계약의 방식과 조건

1장 국제물품매매계약의 방식: 국제물품매매계약(Contract for Sale of Goods), 판매점계약(Distribution Agreement), 대리점계약(Agency Agreement) | 45
1. 물품의 해외판매방식 | 45
2. 판매점계약이란 무엇인가? | 46
3. 대리점계약이란 무엇인가? | 47
4. 사례에서 A가 처한 상황 | 47
2장 국제무역조건(Incoterms 2010)이 갖고 있는 의미 (1) | 49
1. 국제물품매매계약의 중요한 내용 | 49
2. 무역거래조건(Incoterms)의 사용 | 50
3. 무역거래조건의 성격 | 50
4. 무역거래조건의 규정범위 | 51
5. 사안의 경우 | 52
3장 국제무역조건(Incoterms 2010)이 갖고 있는 의미 (2) - 무역조건의 종류 | 53
1. 들어가기 | 53
2. E그룹 | 53
3. F그룹 | 54
4. C그룹 | 55
5. D그룹 | 56
4장 FOB 인도조건과 FOB 가격의 구분 | 57
1. 국제물품매매협약의 적용과 준거법의 결정 | 57
2. 준거법(準據法, governing law) | 58
3. 하자통지의 의무 | 58
4. 결론 | 60
5장 국제물품매매거래에서 약관이 계약에 편입되기 위한 요건 | 61
1. 사안의 쟁점 | 61
2. 독일판결 사안 | 61
3. 독일법원의 판결에 대한 평가 | 63

제4부
독점적 판매점계약(Exclusive Distribution Agreement)

1장 Exclusive Distribution Agreement(독점적 판매점계약)의 개요 | 67
1. Exclusive Distribution Agreement란 무엇인가? | 67
2. Exclusive Distribution Agreement의 대략적인 내용 | 67
3. Exclusive Distribution Agreement의 중요 요소 | 68
2장 Exclusive Distribution Agreement(독점적 판매점계약)와 관련한 불공정거래행위 | 71
1. 구입강제의 금지 | 71
2. 경제상 이익제공 강요의 금지 | 72
3. 판매목표 강제의 금지 | 72
4. 불이익제공 강제의 금지 | 72
5. 반품과 관련한 불공정거래행위 | 73
6. 경영활동 간섭 금지 | 73
3장 Exclusive Distribution Agreement(독점적 판매점계약)의 구체적 내용 | 74
1. 계약지역(Territory) 및 계약기간 | 74
2. License Fee | 75
3. 매매계약적 요소 | 75
4. 라이센스계약적 요소 | 77
5. 독점판매망 관리에 관한 사항 | 78
6. 공급자가 판매자의 판매망을 이전받기 위한 사항 | 79
4장 Exclusive Distribution Agreement(독점적 판매점계약)에서 판매자의 보상청구권 | 100
1. 공급자의 보상책임의 이론적 근거 | 100
2. 판매자의 보상청구권의 법적 근거 | 101
3. 판례의 입장 | 101
4. 결론 | 102

제5부
플랜트(Plant) 수출계약

1장 플랜트(Plant) 수출계약의 개요 | 105
1. 플랜트 수출이란 무엇인가 | 105
2. 플랜트 수출의 특징 | 105
3. 플랜트 수출계약의 다양성 | 106
4. 플랜트 수출의 법적 형식 | 107
2장 플랜트(Plant) 수출계약 중 턴키(Turnkey)계약의 개요 | 108
1. 턴키계약이란 무엇인가? | 108
2. 턴키계약의 기본구조 | 108
3장 턴키(Turnkey)계약의 구체적 내용 | 111
1. 시방서, 설계도면 등 플랜트에 관련한 조항 | 111
2. 업무범위(Scope of work)에 관한 조항 | 112
3. 하도급(Subcontracting) | 112
4. 검사 및 테스트(Inspection and Tests) | 113
5. 시운전(commissioning), 시제품의 생산(first on-spec product) 및 성능시험 (performance test) | 114
6. 검수(acceptance) | 114
7. 소유권과 위험의 이전에 관한 사항 | 114
8. 지체상금 또는 손해배상액의 예정(liquidated damages) | 115
9. 성능보증 및 손해배상액의 예정 | 116
10. 계약금액(Contract Price) | 116
11. 대금지급(Payment) | 117
12. 보증서(Bond) | 118
13. 세금 및 관세(Taxes and Duties) | 119
14. 하자담보 | 119
15. 감리기사, 프로젝트 매니저 | 120
16. 계약이행보증서의 사기적 청구의 문제 | 121

