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아시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93835373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6-04-15
책 소개
목차
1장 세계를 리드하는 시장, 중국
1. 142년 만에 세계 1위 자리 변경
2. 화장품 외국구매 감소 예상
3. 관 주도 소비의 비밀, 삼공비용
4. 공장이 성장엔진에서 경기불황 뇌관으로
5. 두부 같은 건물과 건설시장 진출
6. 대기오염에 대한 공습경보
7. TV 마케팅에 제품과 서비스 경쟁
8. 물값 폭탄, 정부와 기업 간 충돌
9. 중국의 석유, 희토류를 배춧값에 수출
10. 달러 역할 넘보는 위안화
11. IT 대부들 농업에 투자
12. 봄날에 부는 마케팅 강풍
13. 폭락 장에서 금을 사는 중국 아줌마
14. 철(鐵)을 사랑한 중국
15. 유학생 귀국 물결에 창업 붐 형성
2장 FTA로 중국시장 올라타기
1. 한중 FTA 주요 내용: 상품
2. 한중 FTA 주요 내용: 규범과 협력
3. 한중 FTA 주요 내용: 서비스와 투자
4. FTA의 최종 수혜자는 소비자
5. 한중 FTA 애로 해소방안
6. 자유무역협정과 자유무역구의 차이점
7. 북중 호시무역구의 재등장
3장 복잡한 중국 무역장벽 뛰어넘기
1. 임시 수출입 요건과 절차
2. 중국형 종합상사제도
3. 부품조립 후 효율적인 수출입
4. 가공무역 정의와 금지품목
5. 가공무역 중 발생한 부산물처리
6. 우유 수입 시 세금내역
7. 골프장용 비료의 수출절차
8. 애니메이션의 수출절차
9. 먹거리 수출장벽은 인증(CFDA)
10. 철강류의 수출 우대책
11. 종자의 수입업자 기준
12. 희토류 수출기업의 구조조정
13. 무역클레임 사고처리의 책임
14. 소액 무역거래 결제위험
15. 무역사기 사례와 대응방안
16. 신종 무역사기, 메일해킹 대비법
4장 중국의 수출입 통관과 결제 노하우
1. 통관신고 업체의 설립기준
2. 비1회1증(非一批一)제도 관리품목
3. 수출허가증이 필요한 품목
4. 수출세가 있는 자원류
5. 수출세 부과는 국제규정 위반
6. 중고 기계의 수출 절차
7. 물티슈에 대한 수출절차
8. 이사화물에도 세금이 존재
9. 대중국 무역 결제와 안전도
10. 위안화 무역결제 방안
11. 위안화 무역결제의 이점
12. 외자기업의 과실송금 문제
13. 물류원구 이용 후 대금수취 방안
14. 이전가격(移轉價格) 주의사항
5장 세계 최고 수준의 중국 인터넷 비즈니스
1. 기업정보의 보고 B2B 사이트
2. 샤오미의 독특한 마케팅 비결
3. B2C 춘추전국시대와 해외직구 시장
4. 인터넷몰 가짜상품 논란
5. 게으름 경제 or 스마트 경제
6. 사치품시장 구조와 특징
7. 인터넷 비즈니스의 진보: 의약품
8. 해외직구 마케팅 기업의 유의점
9. 해외직구 소비자가 알아야 할 사항
10. 외국상장과 억대부자의 탄생
11.외국산 드라마 인터넷 방송규제
6장 차이나 경영 비법
1. 지방정부 우대책 폐지방안 후퇴
2. 식품안전을 강화한 새 법률
3. 아동복 강제표준(GB) 시행
4. 비영리 연락사무소의 세금
5. 혹서기 수당과 기업현장의 혼란
6. 분공사 설립 절차와 서류
7. 법인 없이 분공사 설립방안
8. 화장품 관리 조례 초안
9. 저작권에 대한 등록절차
10. 상표등록 비용과 절차
11. 기업설립 후 자금난 해소방안
12. 창업자금의 통로 신삼판
13. 의료기기와 의약품 인증비용 신설
14. 공장을 설립할 수 있는 토지
15. 공장 임대 시 주의할 점
16. 공장용지와 법적 분쟁
7장 비즈니스맨의 중국생활 알아보기
1. 상하이와 베이징의 자동차 구매방법
2. 외국기업인의 비자기간
3. 외국 청년들에 대한 취업장벽
4. 상하이의 취업기준 완화 내용
5. 근로자 휴가와 소득세 절세
6. 최저임금 수준과 기준
7. 우수 인재 양성통로 과즈(掛職)
8. 중국제조 2025 슬로건
9. 고속철도의 경제적 효과
저자소개
책속에서
등록이나 인증 여부 사전 점검
중국과의 거래 초기에 에이전트를 통해 소량으로 거래하다가 물량이 늘어나 대량으로 수출하게 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중국에 골프장이 늘면서 화학비료를 한국에서 수입하는 거래도 빈번해지고 있다. 이처럼 갑자기 대행업체를 통해 부담 없이 수출하다가 직접 수출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
사전에 인증이나 등록이 필요한지 살펴봐야 한다. 중국으로 비료 수출 시 우선, 중국 농업부에 수출업체 등록(登?)을 해야 한다. 즉, 규정된 서류를 농업부에 제출한 후에 심사 및 허가를 받아야 수출이 가능하다.
이때 필요한 서류는 비료의 임시(정식) 등록신청서, 사업자등록증 사본, 생산.판매 허가증, 품질보증서 및 상표등록 증명서, 생산기업 기본정보, 생산공정 설명서, 지적재산권 무분쟁 설명서, 라벨 및 사용설명서 양식, 독성(毒性)보고서, 비료효과 실험보고 및 샘플 등이 필요하다. 다양한 서류를 요구하지만, 별도로 화장품처럼 인증을 받지 않는 것만도 다행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