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민족의 문화원형 신교

한민족의 문화원형 신교

황경선 (지은이)
상생출판
6,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5,850원 -10% 2,500원
320원
8,0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민족의 문화원형 신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민족의 문화원형 신교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세계의 종교 > 증산도
· ISBN : 9788994295176
· 쪽수 : 188쪽
· 출판일 : 2010-12-22

책 소개

신교는 상고 이래 한민족을 이끌어 온 삶의 이념. 그 핵심은 모두가 참마음으로 하느님을 섬기며 무병장생과 천지조화의 선仙으로 사는 세상을 이룩하라는 것. 이제 뿌리는 열매가 되어, 신교는 우리의 정치, 종교, 사상, 예술의 근간으로 새롭게 빛날 것이다.

목차

서序

Chapter 1 신神의 뜻으로 살다
1) 신교 미리보기
2) 가장 크고 높은 신
3) 신의 뜻은 홍익인간에
4. 내 안의 세 가지 참된 것, 성·명·정
5) 홍산문화의 증언
6) 다른 특성들

Chapter 2 수운, 신교의 도맥을 잇다
1) 상제와 수운의 약속
2) 상제와 지기
3) 시천주는 선약仙藥
4) 다른 특성들
5) 수운이 이루지 못한 것
6) 물음에 대답하기

Chapter 3 신교神敎, 선仙의 세상에서 완성되다
1) 우리 도는 선仙
2) 우주가 변화하는 이치
3) 가을의 주재
4) 성사成事는 인간의 몫
5) 다른 특성들

결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황경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박사. 상생문화연구소 연구위원. 주요 논저 『천부경과 신교사상』 『보천교 다시보다』(공저) 『우주의 교향곡, 천부경』(공저) 「존재론적 관점으로 본 『중용中庸』의 중中 개념」 「우리말 ‘한’으로 본 「천부경」의 일一 개념」 「하이데거에서 고요함(Ruhe)의 문제」 「삼일신고三一神誥와 수운水雲의 동학」 「하이데거와 천부경에서 일자一者의 문제」 「증산도의 생명사상」
펼치기

책속에서

하늘에 대한 제사는 사람을 근본으로 삼는다 (祭天之儀 以人爲本, 단군세기)고 한다. 환단고기란 사서에 나오는 말이다. 삼성기, 단군세기 등으로 이뤄진 환단고기는 환국-배달-단군 조선 등 우리의 상고시대로부터 고려로 이어지는 나라의 정통맥(국통)을 밝히고 우리 민족의 삶과 얼을 전해주는 책이다. 많은 놀라움과 감격, 때로는 의구심을 주기도 하는 이 책에서 가장 인상적인, 매혹적이었던 구절 중의 하나다.
제천의례에서 하늘이나 하느님이 아니라 사람을 위주로, 사람을 위함 근본으로 한다는 것이다. 발상이 신선한 이 말의 올바른 뜻은 환단고기의 전체 흐름 속에서 밝혀진다. 인간을 극진히 위하는 일은 그로 하여금 자신의 본성을 다 실현하여 인간완성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인간으로 하여금 그가 되어야 할 참모습으로 살도록 이끌어주는 것이 그를 위하는, 진정한 길이 된다. 이것이 제천의 의미라는 것이다.
인간성숙과 완성을 향해 닦는 것을 수행이라고 한다. 그래서 한국 고대에서 제천의례는 수행의 의미를 갖는다. 인간을 위하는 제천에서 이상적인 인간 경계에 이른다는 것이다. 또한 이로부터 완성된 인간에 이를 때 하느님을 올바로 섬길 수 있다는 뜻도 새길 수 있겠다.
그와 같은 인간의 이상적 경계를 전통적으로 선仙, 신선이라고 부른다. 인간으로서 주어진 모든 가능성을 온전히 구현하여 무병장수와 조화를 누리는 자유자재한 삶이다.
그럼으로 위의 인용문에는 하느님 신앙과 선仙, 천제문화와 선이 결속돼 있다는 뜻이 함축 되어있다. 그런데 이것은 옛날부터 우리 겨레의 정치와 종교 등 모든 삶을 지배한 신교문화의 주요한 특성이다. 먼 옛날 우리 민족은 신교문화 속에 생활하는 사람들이었다. 그것은 또 본래 뭇 종교의 뿌리로 동방 한민족의 유구한 역사 속에 그 도맥道脈이 면면히 이어져(증산도 도전 1:8:1) 온 것이다. 요컨대 하느님 신앙과 선, 천제문화와 선은 동방의 역사 내내, 때로 밝게 빛나고 때로 희미해지면서, 결코 사라짐이 없이 강건하게 굽이쳐온 불멸의 이념이었던 것.하늘에서 동방의 이 땅에 이름 없는 한 구도자를 불러 세워 신교의 도맥을 계승하게 하고 후천개벽後天開闢으로 새 세상이 열릴 것을 선언토록 하셨나니 그가 곧 동학東學의 교조 수운水雲 최제우崔濟愚 대신사大神師니라. (도전 1:8:4~5)
도전 1편 8장에 나오는 말씀으로, 하늘에서 그 장구한 신교의 맥을 조선조 후기 동학을 개창한 수운에게 계승토록 했다고 밝히고 있다. 물론 계승만이 아니라 그 시작과 완성도 어김없이 하늘의 안배에서 벗어남이 없을 터다. 아울러 후천개벽으로 새 세상이 열린다는 소식을 선언토록 명했다는 것이다.
이 글은 먼 옛적 동방의 이 땅에 하느님 신앙과 선의 일체성을 중핵으로 하는 신교가 하늘의 섭리에 따라 어떻게 생겨났으며, 그것이 수운에 어떻게 이어지는지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그것이 어떻게 결실을 맺게 되는지 드러내 보고자 한다. 이 가운데 후천개벽의 소식이 무엇이며 그것이 신교와 어떤 연관을 맺는 것인지 밝혀질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신교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아보는 데서부터 논의가 시작돼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이글은 크게 다음의 순서로 진행된다. 1. 신의 뜻으로 살다 2. 수운, 신교의 맥을 잇다 3. 신교, 선의 세상에서 완성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