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최신 기계설계제도 편람

최신 기계설계제도 편람

(기계설계제작 실무 기술자를 위한)

메카설계연구소 (엮은이)
청담북스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14,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최신 기계설계제도 편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최신 기계설계제도 편람 (기계설계제작 실무 기술자를 위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기계공학 > 기계설계/공작
· ISBN : 9788994636283
· 쪽수 : 667쪽
· 출판일 : 2013-01-30

책 소개

제조 산업 활동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기계설계 및 제작 기술자를 위한 실무 활용서로서 기계설계 분야 입문자나 실무기술자들을 위한 설계 규격과 데이터의 활용법을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하였다.

목차

01 기계제도와 설계의 기초

01-1 도면 용어
01-1-1 기계제도 용어
01-1-2 미정의 모서리의 모양 용어 및 지시
01-1-3 기열처리를 한 철 계통의 부품-표시와 지시

01-2 치수공차와 끼워맞춤
01-2-1 치수공차 및 끼워맞춤의 용어와 정의
01-2-2 상용하는 구멍기준식 헐거운 끼워맞춤
01-2-3 상용하는 구멍기준식 중간 끼워맞춤
01-2-4 상용하는 구멍기준식 억지 끼워맞춤
01-2-5 끼워맞춤 표시방법
01-2-6 IT기본공차의 값과 적용
01-2-7 구멍의 기초가 되는 치수 허용차
01-2-8 축의 기초가 되는 치수 허용차
01-2-9 자주 사용하는 끼워맞춤 공차 적용례실무 데이타
01-2-10 상용하는 끼워맞춤 축의 치수허용차
01-2-11 상용하는 끼워맞춤 구멍의 치수허용차
01-2-12 상용하는 구멍기준식 끼워맞춤 적용
01-2-13 올바른 치수기입법
01-2-14 치수 누락없이 기입하는 순서와 포인트

01-3 일반공차 및 보통공차
01-3-1 일반공차
01-3-2 주조품 치수 공차 및 절삭 여유 방식
01-3-3 주강품의 보통 공차
01-3-4 금속 프레스 가공품의 보통 치수 공차
01-3-5 중심 거리의 허용차
01-3-6 절삭 가공품의 둥글기 및 모떼기

01-4 표면거칠기
01-4-1 표면거칠기의 종류 및 표시
01-4-2 표면거칠기의 종류 및 설명
01-4-3 표면거칠기 파라미터
01-4-4 표면거칠기 표기법 및 가공방법
01-4-5 표면거칠기 기호 비교 분석
01-4-6 비교 표면 거칠기 표준편
01-4-7 제도-표면의 결 도시 방법
01-4-8 특수한 요구 사항의 지시 방법
01-4-9 도면 기입 방법
01-4-10 표면거칠기 도시 예

01-5 기하 공차의 종류와 적용
01-5-1 기하 공차의 종류와 적용 범위
01-5-2 공차의 도시방법
01-5-3 데이텀의 도시방법
01-5-4 이론적으로 정확한 치수의 도시방법
01-5-5 돌출 공차역의 지시방법
01-5-6 기하 편차의 정의 및 표시
01-5-7 보통 기하공차KS B 0146 폐지
01-5-8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기하공차 및 공차역
01-5-9 기하공차의 적용 예

02 체결용 기계요소

02-1 나사 131
02-1-1 나사의 종류 및 용도와 제도법
02-1-2 나사의 종류를 표시하는 기호 및 나사의 호칭에 대한 표시 방법의 보기
02-1-3 미터 보통 나사
02-1-4 미터 가는 나사
02-1-5 유니파이 보통 나사
02-1-6 관용 평행 나사
02-1-7 관용 테이퍼 나사
02-1-8 29도 사다리꼴 나사
02-1-9 29도 사다리꼴 나사의 기준치수
02-1-10 미니어처 나사
02-1-11 미터 사다리꼴 나사의 호칭 지름과 피치의 조합
02-1-12 미터 사다리꼴 나사
02-1-13 수나사 부품의 불완전 나사부 길이 및 나사의 틈새
02-1-14 나사의 등급 표시 방법 및 나사부의 설계
02-1-15 탭 깊이 및 드릴 깊이

02-2 볼트, 자리파기
02-2-1 볼트 구멍 및 자리파기 규격
02-2-2 볼트 구멍 및 카운터 보어 지름
02-2-3 6각 볼트(부품 등급 A)
02-2-4 6각 볼트(부품 등급 B)
02-2-5 6각 볼트(부품 등급 C)
02-2-6 6각 볼트(상)
02-2-7 6각 볼트(중)
02-2-8 6각 볼트(흑)
02-2-9 6각 구멍붙이 볼트
02-2-10 아이 볼트
02-2-11 나비 볼트 1종
02-2-12 나비 볼트 2종
02-2-13 나비 볼트 3종
02-2-14 맞변거리의 치수
02-2-15 자리파기의 규격을 찾아 설계 도면에 적용하는 방법

