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산업공학
· ISBN : 9788994613215
· 쪽수 : 338쪽
· 출판일 : 2011-01-31
목차
제 1장 총론
1. 녹색성장을 위한 그린테크놀로지(녹색기술) 개발 전략
2. 녹색기술 연구개발 종합대책 주요내용
2-1. 녹색성장과 녹색기술
1) 미래사회 변화와 녹색성장의 필요성
2) 녹색기술의 중요성
2-2. 녹색기술의 개념 및 영역
1) 녹색기술의 개념
2) 녹색기술의 영역
2-3. 국내외 녹색기술 개발현황
1) 해외동향
(1) 일본
(2) 미국
(3) EU, 중국
2) 국내현황
3) 우리나라의 여건
2-4. 비전 및 목표
2-5. 녹색기술 연구개발 투자방향
1) 녹색기술 R&D투자의 전략적 확대
2) 중점 육성기술 투자방향
(1) 27대 중점 육성기술 선정
(2) 중점육성기술 투자방향
(3) 기술별 투자전략
2-6. 녹색기술 발전 전략
1) 녹색기술의 융합화 촉진
2) 기초 원천 연구 확대
3) 기존산업 그린화 및 신성장 동력화
4) 녹색기술 인프라 구축
(1) 녹색기술 연구개발 인력양성
(2) 연구거점 조성
(3) 기술이전 및 사업화 지원
(4) 국제협력체계 구축
2-7. 기대효과
2-8. 향후 일정 및 추진체계
1) 향후 추진일정
2) 범부처 추진체계 구축
3) 중점육성기술별 소관부처 현황
3. 녹색기술 선정 전략적 프로세스와 경과
3-1. 우리나라 녹색기술 수준
3-2. 녹색기술 선정 전략적 프로세스
1) 녹색기술 R&D 투자 확대
2) 유형별 투자우선순위 설정
3) 중점육성기술 도출
(1) 녹색기술 분야별 중점육성기술 도출과정
(2) 소분류 기술 영역 내 관련 중점육성기술 후보군 도출
3-3. 중점육성기술 후보군 75개 기술 도출결과
4. 27대 중점 육성 녹색기술 동향
4-1. 기후변화 예측 및 모델링개발 기술
4-2. 기후변화 영향 평가 및 적응기술
4-3. 실리콘계 태양전지의 고효율 저가화 기술
4-4. 비실리콘계 태양전지 양산 및 핵심원천 기술
4-5. 바이오에너지 생산요소기술 및 시스템 기술
4-6. 개량형 경수로 설계 및 건설 기술
4-7. 친환경 핵비환산성 고속로 및 순환 핵주기시스템 개발 기술
4-8. 핵융합로 설계 및 건설 기술
4-9. 고효율 수소제조 및 수소저장 기술
4-10. 차세대 고효율 연료전지 시스템 기술
4-11. 친환경 식물성장 촉진기술
4-12.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기술 (IGCC)
4-13. 고효율 저공해 차량기술
4-14. 지능형 교통, 물류기술
4-15. 지능형 교통, 물류기술
4-16. 친환경 저에너지 건축 기술
4-17. 환경부하 및 에너지소비 예측을 고려한 Green Process 기술
4-18. 조명용 LED?그린 IT 기술
4-19. 전력 IT 및 전기기기 효율성 향상 기술
4-20. 고효율 2차 전지기술
4-21. 이산화탄소 포집, 저장 및 처리 기술
4-22. Non-CO2(이산화탄소 제외 온실가스) 처리기술
4-23. 수계수질평가 및 관리기술
4-24. 대체 수자원 확보 기술
4-25. 폐기물 저감, 재활용, 에너지화 기술
4-26. 유해성물질노출 모니터링 및 처리기술
4-27. 가상현실기술
5. 융합녹색기술 사례
제 2장 2차전지 기술, 시장동향
1. 중점 녹색기술로 선정된 고효율 2차전지 기술 개발전략 개요
1-1. 고효율 2차 전지기술 개요
1) 정의
2) 범위
3) 관련 세부 핵심 기술트리
4) 필요성 및 파급효과
1-2. 산업 환경 분석
1-3. 시장현황 및 전망
1) 세계시장 전망
2) 국내 시장전망
3) 세계시장 점유율
4) 국내 주요기업 기술개발 및 사업 동향
1-4. 기술 및 산업경쟁력 수준
1) 기술 및 산업 경쟁력 수준
2) 국외 여건
3) 국내 여건과 해당 기술의 정합성
4) 기술개발 투자 현황
5) 기타 여건
6) 국내 이슈 및 쟁점 분석
1-5. 전략 방향 설정
1) 기술개발·산업화 전략 방향 설정
