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93866353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2-04-23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부 식량 부족의 시대
01. 값싼 식량의 종말
02. 식량 가격의 상승
03. 3S 식량에서 3R 식량으
04. 식량 시장의 3不 트렌드
05. 곡물 수급 상황의 악화
06. 생산국과 수출국의 높은 편재성
07. 식량 수급 불안의 트리거
08. 러시아 식량 수출 금지의 나비효과
09. 잉여의 북반구, 빈곤의 남반구
10. 원당 가격 변동의 문제
11. 북한의 식량난
12. 글로벌 식량 공급 불안과 한국 경제
2부 식량 가격은 왜 오르는가
01. 식량 가격 변동 요인
02. 세계 인구 증가와 식량 수요
03. 신흥국의 성장과 식량 수요
04. 식량 vs. 연료
05. 곡물 vs. 비곡물
06. 기상이변으로 인한 공급 리스크
07. 식량 수출 규제 강화
08. 식량의 금융상품화
09. 달러 약세와 식량 가격
10. 곡물메이저의 높은 장악력
11. 유가와 곡물 가격
12. 높은 변동성 문제
13. 식량 상승은 필연인가?
3부 식량 산업, 미래 핵심 성장 산업
01. 금융위기 이후 1차 산업의 부활
02. 이제는 금보다 식량
03. 돈 되는 비즈니스, 농업
04. BT의 토대, 농업경쟁력
05. 종자 전쟁
06. 메이저 곡물사의 경쟁력
07. 선진국의 곡물 자급률
08. 쌀 생산 강국, 태국
09 러시아와 곡물 OPEC
10. 안전한 식량에 대한 갈망
11. 대체 식량 개발
4부 한국 식량의 미래
01. 낮은 식량자급률
02. 밀 자급률의 중요성
03. 해외 농업 개발
04. aT 곡물 국가 조달 시스템
05. 뒤늦은 기회
06. 세계 식품시장에 부는 5C 트렌드
07. 한국 농식품의 경쟁력
08. 농식품의 인터넷 시장
09. 카운트다운, 한국형 농업펀드
10. 2조 달러, 이슬람 식품 시장
11. 칠레의 농업 경쟁력
12. 삼겹살 전쟁과 한국 농업
13. 한-EU FTA와 파급효과
14. 한국 농업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