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IT 융합 산업 동향과 개발 전략 - 에너지

IT 융합 산업 동향과 개발 전략 - 에너지

(IT + 에너지 융합산업)

데이코 편집부 (지은이)
비아이알(BIR)
25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0원 -10% 0원
12,500원
21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22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25,000원 -10% 11250원 191,250원 >

책 이미지

IT 융합 산업 동향과 개발 전략 - 에너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IT 융합 산업 동향과 개발 전략 - 에너지 (IT + 에너지 융합산업)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88994613123
· 쪽수 : 347쪽
· 출판일 : 2010-12-10

책 소개

다양한 IT융복합산업 동향을 분석하여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보고서.

목차

제 1장 IT융합산업 동향과 개발전략

1. IT융합산업 개요와 10대 IT융합산업 현황
1-1. IT산업을 둘러 싼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1-2. 10대 산업별 IT 융합시장 전망
1) 자동차
2) 조선
3) 의료
4) 섬유
5) 기계ㆍ항공
6) 건설
7) 국방
8) 에너지
9) 로봇
10) 조명
2. 정부 “IT융합 확산전략” 수립
2-1. IT융합 정책개요
1) 추진배경
2) 세부 전략 개요
(1) 전략 Ⅰ : 창의적 IT융합 역량 강화
(2) 전략 Ⅱ : IT융합 부품산업 육성
(3) 전략 Ⅲ : IT융합 시장 창출
(4) 전략Ⅳ : IT융합 인프라 조성
(5) 기대효과
2-2. IT융합 확산전략(안) 전문
1) 추진배경
2) IT융합의 개념 및 시장전망
3) 우리나라 IT융합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
4) 비전 및 추진과제
5) 향후 추진계획
6) 세부추진과제 실천계획(Action Plan)
3. IT산업 동향 및 전망
3-1. IT산업 생산 동향
3-2. IT 수출입
1) IT산업 수출 동향 (총괄)
2)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
(1) 반도체 : 46.2억 달러 수출, 전년 동월대비 70.9% 증가
(2) 패널(부분품 포함) : 32.0억 달러 수출, 전년 동월대비 27.8% 증가
(3) 휴대폰(부분품 포함) : 20.9억 달러 수출, 전년 동월대비 20.0% 감소
(4) 칼라 TV(부분품 포함) : 7.0억 달러 수출, 전년 동월대비 56.1% 증가
(5) 기타
3) 주요 국가별 수출 동향
(1) 중국(홍콩 포함) : 62.8억 달러 수출, 전년 동월대비 36.3% 증가
(2) 미국 : 17.1억 달러 수출, 전년 동월대비 18.0% 증가
(3) EU : 15.5억 달러 수출, 전년 동월대비 8.5% 증가
(4) 일본 : 8.8억 달러 수출, 전년 동월대비 46.1% 증가
(5) 기타 국가
4) IT산업 수입 주요 동향
5) IT산업 무역수지 동향
3-3. IT 업체 동향
1) IT산업 사업체 수
2) IT산업 상시종사자수
3-4. IT산업 외국인 투자 규모
3-5. 주요 분야별 세계시장 점유율
3-6. 2010년 주요 IT정책 추진계획
3-7. 2010년 IT 산업 10大 이슈