2) 해당기술의 개발 목표 설정
1-6. 기술로드맵
1) 해당 기술 관련 전략제품·서비스 분석
2) 전략제품·서비스별 핵심세부기술 개발
(1) 소형 리튬2차전지
(2) 중형 리튬2차전지
3) 단계별 기술획득 전략
4) 민관의 역할분담 및 설정 근거
5) 기대효과
(1) 부가가치 창출효과
(2) 고용창출효과
(3) CO2 절감 효과
6) 연구개발 인력 확보 방안 분석
(1) 현 연구개발 인력 현황 분석(2008년 12월 기준)
(2) 단계별 연구개발 소요 인력 및 인력 확보 방안
(3) 핵심 세부기술별 분석
7) 단계별 투자 전략
(1) 투자 전략
(2) 투자규모
(3) 제품?서비스별 실용화?사업화 세부전략
1-7. 전략제품 실용?사업화 전략
1) 제품?서비스별 전략방향
1-8. 정책적 지원방안
제 3장 관련 참고자료
1. 2차전지 경쟁력 강화 방안
1-1. 개요
1-2. 경쟁력 강화 방안 자료 전문
2. 정부의 그린카 육성전략
2-1. 개요
2-2. 주요 내용 요약
2-3. 그린카 개발전략 자료 전문
3. 국내외 그린카 육성정책
3-1. 미국, 오바마의「 그린.뉴딜 정책 」
3-2. 유럽
3-3. 중국
4. 전지 관련 국내 업체 동향
4-1. 개요
(1) 삼성SDI(주) - (SB리모티브)
(2) (주)LG화학
(3) SK에너지(주)
(4) 산요전기(주) - 일본
4-2. 2차전지 관련 특허동향
4-3. 향후 전지 시장의 변화 전망
5. 국내 스마트그리드 정책동향
5-1. 정책 개요 및 전망
1) 추진 배경 및 경과
2) 스마트그리드 국가로드맵
(1) 개요 및 주요 내용
(2) 비젼 및 정책 방향
3) 정책 과제
(1) 핵심기술개발 및 표준화지원
(2) 성공모델 확산
(3) 인프라 구축
(4) 법 ? 제도적 기반 정비
4) 투자 계획 및 기대 효과
5-2. 스마트그리드 관련업체 프로필
1) 주요사업 참여 업체
(1) SK텔레콤
(2) KT
(3) LG전자
(4) 한국전력
(5) SK에너지
(6) GS칼텍스
(7) 현대중공업
(8) 삼성전자
(9) 일진전기
(10) SK건설
(11) 세진전자
(12) 넥스지
(13) 삼성SDS
(14) ABB코리아
(15) GS건설
(16) LS산전
(17) SK네트워크
(18) LG화학
(19) GS파크24
(20) 삼성SDI
2) 기타 참여기업 개요
(1) SK브로드밴드
(2) 삼성전기
(3) SK텔레시스
(4) SK C&C
(5) 한국HP
(6) YTN DMB
(7) 아이셋
(8) 아이엔소프트
(9) 필링크
(10) 이엔테크놀로지
(11) 한국케이블TV제주방송
(12) 도암엔지니어링
(13) 안철수 연구소
(14) 진우소프트이노베이션
(15) 인포섹
(16) 섬엔지니어링
(17) 비씨큐어
(18) 굿어스
(19) 효성
(20) 삼성물산
(21) 옴니시스템
(22) 루텍
(23) 자바정보기술
(24) 가인정보기술
(25) 지어소프트((주)디지털오션)
(26) 미리넷
(27) 뉴그리드테크놀로지
(28) LG CNS
(29) GS EPS
(30) GS퓨얼셀
(31) 소프트포럼
(32) 이글루시큐리티
(33) 엠에이티
(34) 옴니패스
(35) 제노텔
(36) 피에스텍
(37) 한전KDN
(38) LS전선
(39) 대한테크렌
(40) 롯데정보통신
(41) 해리트
(42) 피앤이솔루션
(43) 세니온
(44) 선도소프트
(45) 퓨쳐시스템
(46) 테크윈시스템
(47) 우암코퍼레이션
(48) 그린파워
(49) 태광이엔시
(50) 삼화콘덴서
(51) 벽산파워
(52) 코디에스
(53)(주)씨티앤티
(54) DH홀딩스
(55) 한국전기연구원
(56) 한국전력기술
(57) 코캄
(58) 아트라스BX
(59) EN테크놀로지
(60) 인텍FA
(61) 수도전기
(62) 램피스
(63) 맥스컴
(64) 아이셀시스템즈코리아
(65) 전력품질기술
(66) 한국과학기술원(KAIST)
(67) 자동차부품연구원
(68) 한국토지주택공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