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반자본주의자들의 열 가지 거짓말

반자본주의자들의 열 가지 거짓말

라이너 지텔만 (지은이), 권혁철, 황수연 (옮긴이)
양문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반자본주의자들의 열 가지 거짓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반자본주의자들의 열 가지 거짓말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론/경제사상
· ISBN : 9788994025940
· 쪽수 : 468쪽
· 출판일 : 2023-04-17

책 소개

전 세계 도처에서 시장 대 국가, 자본주의 대 사회주의의 투쟁이 벌어지고 있다. 반자본주의가 다시 강력하게 유행을 타고 있는 상황에서, 또 자본주의를 비난하는 수백 권의 책이 나와 있고 수많은 사람이 자본주의를 비판하고 있는 상황에서 저자는 과감하게 자본주의를 옹호하는 이 책을 써냈다.

목차

서문

제1부 반자본주의자들의 가장 큰 오류 열 가지
제1장 “자본주의가 기아와 가난에 책임이 있다”
제2장 “자본주의는 불평등을 확대시킨다”
제3장 “자본주의가 환경 파괴와 기후 변화의 원흉이다”
제4장 “자본주의에서는 경제 위기가 반복된다”
제5장 “자본주의는 비민주적이다 - 부자들이 정치를 좌우한다”
제6장 “자본주의는 독점을 조장한다”
제7장 “자본주의는 이기심과 탐욕을 부추긴다”
제8장 “자본주의는 불필요한 소비를 조장한다”
제9장 “자본주의는 전쟁을 일으킨다”
제10장 “자본주의에는 언제나 파시즘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제2부 반자본주의 대안들
제11장 “ 사회주의는 서류상으로는 항상 좋아 보인다. 그 서류가 역사책 안에 있을 때를 제외하고는…”

제3부 자본주의에 대한 대중의 인식
제12장 한국인이 자본주의에 대해 생각하는 것
제13장 아시아, 유럽, 남아메리카, 미국 사람들이 자본주의에 관해 생각하는 것