제 2장 IT+에너지 융합산업 기술,시장동향

1. 에너지-IT 융합기술 동향
1-1. 개요
1-2. 대전력 전원시스템 기술동향
1) 대전력 전원 시스템의 고효율화
2) 대전력 전원 시스템의 소형 ? 경량화
3) 대전력 전원 시스템의 고기능화
1-3.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기술동향
1) 최대 전력점 추종기
2) 충전장치 및 축전지
3) 계통연계형 인버터
1-4. 무선전력 전송 기술동향
1-5. 가시광통신 기술동향 및 주요 이슈
1-6. SUN 및 AMI 기술동향 및 주요 이슈
2. 주목받는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1) 스마트그리드 정의 및 개념
2) 스마트그리드 등장 배경
3) 스마트 그리드 핵심 구성요소
4) 스마트 그리드 특징(기존 전력망 대비)
5) 스마트 그리드의 필요성 및 효과
(1) 효율적 에너지 사용
(2) 신재생 분산형 전원의 보급 확대
(3) 고품질 전력서비스 제공
(4) 에너지 환경 문제의 솔루션
(5) 신성장 동력원
(6) 녹색생활 가속화
3. 스마트그리드 시장동향 및 전망
1) 세계 스마트그리드 시장 규모
(1) Pike Research - 2,100억 달러 규모(2010~2015년)
(2) SBI - 1,714억 달러 규모(2014년)
(3) ABI Research - 스마트미터 7,600만대
(4) Seed Planning - 스마트 미터 1억 1,648만대(2020년)
(5) 시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
2) 미국
(1) 2014년 미국 스마트그리드 시장규모 170억달러
(2) 전력시장에 다수 사업자 진출
3) 일본
(1) 스마트그리드 도입 신재생에너지 도입
(2) 스마트그리드 기술 주도권 확보
(3) 스마트그리드 5,000세대 시험 가동
4) 중국
(1) 높은 효율이 보장되는 송전망 투자에 적극적
(2) 2014년부터 스마트미터를 본격 설치
(3) 해외 전력업체 중국 스마트그리드에 관심
5) 국내 스마트그리드 시장동향 및 전망
(1) 향후 수출시장 확대 전망
(2) 세계 시장 30% 점유 전략
4. 스마트그리드 관련 주요 핵심기술 동향
1)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1) AMI 구축 동향
2) HAN(Home Area Network)
(1) 홈 네트워킹 기술 분류
3) 전기자동차
(1) 전기차(EV) 개발 동향
(2) 전기차 충전인프라 시장동향
4) 스마트 네트워크 기술
5) 스마트 그리드 보안 기술
(1) 스마트그리드 보안 이슈
(2) 스마트그리드의 기술적 보안
6) 실시간 감시 시스템
7) 스마트 배전 기술
(1) 스마트 배전시스템의 기대효과
8) 변전 자동화 기술
9) 스마트 계통 운영 기술
10) 전력 저장 기술
(1) 전력저장기술의 종류 및 기술개발 동향
11) 신재생에너지 기술
5. 글로벌 스마트그리드 정책 및 표준화 동향
5-1. 스마트그리드 정책 동향
1) 주요 국가 스마트그리드 정책 동향
(1) 미국 스마트그리드 정책 동향
(2) 영국 스마트그리드 정책 동향
(3) 스웨덴 스마트그리드 정책 동향
(4) 일본 스마트그리드 정책 동향
(5) 중국 스마트그리드 정책 동향
2) 국내 스마트그리드 정책동향
(1) 추진 배경 및 경과
(2) 스마트그리드 국가로드맵
(3) 정책 과제
(4) 투자 계획 및 기대 효과
5-2.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동향과 대응전략
1) 해외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동향과 대응 전략
(1) 미국의 대응 전략
(2) 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3) CEN/CENELEC/ETSI
(4)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 Ineers)
(5) 일본의 대응 전략
2) 국내 스마트그리드 표준화에 대한 대응 전략
(1) 정부 스마크그리드 표준화 사업
(2) 통합협력체계 구축 추진(표준 코디네이터 중심)
(3)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포럼 출범
(4) 한국 · 중국 · 일본 표준화 협의체 구성