제6부
라이센스계약(License Agreement)

1장 라이센스계약의 개요 | 147
1. 의의 | 147
2. 라이센스계약의 목적 | 147
3. 라이센스계약의 중요요소 | 148
4. 지적재산권과 불공정거래행위 | 148
2장 라이센스계약의 구체적 내용 | 150
1. 계약의 존속기간 | 150
2. 계약의 갱신 | 150
3. 보증조항 | 151
4. 실시료(Royalty) | 152
5. 회계장부열람권 | 155
6. 계약제품의 판매에 관한 조건 | 155
7. 독점(exclusive) 및 비독점(non-exclusive) 라이센스 | 157
8. 사용허락자의 지적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 | 158
9. 사용자가 기술을 개량하는 경우 | 159
10. 계약의 해지(termination) | 160
11. 준거법(Governing law) | 161
12. 관할법원(Jurisdiction) | 162
13. 중재(Arbitration) | 162

제7부
국제매매계약의 위반

1장 확정기 매매에서 지연된 선적의 법률적 효과 | 179
1. 이행지체와 계약의 해제 | 179
2. 확정기 매매의 의미 | 180
3. 사안의 계약이 확정기 매매인가? | 180
4. 국제물품매매협약(CISG)에 따를 경우 | 181
5. 결론 | 182
2장 신용장개설의무와 국제물품매매협약상 본질적인 계약위반의 의미 | 183
1. 국제물품매매협약의 적용 | 183
2. 쟁점사항 | 184
3. 본질적인 계약위반(fundamental breach)의 의미 | 184
4. 신용장의 개설과 본질적인 계약위반 | 186
5. 결론 | 187
3장 국제거래에서 모회사의 자회사의 채무에 대한 책임 | 188
1. 쟁점 | 188
2. 이 사건의 준거법 | 188
3. C사는 B사의 물품대금채무에 대하여 보증한 것인가? | 189
4. B사가 C사의 대리인으로 보증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볼 수 있는가? | 190
5. 법인격 부인에 따라 C사가 책임을 지는가? | 190
6. 결론 | 191