결론 - 정치적 종교로서 반자본주의
시장경제와 공동 번영
부록 - 설문 조사 문항
옮긴이 후기
주석
참고 문헌

저자소개

라이너 지텔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7년에 독일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Frankfurt am Main)에서 태어났다. 그는 1978년부터 1983년까지 역사와 정치학을 공부했고 훌륭한 성적으로 졸업했다. 1986년에, 그는 프라이헤어 폰 아레틴(Freiherr von Aretin) 교수의 지도로 자기의 학위 논문≪히틀러. 한 혁명가의 자아상(Hitler. Selbstverstandnis eines Revolutionars)≫[영문: ≪히틀러의 국가 사회주의(Hitler’s National Socialism)≫]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최우등의(summa cum laude)” 평점을 받은 이 연구는 전 세계적 관심과 인정을 받았다. 1987년부터 1992년까지, 지텔만은 베를린 자유 대학교(Free University of Berlin)의 중앙 사회 과학 연구소(Central Institute for Social Science Research)에 근무했다. 그다음 그는, 그 당시 독일에서 세 번째 큰 서적 출판 그룹인, 울스타인-프로필레언(Ullstein-Propylaen) 출판사의 편집장이 되었고 지도적인 독일 일간 신문 ≪디 벨트(Die Welt)≫의 여러 부를 이끌었다. 2000년에, 그는 자기의 기업, Dr. ZitelmannPB. GmbH를 설립했는데, 이것은 그 후 독일에서 부동산 회사들에 자문하는 시장 주도 기업이 되었다. 그는 그 기업을 2016년에 팔았다. 2016년에, 지텔만은 포츠담 대학교(University of Potsdam)에서 볼프강 라우터바흐(Wolfgang Lauterbach) 교수의 지도하에 엄청난 부자들의 심리학에 관한 자기의 학위 논문으로, 이번에는 사회학에서, 자기의 두 번째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의 두 번째 박사 학위 논문은 영어로 ≪The Wealth Elite(우리말 번역: 부의 해부학)≫로 출판되었고 엄청난 부자들의 심리학을 다룬다. 지텔만은 총 29권의 책을 썼는데, 이것들은 전 세계 35개 언어로 번역되어 상당한 성공을 누렸다. 그는 아시아, 미국 그리고 유럽에서 많이 요청받는 초청 연사이다. 지난 몇 년에 걸쳐, 그는 많은 세계 지도적인 언론 매체에 기사들을 썼고 인터뷰들에 응했는데, ≪르몽드(Le Monde)≫, ≪르푸엥(Le Point)≫, ≪코리에레 델라 세라(Corriere della Sera), ≪일 조르날레(Il Giornale)≫,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디 벨트(Die Welt)≫, ≪슈피겔(Der Spiegel)≫, ≪노이에 취르허 차이퉁(Neue Zurcher Zeitung)≫, ≪데일리 텔레그래프(The Daily Telegraph)≫, ≪타임스(The Times)≫, ≪내셔널 인터리스트(National Interest)≫, ≪포브스(Forbes)≫ 그리고 중국과 베트남에서의 많은 매체를 포함한다. 이 책의 독자들은 특히 그의 책들 ≪부유한 자본주의 가난한 사회주의(The Power of Capitalism)≫, ≪여론에서의 부자들(The Rich in Public Opinion)≫ 그리고 ≪반자본주의자들의 열 가지 거짓말(In Defense of Capitalism)≫을 읽기를 권한다. 라이너 지텔만의 생애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rainer-zitelmann.com에서 볼 수 있다.
펼치기
황수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진주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성대학교(행정학과 교수)를 정년퇴직하였으며, 한국하이에크소사이어티(현 시장경제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원으로, 그리고 경성대학교 재직 중에는 애리조나 대학교 경제학과[1991년(풀브라이트 교환학자), 1997년], 조지 메이슨 대학교 공공선택 연구 센터(2004년), 그리고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경제학과 및 스타브로스 센터(2013년)에서 교환 교수로 연구하였다. 공공선택론,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 시장 경제, 그리고 자유주의 분야의 책을 다수 번역하였는데, 역서 중에는 라이너 지텔만 박사가 쓴 ≪반자본주의자들의 열 가지 거짓말≫, ≪가난한 사람들이 자기 처지를 개선할 유일한 희망은 시장 경제≫(전자책), 그리고 ≪재무적 자유≫가 있다. 자유기업원에 매주 금요일 라이너 지텔만과 랜들 홀콤의 칼럼들을 번역해서 게재하고(https://cfe.org/bbs/bbsList.php?cid=ZC와 https://cfe.org/bbs/bbsList.php?cid=HC), 블로그를 운영한다(https://blog.naver.com/bcmee).
펼치기
권혁철 (옮긴이)    정보 더보기
자유와시장연구소 소장이며 질서경제학회 부회장이다.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쾰른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자유기업원 자유기업센터 소장, 미국 조지메이슨대학교 Center for Study of Public Choice 객원연구원, 독일 뮌스터대학교 경제교육연구소 객원연구원, 자유민주연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경제학 제대로 이해하기』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로널드 코스라면 어떻게 해결할까』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자본주의가 이룩한 업적은 장기간에 걸친 역사를 비교해보면 잘 알 수 있다. 서기 1년 서유럽 주민의 1인당 국민총생산은 576국제달러였고, 전 세계 평균은 467국제달러였다. 이 말은 곧 서유럽에서 서기 1년부터 1820년까지의 기간인 자본주의 이전 시기에 1인당 국민총생산이 두 배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서유럽에서 이것보다 훨씬 짧은 기간인 1820년부터 2003년까지의 시기에 이 수치는 1,202국제달러에서 19,912국제달러로 상승하였고, 서구의 다른 자본주의 국가들에서는 23,710국제달러까지 치솟았다.


전 세계 역사상 자본주의만큼 기아와 빈곤의 극복에 기여한 체제는 없다. 인간에 의해 저질러진 최악의 기근은 과거 100년 간 사회주의에 의해 벌어진 것이었다. 1927년 발간된 『소비에트 대백과사전(Great Soviet Encyclopedia)』의 공식적인 발표에 따르면, 볼셰비키 혁명 이후인 1921~1922년 러시아에서 발생한 기근으로 500만 명이 사망했다. 심지어 1,000만 명에서 1,400만 명이 사망했다는 추정치도 있다. 불과 1년 후에 이오시프 스탈린(Josef Stalin)은 농업을 사회주의적 집단화하고 ‘부농들을 청산’함으로써 또 다른 기근을 촉발시켰고, 이로 인해 600만 명에서 800만 명이 희생되었다. 특히나 큰 피해를 당한 곳은 카자흐스탄으로, 카자흐스탄 국민의 3분의 1인 150만 명이 사망했다.


수많은 이른바 환경운동가에게 환경이라는 주제는 자본주의에 반대하는 자신들의 운동을 정당화시켜주는 하나의 구실에 불과하다. 많은 사람이 사실상 환경 독재로 이어질 수 있는 매우 급진적인 해법을 촉구하고 있다. 인류의 생명이 걸린 문제와 관련해서는 그 어떤 생각도 금기시되어서는 안 되고, 그러기에 아주 급진적인 해법도 생각해 볼 수 있어야 하며, 더 이상 자유라든가 민주주의와 같은 가치를 고려할 형편이 아니라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언뜻 듣기에는 그들의 주장이 그럴듯하게 들린다. 만일 정말로 생존과 관련된 문제라고 한다면 머뭇거릴 이유가 없다. 다만 계획경제는 바로 이 환경과 관련된 문제에서도 언제나 실패한다는 게 문제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