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고전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94054032
· 쪽수 : 1384쪽
· 출판일 : 2010-01-15
책 소개
목차
국역 『양파유고(陽坡遺稿)』 서
제1권 시(詩) 56
1. 놀기를 좋아하고 책을 읽지 않아 하루는 숙부가 왕부(王父) 옆에 계시며 엉뚱한 녀석을 주제로 시를짓게 함(好遊戱不讀書, 一日叔父在王父側, 命以狂童爲題)
2. 돌아가신 외할아버지께 올림(上外王考)
3. 제목을 잃은 연구(失題聯句)
4. 송옥이 가을을 슬퍼함(宋玉悲秋)
5. 도연명의 국화 따기(淵明採菊)
6. 반첩여의 비단부채(斑姬紈扇)
7. 산음에서 배를 돌리다(山陰回棹)
8. 동각에서 매화를 바라보다(東閣觀梅)
9. 이른 봄(早春)
10. 눈에 비추어 책을 읽다(映雪讀書)
11. 붉은 복숭아꽃나무(紅桃)
12. 낙엽(落葉)
13. 한유의 ‘백관들에게 앵두를 하사하다.’라는 시의 운자(韻字)를 빌려 지음(次韓退之賜百官櫻桃韻)
14. 소동파의 ‘차를 끓임’이라는 시의 운을 빌림(次東坡煎茶韻)
15. 매 그림(畵鷹)
16. 꽃이 지는 시절에 다시 그대를 만났구려(落花時節又逢君)
17. 송백은 본디 외롭고 곧은 것(松栢本孤直)
18. 백수준명(白獸樽銘)
19. 사신 나리께서 강선루를 회억하며 지은 시를 삼가 차운함(敬次使相憶降仙樓韻)
20. 대호의 시를 차운하다(次大瓠示韻)
21. 두 학사에게 바침(奉呈兩學士)
22. 앞 시의 운으로 지음(前韻)
23. 제목 없음(失題)
24. 제목 없음(失題)
25~27. 제목 없음(失題)
28. 박 참판께 써서 보내드림(錄呈朴參判案下)
29~30. 앞 시의 운을 사용하여 지음(又用前韻)
31~32. 제목 없음(失題)
33. 다른 사람이 보여준 시의 운를 빌려 지음(次人示韻)
34~35. 제목 없음(失題)
36~37. 앞 시의 운을 사용하여 군수께 드림(又用前韻呈大尹案下)
38. 제목 없음(失題)
39. 다른 사람의 운에 맞추다(次人韻)
40. 제목 없음(失題)
41~42. 제목 없음(失題)
43. 제목 없음(失題)
44~45. 제목 없음(失題)
46~47. 앞의 운을 따라 지음(前韻)
48. (최명길) 지천상공께 올림(呈遲川相公)
49. 지천상공님의 회선사를 차운하여 지음(次遲川懷仙詞韻)
50~51. 소현세자께 올리는 만사(昭顯世子挽)
52~53. 민성휘 판서께 올리는 만사(閔判書聖徽挽)
54~56. 인조대왕 장릉에 올리는 만사(仁祖大王長陵挽)
57. (이경석) 백헌상공의 시를 차운함(次白軒相公韻)
58. 장난삼아 시를 지어 아이들에게 보여줌(戱題示兒輩)
59. 늙은 기생 일생의 편지 끝에 붙임(題老妓一生簡尾)
60. 시첩(侍妾)이 술이 익었다고 아뢰므로 장난삼아 읊음(侍者以酒熟來告, 戱吟)
61. 참봉 송덕기의 시에 차운하여(次宋參奉德基韻)
62. 참봉 송자도에게 보냄(寄宋參奉子都)
63. 중사에게 드림(贈仲師)
64. 김익희 강원감사님을 이별하며(別江原監司金益熙)
65. 아들이 임금님께서 지으신 시에 응대하여 지은 시를 차운함(次家兒應製韻)
66. 남쪽 교외 정자에서 아들의 시를 차운함(南郊亭舍次家兒韻)
67. 백헌공께서 궤장을 하사받는 연회에서 지은 시를 차운함(次白軒賜_杖宴韻)
68. 봉해 진원군께 올리는 만사(蓬海君震遠挽)
69~70. 인평대군께 올리는 만사(麟坪大君挽)
71~72. 인평대군 부인께 올리는 만사(麟坪大君夫人挽)
73. 효종대왕 영릉에 올리는 만사(孝宗大王寧陵挽)
74~75. 심지원 영상대감께 올리는 만사(沈領相之源挽)