제8부
수입물품의 하자와 운송 중 손상, 멸실 등

1장 하자있는 화물이 도착한 경우 수입상의 대책 | 195
1. 목적물의 검사의무 | 195
2. 하자통지의무 | 196
3. 적하보험금의 청구 | 196
4. 매도인에 대한 손해배상청구 | 197
5. 위험이 이전되기 전에 화물이 손상된 경우 | 197
6. 해상운송인에 대한 손해배상청구 | 199
7. 화환신용장(documentary letter of credit; L/C)에 대한 조치 | 201
2장 매매계약의 매수인 및 운송화물의 수하인의 하자검사에 관한 법률규정 | 204
1. 들어가기 | 204
2. 매도인에 대한 하자통지 | 205
3. 운송인에 대한 하자통지 | 206
3장 수입자의 하자통지 의무가 면제되는 경우 | 212
1. 적용되는 법률 | 212
2. 매도인의 하자 없는 물품을 인도할 의무 | 213
3. 매수인의 하자통지의무 | 213
4. A사와 B사 간의 보상약정의 효력 | 214
4장 화물의 일부가 선적되지 않은 경우 선하증권의 효력 | 215
1. 문제점 | 215
2. 선하증권(bill of lading; B/L)의 효력 | 216
3. 수취선하증권(received B/L)과 선적선하증권(shipped B/L) | 217
4. 운송물의 일부가 선적되지 아니한 수취선하증권의 효력 | 217
5장 화물을 보관하고 있는 보세창고업자의 지위와 책임 | 220
1. 운송인의 화물인도 의무 | 220
2. 보세창고업자의 지위 | 221
3. 결론 | 223
6장 마스터 화물인도지시서(master D/O)와 하우스 화물인도지시서(house D/O) | 224
1. 마스터 선하증권과 하우스 선하증권 | 224
2. 화물인도지시서(delivery order; D/O) | 225
3. 마스터 화물인도지시서와 하우스 화물인도지시서 | 225
4. 창고업자의 책임 | 226
5. 무단반출의 전례가 미치는 영향 | 226
6. 결론 | 227
7장 창고업자의 신용장개설은행에 대한 책임 | 228
1. 신용장거래에서의 선하증권 | 228
2. 선하증권(bill of lading; B/L)의 효력 | 229
3. 보세창고업자의 지위 | 230
4. 운송인의 지위 | 230
5. 보증도의 효력 | 231
6. 신용장개설은행의 손해배상청구권의 포기 | 231
7. 손해배상청구액의 범위 | 232
8. 결론 | 232
8장 화물이 목적지에 도착한 후에 선하증권이 발행된 경우 | 233
1. 지연 발행된 선하증권 | 233
2. 선하증권(bill of lading; B/L)의 채권적 효력 | 233
3. 창고업자의 지위 | 234
4. 선하증권이 발행되지 아니한 경우 수하인의 지위 | 234
5. 결론 | 235
9장 선상도(Free Out/FO)조건의 해상운송에서 화물의 무단반출에 따른 책임관계 | 236
1. 신용장개설에 따른 선하증권상 수하인 | 236
2. 무단반출에 따른 해상운송인의 책임 | 237
3. 선상도 조건 | 237
4. 선상도 조건에서 하역업자와 육상운송인의 책임 | 238
5. 사안의 경우 | 239
10장 관세청이 보관하고 있는 물건이 손상된 경우에 관세청의 책임 | 240
1. 관세청에 대한 손해배상청구의 근거 | 240
2. 압수된 녹용에 대한 관세청의 관리책임 | 240
3. 압수되지 않은 녹용에 대한 관세청의 관리책임 | 241
4. 결론 | 243
11장 항공화물 손실에 대한 운송인의 책임 | 244
1. 손해배상청구의 근거 | 244
2. 손해배상청구의 상대방 | 245
3. 손해액의 범위 | 245
4. 손해액의 제한 | 246
5. 결론 | 247

제9부
원산지표시

1장 원산지표시와 관한 판례 모음 | 251
1. 원산지표시의무 | 251
2. 중국산 자동차 부품을 수입하면서 제품의 현품에는 원산지표시를 하지 않고 개별포장박스에만 원산지표시를 한 행위 | 251
3. 허위의 원산지 증명서를 스스로 발급한 행위 | 252
4. 외국에서 생산된 부품을 국내에 수입된 후 실질적으로 변형한 경우 원산지 | 252
5. 중국에서 수입한 자전거 부품과 국산 자전거 부품을 혼합하여 조립생산 된 자전거의 원산지 | 253
6. 농산물의 원산물표시에서 원료가 가공되어 본질적인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원료가공품의 원산지를 의미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당초 원료의 원산지를 의미한다는 판례 | 254
7. 중국에서 제작한 미완성의 면타올을 북한으로 보내어 그 곳에서 테두리 봉제작업을 하여 완성품으로 제조한 경우, 그 완성 면타올이 종전 미완성의 면타올과 비교하여 최소한의 가공이 아닌, 세번의 변경을 가져오는 실질적인 변형이 일어난 것으로 보아 그 원산지를 북한으로 볼 수 있다고 한 판례 | 254
8. 원산지표시의 위반이 부정경쟁방지법의 위반이 되는 경우 | 255
9. 수입한 씨앗을 국내에서 재배하여 수확한 경우 원산지표시 | 255
10. 북한에서 생산된 농산물은 수입된 농산물에 해당하므로 원산지를 표시해야 하고 국내산이란 표시를 할 수 없다는 판례 | 256
11. 중국산 대파가 양념으로 들어간 김치의 원산지 | 256
12. 중국 배추와 고추를 사용하여 국내에서 포기김치를 제조한 경우 원산지 | 257

