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88994491851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19-09-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1 거시지표
주식회사 대한민국은 수출 공화국 | 매달 초 13개 품목의 수출금액을 확인하자 | 매달 말 수출물량지수도 확인해 두자 | 경기선행종합지수 통해 내수경기를 보자 | 지난 10년의 흐름 : 코스피 밴드
거시지표 관련 사이트
재콩의 투자 이야기 - 업종 지표와 기업 이익의 연관성
2 자동차
자동차 업종을 보는 주요 지표 | 현대·기아차 글로벌 출하 추이 | 현대·기아차 관전포인트는 미국과 중국 시장 회복 여부 | 자동차 부품 수출은 현대·기아차 수출과 동행 | 미국과 중국 자동차 시장은 역주행 중 | 전기차 시장 성장의 기대와 우려 | 현대·기아차 지난 10년의 움직임 | 기업 분석 : 현대차
자동차 지표 관련 사이트
재콩의 투자 이야기 - ‘이익이 증가하는 기업’ 찾는 지름길은?
3 철강
철강 산업을 보는 주요 지표 | 조강생산량과 중국 철강사 감산 정책 | 철강 산업 밸류체인 | 철강 제품 및 원재료 지표 확인 | 열연 시장 : 1) 지난 시장의 흐름 | 열연 시장 : 2) 철광석과 중국 동절기 감산 | 열연 시장 : 3) 포스코와 철광석 선물의 시사 | 철근 시장 : 1) 지난 시장의 흐름 | 철근 시장 : 2) 철근 가격 결정 방식의 변화 | 철근 시장 : 3) 철스크랩 시장의 변화 | 철근 시장 : 4) 눈여겨 볼 시장변화 2가지 | 강관 시장 : 미국 정책 방향이 관건 | 앞으로 철강 제품별 관전포인트 | 기업 분석 : 포스코
철강 지표 관련 사이트
재콩의 투자 이야기 - ‘잃지 않는 투자’, 이것부터 시작하라
4 비철금속
비철금속을 보는 주요 지표 | 비철금속 수요와 공급 시장의 이해 | 고려아연은 왜 실적 전망치를 하향했나 | 중국 PMI와 비철금속 가격 | 전기차 시장 성장과 비철금속 수요
비철금속 지표 관련 사이트
재콩의 투자 이야기 - ROE와 PBR 100% 활용법
5 건설
지난 10년 주택 정책 흐름 | 건설 업종을 보는 주요 지표 | 국내주택사업 부문 : 1) 인허가와 미분양 | 국내주택사업 부문 : 2) 심리지수, 매매지수 | 국내주택사업 부문 : 3) M2, 주택담보대출 | 주택시장과 건설 업황의 향방 | 해외건설 수주사업 부문 : 1) 연도별/지역별 수주 추이 | 해외건설 수주사업 부문 : 2) LNG 액화플랜트 프로젝트 | 해외건설 수주사업 부문 : 3) 미청구 공사금액 | 건설 업종 관전포인트 : 1) 공급물량 | 건설 업종의 관전포인트 : 2) 다양한 후방산업과의 연결고리 | 건설 업종 : 지난 10년의 추이 | 자체 분양 사업 매출 인식
건설 지표 관련 사이트
재콩의 투자 이야기 - 기업 가치를 결정하는 요소
6 시멘트
시멘트 업종을 보는 주요 지표 | 시멘트 업종 : 지난 5년의 흐름 | 전방산업 건설수주액과 시멘트 출하량 | 출하 경쟁 시대에서 기업별 강점 보유 시대로의 진화 | 시멘트 업종 당면 과제와 관전포인트
시멘트 지표 관련 사이트
재콩의 투자 이야기 - 투자와 연애의 상관관계
7 반도체
반도체 업종을 보는 주요 지표 | 반도체 시장의 주요 키워드 및 밸류체인 | 반도체 공정의 이해 : 전공정과 후공정 | 삼성전자의 시스템 반도체 세계 1위 비전과 EUV | 반도체 수출금액과 가격 | 반도체 시장 수요와 공급 관점의 이해 | 반도체 동행지표 : SOX, SEMI, 일본 공작기계 수출금액 | 반도체 선행지표 : PMI, OECD 경기선행지수 | 기업 분석 : SK하이닉스
반도체 지표 관련 사이트
재콩의 투자 이야기 - 투자는 행운이 아닌 불운을 관리하는 것
8 정유·화학
여수 국가산업단지가 알려주는 것 | 정유·화학 밸류체인 | 4가지 체인 : 합성수지, 고무, 화섬, 기타화학제품 | 정유·화학 업종을 보는 주요 지표 | 지난 10년의 흐름 : 정유, NCC | 국제유가의 방향은 예측보다는 대응 | 주요 관전포인트 : 1. 에틸렌과 부타디엔 | 주요 관전포인트 : 2. 중국 환경규제 | 주요 관전포인트 : 3. 미·중 무역분쟁 그리고 프로판 시장 | 기업 분석 : SK이노베이션 | 기업 분석 : 롯데케미칼 | 기업 분석 : 국도화학
정유·화학 지표 관련 사이트
재콩의 투자 이야기 - ‘우물 안 개구리’형 투자자는 항상 늦다
9 항공
항공 업종을 보는 주요 지표 | 공항 출국자 수 추이 | FSC, LCC 승객 이용 추이 | 여행비 지출전망지수와 전망 | 기업 분석 : 제주항공
항공 지표 관련 사이트
재콩의 투자 이야기 - 융통성 없는 사람
10 화장품
화장품 업종을 보는 주요 지표 | 화장품 시장 흐름 | 외국인 방문자 수 | 화장품 수출 : 제품별, 국가별 | 화장품 업종 지난 5년의 흐름 | 기업 분석 : 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지표 관련 사이트