제 3장 IT+에너지 관련 사업 참여 업체,기관 동향

1. 주요 참여기업 프로필
1) 스마트 플레이스(Smart Place) 주관기관 전략 및 동향
① SK텔레콤
② KT
③ LG전자
2) 스마트 트랜스포트(Smart Transport) 주관기관
① 한국전력
② SK에너지
③ GS칼텍스
3) 스마트 리뉴어블(Smart Renewable) 주관기관
① 한국전력
② 현대중공업
4) 스마트그리드 실증사업 참여기관 동향 및 전략
(1) 주요 참여기관 동향과 전략
① 삼성전자
② LG텔레콤
③ 일진전기
④ SK건설
⑤ 세진전자
⑥ 넥스지
⑦ 삼성SDS
⑧ ABB코리아
⑨ GS건설
⑩ LS산전
⑪ SK네트워크
⑫ LG화학
⑬ GS파크24
⑭ 삼성SDI
(2) 기타 참여기업 개요
① SK브로드밴드
② 삼성전기
③ SK텔레시스
④ SK C&C
⑤ 한국HP
⑥ YTN DMB
⑦ 아이셋
⑧ 아이엔소프트
⑨ 필링크
⑩ 이엔테크놀로지
⑪ 한국케이블TV제주방송
⑫ 도암엔지니어링
⑬ 안철수 연구소
⑭ 진우소프트이노베이션
⑮ 인포섹
?섬엔지니어링
?비씨큐어
?굿어스
?효성
?삼성물산
?옴니시스템
?루텍
?자바정보기술
?가인정보기술
?지어소프트((주)디지털오션)
?미리넷
?뉴그리드테크놀로지
?LG CNS
?GS EPS
?GS퓨얼셀
?소프트포럼
?이글루시큐리티
?엠에이티
?옴니패스
?제노텔
?피에스텍
?한전KDN
?LS전선
?대한테크렌
?롯데정보통신
?해리트
?피앤이솔루션
?세니온
?선도소프트
?퓨쳐시스템
?테크윈시스템
?우암코퍼레이션
?그린파워
?태광이엔시
?삼화콘덴서
벽산파워
코디에스
씨티앤티
DH홀딩스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력기술
코캄
아트라스BX
EN테크놀로지
인텍FA
수도전기
램피스
맥스컴
아이셀시스템즈코리아
전력품질기술
한국과학기술원(KAIST)
자동차부품연구원
한국토지주택공사

제 4장 부록[관련자료]

1. 에너지산업 관련 통계
2. 전력산업 관련 통계
3. 지경부, 세계 최고 SW 개발 7개 과제 선정
3-1. 선정개요
Ⅰ. 사업목적
Ⅱ. 지원내용
Ⅲ. 지원분야
Ⅳ. 신청 자격
Ⅴ. 신청요령
Ⅵ. 관련 규정
Ⅶ. 평가절차 및 유의사항
Ⅷ. 문의처
3-2. 주요과제별 내용
<과제1> 과제명 : 무인항공기용 표준 SW 솔루션 및 Test-bed 개발
1) 개념 및 정의
2) 최종 목표 및 내용
3) 사업화(상용화) 내용
4) 연도별 목표 및 내용
5) 연구기간 및 연구비
<과제2> 과제명 : 개방형 웹 플랫폼 개발
1) 개념 및 정의
2) 최종 목표 및 내용
3) 사업화(상용화) 내용
4) 연도별 목표 및 내용
5) 연구기간 및 연구비
2-5. 기타사항
<과제3> 과제명 : AUTOSAR기반 차량제어기 SW플랫폼 및 개발도구 상용화

1) 개념 및 정의
2) 최종 목표 및 내용
3) 사업화(상용화) 내용
4) 연도별 목표 및 내용
5) 연구기간 및 연구비
<과제4> 과제명 : 모바일 악성 프로그램 탐지 및 방어 솔루션 개발
1) 개념 및 정의
2) 최종 목표 및 내용
3) 사업화(상용화) 내용
4) 연도별 목표 및 내용
5) 연구기간 및 연구비
<과제5> 과제명 : 지능형 영상진단 및 치료지원 시스템
1) 개념 및 정의
2) 최종 목표 및 내용
3) 사업화(상용화) 내용
4) 연도별 목표 및 내용
5) 연구기간 및 연구비
<과제6> 과제명 : 글로벌 의료정보 프레임웍 개발
1) 개념 및 정의
2) 최종 목표 및 내용
3) 사업화내용
4) 연도별 목표 및 내용
5) 연구기간 및 연구비
<과제7> 과제명 : AFC* 표준 SW 솔루션 개발
1) 개념 및 정의
2) 최종 목표 및 내용
3) 사업화(상용화) 내용
4) 연도별 목표 및 내용
5) 연구기간 및 연구비
3-3. 선정결과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