제10부
병행수입

1장 병행수입의 의미와 금지되는 병행수입 | 261
1. 병행수입의 의미 | 261
2. 병행수입의 법률적 문제점 | 262
3. 원칙적 적법 | 262
4. 금지되는 병행수입 | 262
5. 사안의 경우 | 264
6. SS의 가능한 조치 | 264
2장 병행수입업자의 광고행위 | 266
1. 병행수입업자의 광고행위의 적법성 | 266
2. 위법성의 법률적 근거 | 267
3. 타인의 영업상의 시설 또는 활동과 혼동을 유발할 수 있는 행위 | 267
4. 사안의 경우 | 269
5. C가 취할 수 있는 조치 | 269

3장 병행수입을 방해하는 행위 | 271
1. 병행수입을 방해하는 행위의 금지 | 271
2. 위반행위의 유형 | 271
3. 사안의 경우 | 273
4. C가 취할 수 있는 조치 | 274

제11부
국제지적재산

1장 수입제품 광고행위와 저작권침해 | 277
1. 저작권의 보호대상인 저작물이란? | 277
2. 사진저작물의 인정기준 | 277
3. 사진저작권의 침해 및 손해배상청구 | 278
4. 저작권침해 및 손해배상액 산정의 기준이 되는 저작권법 | 279
5. 사안의 해결 | 279
2장 외국으로부터 지적재산권침해의 주장을 받은 경우의 대응방법 | 280
1. 들어가기 | 280
2. 지적재산권침해 주장에 대한 4단계 검토 사항 | 280

제12부
이행보증(Performance Bond), 선수금지급보증(Advance Payment Bond) 등

1장 이행보증(Performance Bond), 선수금지급보증(Advance Payment Bond) 등 독립적 은행보증(First Demand Guarantee)의 법률적 구조 | 285
1. 보증과 연대보증 | 285
2. 독립적 은행보증의 차이점 | 286
3. 독립적 은행보증과 화환신용장의 차이점 | 286
4. 이유 없는 지급청구에 대한 법리 | 287
5. 채무자의 지급금지가처분신청 | 288
6. 수익자에 대한 손해배상청구 등 | 288
2장 독립적 은행보증에서 만기의 의미 | 289
1. 독립적 은행보증의 의미 | 289
2. 독립적 은행보증 만기의 문제 | 290
3. 유사한 제도를 기초로 한 문제의 해결 | 290
4. 보증금의 지급조건이 있는 경우 | 291
5. 사안의 경우 | 291
3장 은행보증금 지급조건의 일치의 문제 | 292
1. 화환신용장과 독립적 은행보증 또는 보증신용장의 차이점과 공통점 | 292
2. 독립적 은행보증에서의 역보증 | 293
3. 독립적 은행보증의 청구요건 | 294
4. 실질일치의 원칙 | 294
5. 사안의 경우 | 295
4장 플랜트계약 등에서의 은행보증서(performance bond, advance payment bond, refund bond, warranty bond)의 작성 | 296
1. 은행보증서의 작성 | 296
2. 은행보증서의 기본내용 | 296
3. 은행보증의 독립성을 보여주는 문구 | 298
4. 채무불이행 진술서의 요구 | 299
5. 지급금액의 한도를 기재한 문구 | 300
6. 상계의 금지 등 | 301
7. 유효기간 | 301

제13부
화환신용장(documentary letter of credit)