76. 연경으로 가는 사신 길에 안주에 도착하자, 병사 김체건이 배에서 연회상을 베풀었는데, 평양판관 후선(사촌동생 채화)이 동참하여 작별하여, 입에서 나오는 대로 시를 지어줌(赴燕之行到安州, 兵使金體乾進宴床於舟中, 平壤判官後仙從弟采和同參作別, 口號以贈)
77. 홀로 가평관에 앉아 부사 허적과 서장관 이동명을 기다리며(獨坐嘉平館, 待副使許積書狀李東溟)
78. 옥하관에 머무름. 구월이 이미 지나 감회가 있어 우연히 노래함(留玉河館. 九月已過)
79. 이시술 부윤의 죄를 법률에 의거하여 논한 상주문에 대한 황제의 비답이 내려오는 날에 네 운(韻)으로 오언시를 지어, 군관이 먼저 돌아가는 편에 적어, 이세장 정자에게 보냄(李府尹時述擬律奏文批下之日, 賦五言四韻, 軍官先來之便, 書送于李正字世長)
80~81. 남용익 지신사님 시의 각운자를 빌려 아우 만화가 전라감사로 부임함에 전별하며 지어줌(次南知申龍翼韻贈別舍弟萬和湖南伯)
82. 이 제주목사께 올리는 만사(李濟州寅挽)
83. 구문치 어영대장의 어머니께 올리는 만사(御營大將具文治母夫人挽)
84. 이승문 도사께 올리는 만사(李都事承文挽)
85. 풍녕부인께 올리는 만사(豊寧夫人挽)
86. 이시발 판서의 부인께 올리는 만사(李判書時發夫人挽)
87. 신속 청주목사께 올리는 만사(申淸州_挽)
88. 이민수 (의주)부윤께 올리는 만사(李府尹敏樹挽)
89. 이확 현풍현감께 올리는 만사(李玄風穫挽)
90. 김(육) 영돈령부사 부인께 올리는 만사(金領敦寧夫人挽)
91~92. ○○을 위한 만사(失題挽)
93. 이덕형 죽천 어른께 올리는 만사(李竹泉德泂挽)
94~95. 강대수 (전주)부윤께 올리는 만사(姜府尹大遂挽)
96. 정세규 판서께 올리는 만사(鄭判書世規挽)
97. 전창군 유정량께 올리는 만사(全昌君柳廷亮挽)
98. 서상리 승지께 올리는 만사(徐承旨祥履挽)
99. 청녕군 한덕급께 올리는 만사(淸寧君韓德及挽)
100~101. 유경소 이천부사께 올리는 만사(柳利川景紹挽)
102~103. 박병 공주목사께 올리는 만사(朴公州炳挽)
104. ○○을 위한 만사(失題挽)
105~107. ○○을 위한 만사(失題挽)
108~109. ○○을 위한 만사(失題挽)
110~111. 지천 최명길께 올리는 만사(崔遲川鳴吉挽)
112. 오이규 도사께 올리는 만사(吳都事以奎挽)
113. 신익전 참판께 올리는 만사(申參判翊全挽)
114. 이단상 부제학께 올리는 만사(李副學端相挽)
115. 남용익 지신 아버님의 생신연회 시의 각운자를 빌려 지음(次南知申龍翼壽席韻)
116~117. 박장원 구당께 올리는 만사(朴久堂長遠挽)
118~119. 이현영 판서께 올리는 만사(李判書顯英挽)
120~121. 윤지 참판께 올리는 만사(尹參判_挽)
122~123. 허한 이천군수께 올리는 만사(許利川_挽)
124~125. 김식 지사께 올리는 만사(金知事湜挽)
126~127. 남석 경산현령께 올리는 만사(南慶山錫挽)
128. 최후정 청안현령께 올리는 만사(崔淸安後定挽)
129. 윤휘 판서 부인께 올리는 만사(尹判書暉夫人挽)
130. 장(유) 신풍(부원군)님 이장할 때 지은 만사(張新豊遷葬挽)
131. 서경우 정승께 올리는 만사(徐政丞挽)
132. 홍영 동지(중추부사)께 올리는 만사(洪同知霙挽)
133. 김광현 참판께 올리는 만사(金參判光炫挽)
134. ○○을 위한 만사(無題挽) (이하 생략)
제2권 시(詩)
제3권 시(詩)
제4권 시(詩)
제5권 충청도에서 지은 시(詩, 西湖作)
제6권 시(詩)
제7권 계(啓)·소차(疏箚)·정사(呈辭啓) 돈유(敦諭)와 비답(批答)을 첨부함
제8권
제9권 제문(祭文)
표전(表箋)
발(跋)
가장(家狀)
제10권 일기(日記)
제11권 일기(日記)
제12권 서행기(西行記)
부록
국역 『양파유고(陽坡遺稿)』 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