재콩의 투자 이야기 - 성공투자를 위한 3단계 대응법
11 유통
유통 업종을 보는 주요 지표 | 선행지표 : 소비자심리지수 | 유통 업태별 매출과 핵심 지표 : 편의점, 면세점, 온라인 쇼핑몰 | 카드수수료 부과 체계 개편과 전자결제 | 기업 분석 : 호텔신라
유통 지표 관련 사이트
재콩의 투자 이야기 - 전업투자자에 관한 단상
12 골판지
골판지 업종을 보는 주요 지표 | 골판지 관련 용어와 개념 | 골판지 가격 변화 : 폐지와 원지 가격 | 골판지 수요 변화 : 온라인몰 거래액과 골판지 수요 | 골판지 사국지(四國志) : 격변의 시대 이해 | 기업 분석 : 신대양제지
골판지 지표 관련 사이트
재콩의 투자 이야기 - ‘나만의 투자 시나리오’를 만들자
13 식품
식품 업종을 보는 주요 지표 | 식품 기업 이해의 출발점 : 국제곡물 가격과 식품 가격 메커니즘 | 국제곡물 가격과 소비자물가지수 | 양돈 시장 : 수입물량 증가, 돼지열병 | 식품 수출 : 라면, 과자, 조제분유, 담배 | 기업 분석 : 삼양식품
식품 지표 관련 사이트
재콩의 투자 이야기 - 성공하는 투자자의 자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흔히들 경기 사이클을 이야기한다. 경기상승초기, 상승기, 침체기 등의 사이클을 그려놓고 각 시기마다 적절한 업종을 제시하고 투자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그러나 사실 이 방식으로 투자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현재가 경기상승초기인지, 상승기인지, 침체기인지 알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과연 그 시점에 특정 업종의 업황이 개선될지 여부는 수많은 대외변수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무엇보다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대중심리에 휩쓸리고, 또 확증편향에도 익숙하다. 같은 뉴스라도 매수 이후와 매도 이후 뉴스의 해석은 달라지기 마련이다.
업종 지표를 지속적으로 본다는 의미는 숱한 상황변수에 따라 우리의 판단이 흔들릴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객관적으로 사물을 바라보고 ‘나’만의 시각으로 판단하기 위한 습관을 키우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수많은 지표를 보게 될 것이다. 여기서 핵심은 지표의 변화 원인을 이해하고 소화시켜 내 것으로 만드는 노력이 함께 필요하다는 점이다.
매달 말 통계청에서 수출물량지수를 발표한다. 통계청 주제별 통계에서 무역·국제수지 항목의 무역지수/교역조건을 선택하면 월 단위 수출물량지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수출금액은 산통부에서 매달 초 13개 품목을 중심으로 발표하고, 매달 말 통계청에서는 전체 수출품목에 대한 수출물량을 지수화해서 수출물량지수로 발표하는 것이다.
수출물량지수를 통해 업종별 품목별 흐름을 이해할 수 있다. <그림 1-4>에서 보듯이 수출물량지수와 코스피를 비교해보면 큰 방향에서 동행하며 코스피가 다소 선행하는 모습을 보인다. 중요한 점은 수출금액, 수출물량지수, 그리고 뒤에서 하나씩 소개할 업종별 세부 지표 사이의 연계고리를 이해하는 것이다.
고려아연의 실적을 결정하는 변수는 3가지가 있다. 아연정광 공급량, 제련수수료, 아연 가격이다. 고려아연은 글렌코어와 같은 아연 광산업체로부터 아연정광을 공급받아 제련을 해서 아연을 생산·판매하는 사업모델을 갖고 있어서다.
당시 고려아연은 3가지 우려가 있었다. 첫번째는 글렌코어의 생산통제로 아연정광 확보가 어려워 전년 대비 20% 공급이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다. 두 번째는 제련수수료의 감소였다. 아연정광을 광산으로부터 구매할 때 제련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광산에 지불한다. 2016년 제련수수료는 톤당 210달러였지만 광산 측의 요구사항은 100달러로의 인하였다. 세 번째 우려는 아연 가격 전망이었다. 2017년 1분기 평균 아연 가격은 톤당 2,780달러였는데, 고려아연의 2017년 평균 아연 가격 전망은 2,200달러에 그쳤다.
고려아연의 실적 하향 전망은 이같은 3가지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그러나 실제는 이와 다르게 나타났다. 제련수수료는 톤당 172달러로 결정 났고, 무엇보다 2017년 아연 가격은 지속 상승하면서 3,300달러를 넘어서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