1장 신용장개설의뢰인의 하자통지 의무 | 311
1. 화환신용장의 발행 | 311
2. 신용장의 독립·추상성과 기능 | 312
3. 신용장의 엄격일치의 원칙 | 313
4. 개설은행의 서류심사의무 | 314
5. 신용장개설의뢰인의 서류심사의무의 존부 | 314
6. 사안의 경우 | 315
2장 서류가 엄격하게 일치되지 않아도 신용장대금을 지급해야 하는 경우 | 316
1. 엄격일치의 원칙 | 316
2. 엄격일치의 원칙의 완화 | 317
3. 구체적인 사례 | 317
3장 신용장조건과 선적서류 등의 상품명세가 일부만 일치하는 경우 | 322
1. 선하증권(bill of lading; B/L)의 효력 | 322
2. 신용장조건의 일부 불일치의 효과 | 323
4장 신용장에서 서류수리 거절의 기간과 유효기간 | 325
1. 하자 있는 서류의 통지 | 325
2. 신용장의 유효기간의 의미 | 326
3. 사안의 경우 | 326
5장 하자 있는 서류에도 개설은행이 반복적으로 신용장대금을 지급한 효과 | 328
1. 매입은행의 지위 | 328
2. 신용장거래에서 엄격일치의 원칙 | 329
3. 사안에서 상업송장의 문제점 | 330
4. 신의성실의 원칙 | 330
5. 사안의 해결 | 331
6장 신용장개설은행이 화물선취보증서를 발급한 경우와 그렇지 아니한 경우 | 332
1. 보증도의 의미 | 332
2. 창고업자의 지위 | 333
3. 신용장개설은행이 화물선취보증서를 발급한 경우 | 334
4. 신뢰보호의 원칙 | 335
5. 사안의 경우 | 335
7장 신용장개설은행의 지정은행에 대한 지시의 효력 - 대법원 2011. 1. 13. 선고 2008다88337 판결에 대한 평석 | 336
1. 사실관계 | 336
2. 대법원 2011. 1. 13. 선고 2008다88337 판결의 내용 | 337
3. 평석 | 338

제14부
환헤지를 위한 키코(KIKO) 통화옵션계약의 문제점

1장 환헤지를 위한 키코(KIKO) 통화옵션계약의 문제점 | 343
1. 들어가기 | 343
2. 키코 통화옵션의 기본구조 | 343
3. 예상되는 시나리오 | 344
4. 문제의 발생 | 345
5. 판례(대법원 2013. 9. 26. 선고 2012다1146 전원합의체 판결)의 입장 | 345

제15부
파산채권

1장 한진해운의 법정관리에서 나타난 stay order의 의미 | 355
1. 들어가기 | 355
2. 국제도산절차의 효력에 관한 이념과 준거법 | 355
3. 국제도산절차의 효력에 대한 우리 법의 입장 | 356
4. 도산법정지법(lex fori concursus)의 원칙 | 357
5. 외국도산절차의 승인신청과 stay order | 358
2장 외국 파산법원의 면책재판의 국내에서의 효력 | 359
1. 외국도산절차의 승인의 의미 | 359
2. 외국도산절차의 승인의 효력 | 360
3. 면책재판에 대한 승인신청 | 360
4. 면책재판의 승인의 요건 | 361
5. 사안의 경우 | 361
3장 수입자로부터 지급받은 수출대금이 수출자의 파산재산이 된 경우 | 362
1. 사안의 문제점 | 362
2. 신용장대금이 지급되지 않은 경우의 수출자의 권리 | 363
3. 수입자의 지급거절의 항변권 | 363
4. 사안의 경우 | 363
4장 영국법이 적용되는 채권에 대한 상계의 준거법 | 365
1. 사실관계 및 판결의 요지 | 365
2. 판결의 요지 | 365
3. 판결의 의미와 쟁점사항 | 366
4. 영국법상 상계의 종류와 성격 | 367
5. 수동채권이 가압류된 경우에 상계가능성의 준거법 | 368
6. 결론 | 369

제16부
국제소송

1장 외국에서 제소당하는 경우의 대처방법 | 373
1. A사가 검토해야 할 사항 | 373
2. 외국법원 판결의 대한민국에서의 효력 | 374
3. 사안의 경우 | 379
2장 외국인 또는 외국회사를 상대로 국내법원에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경우(국제재판관할) | 381
1. 쟁점 | 381
2. 국제재판관할 | 382
3. 사안의 경우 | 386
3장 국제계약에서 외국법원이나 한국법원을 전속관할법원으로 하는 합의의 효력 | 388
1. 외국법원 판결의 대한민국에서의 효력 | 388
2. 국제재판관할의 합의의 허용 | 389
3. 외국법원을 전속적 관할법원으로 하는 합의의 유효요건 | 389
4. 대한민국법원을 전속적 관할법원으로 하는 합의의 유효요건 | 391
5. 국제사법 제27조 및 제28조의 특별규정 | 391
6. 사안의 경우 | 392
4장 외국정부를 상대로 한국법원에 소를 제기할 수 있는지 여부 | 393
1. 주권면제이론 | 393
2. 상대적 주권면제이론 | 393
3. 사안의 경우 | 395
4. 외국정부에 대한 강제집행 | 395
5장 외국정부에 대한 채권을 압류할 수 있는지 여부 | 396
1. 추심명령의 의미 | 396
2. 외국정부가 제3채무자인 경우 추심명령의 가능성 - 대법원 2011. 12. 13. 선고 2009다16766 판결 | 397
3. 일단 발령된 추심명령에 기한 추심금청구소송의 가능성 | 398
4. 사안의 경우 | 399

제17부
국제계약에 적용되는 법

1장 국제계약에서 준거법의 합의 | 403
1. 국제계약에 적용되는 법 | 403
2. 준거법의 합의의 방법 | 404
3. 불공정한 준거법의 합의의 효력 | 405
4. 지정될 수 있는 준거법의 범위 | 405
5. 준거법의 합의와 관계없이 적용되는 국제적 강행규정 | 406
6. 사안의 경우 | 406
2장 당사자가 준거법을 선택하지 아니한 경우 계약의 준거법 | 407
1. 국제계약의 준거법 | 407
2. 그 계약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국가의 법 | 408
3. 판매점계약의 준거법 | 410
4. 사안의 경우 | 412
3장 계약의 일부에 대하여만 준거법을 지정한 경우 | 413
1. 계약에 적용되는 준거법 | 413
2. 계약의 일부에 대한 준거법의 지정 | 413
3. 계약의 일부에 대하여만 준거법을 지정한 경우 | 414
4. 국제사법 제26조에 따른 객관적 준거법 | 414
5. 준거법의 분열의 한계 | 415
6. 종속적 연결 | 416
7. 사안의 경우 | 416

제18부
손해배상청구액의 결정

1장 손해배상청구소송에 있어서의 통화(currency) | 419
1. 운송인의 화물인도 의무 | 419
2. 보세창고업자의 책임 | 420
3. 손해배상청구에서의 통화 | 420
4. 결론 | 422
2장 국제거래에서 연체된 채무에 대한 지연이자 | 423
1. 지연손해액 | 423
2. 지연이자율을 결정하는 국가의 법 | 425
3. 사안의 경우 | 426

제19부
중재(arbitration)

1장 국제상사중재를 개시를 위한 중재합의 | 429
1. 중재(arbitration)란 무엇인가? | 429
2. 중재의 장점 | 430
3. 중재합의 | 431
4. 중재절차 | 434
5. 중재판정의 승인 및 집행 | 434
6. 사안의 경우 | 434
2장 용선계약상의 중재조항이 선하증권에 편입되기 위한 요건 | 436
1. 중재합의의 방식 | 436
2. 대법원 2003. 1. 10. 선고 2000다70064 판결의 내용 | 437
3. 사안의 경우 | 438
3장 한미자유무역협정의 투자자-국가분쟁해결(ISD) | 439
1. ISD란 무엇인가? | 439
2. 중재의 의미 | 439
3. 간접수용의 문제 | 440
4. 불공성의 주장 | 441

저자소개

이헌묵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무역 전반에 관련된 분야에서 변호사로 활동하다가 현재는 로스쿨에서 후배 법조인을 양성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