02-3 너트
02-3-1 6각 너트(상)
02-3-2 6각 너트(중)
02-3-3 6각 너트(보통)
02-3-4 아이 너트
02-3-5 나비 너트 1종
02-3-6 나비 너트 2종
02-3-7 나비 너트 3종

02-4 와셔
02-4-1 스프링와셔
02-4-2 이붙이와셔
02-4-3 이붙이와셔(접시형 C, 내외치용 AB)
02-4-4 평와셔(소형 원형)
02-4-5 평와셔(광택 원형)
02-4-6 평와셔(보통 원형)
02-4-7 평와셔(소형 4각, 대형 4각)
02-4-8 접시 스프링 와셔(1종)
02-4-9 접시 스프링 와셔(2종)

02-5 핀
02-5-1 평행 핀
02-5-1 분할 핀
02-5-3 스플릿 테이퍼 핀
02-5-4 스프링 핀
02-5-5 나선형 핀
02-5-6 스프링식 곧은 핀(코일형, 중하중용)
02-5-7 스프링식 곧은 핀(코일형, 표준하중용)
02-5-8 스프링식 곧은 핀-홈, 저하중

03 축 관계 설계 데이터

03-1 축 설계 관련 규격
03-1-1 센터 구멍 제1종 60 센터구멍
03-1-2 센터 구멍 제1종 60 센터구멍 R형
03-1-3 센터 구멍 제2종 75 A형, B형, C형
03-1-4 센터 구멍 제3종 75 A형, B형, C형
03-1-5 센터 구멍의 간략 도시 방법
03-1-6 공구의 생크 4각부
03-1-7 원통 축끝의 치수표
03-1-8 원뿔 테이퍼
03-1-9 축의 지름
03-1-10 원동 및 종동 기계-축 높이
03-1-11 1/10 원추축 끝
03-1-12 모스 테이퍼 생크 및 소켓 - 모양, 치수
03-1-13 센터구멍 도시 방법

03-2 축 설계 계산 공식
03-2-1 강도에 의한 축지름의 설계
03-2-2 강성도에 의한 축지름의 설계
03-2-2 축의 재료

03-3 키 및 스플라인
03-3-1 키의 개요 및 종류
03-3-2 평행키의 개요
03-3-3 평행키의 끼워맞춤 설명
03-3-4 평행키의 규격
03-3-5 보통형 평행키의 적용 예
03-3-6 경사키의 규격
03-3-7 반달키의 개요 및 규격
03-3-8 접선키(tangential key)의 규격
03-3-9 키플레이트(key plate)의 개요
03-3-10 고정 녹의 규격
03-3-11 스플라인
03-3-12 스플라인 및 세레이션의 표시방법
03-3-13 평행키의 KS규격을 찾아 작도하는 방법
03-3-14 반달키의 KS규격을 찾아 작도하는 방법
03-3-15 키 및 키홈의 끼워맞춤의 개정

03-4 멈춤링 261
03-4-1 축용 C형 멈춤링의 규격(1)
03-4-1 축용 C형 멈춤링의 규격(2)
03-4-2 구멍용 C형 멈춤링의 규격(1
03-4-2 구멍용 C형 멈춤링의 규격(2)
03-4-3 E형 멈춤링의 규격
03-4-4 축용 C형 동심 멈춤링의 규격
03-4-5 구멍용 C형 동심 멈춤링의 규격
03-4-6 멈춤링이 적용된 도면
03-4-7 멈춤링(스냅링, snap ring)

03-5 널링의 종류 및 치수표
03-5-1 널링의 종류 및 치수표
03-5-2 널링의 적용 도면 예

04 동력전달요소

04-1 벨트와 풀리
04-1-1 V-벨트 풀리의 개요
04-1-2 주철재 V-벨트 풀리(1)
04-1-3 주철재 V-벨트 풀리(2)
04-1-4 V-벨트 풀리의 모양 및 치수(홈부분 제외)
04-1-5 V-벨트 풀리 A형의 모양 및 치수(홈부분 제외)
04-1-6 V-벨트 풀리 A형의 모양 및 치수(홈부분 제외)
04-1-7 V-벨트 풀리 A형 암의 모양 및 치수
04-1-8 V-벨트 풀리 B형의 모양 및 치수(홈부분 제외)
04-1-9 V-벨트 풀리 B형의 모양 및 치수(홈부분 제외)
04-1-10 V-벨트 풀리 B형 암의 모양 및 치수
04-1-11 V-벨트 풀리 C형의 모양 및 치수(홈부분 제외)
04-1-12 V-벨트 풀리 C형의 모양 및 치수(홈부분 제외)
04-1-13 V-벨트 풀리 C형 암의 모양 및 치수
04-1-14 가는 나비 V 풀리
04-1-15 평 벨트 풀리
04-1-16 벨트 전동장치 도면 예
04-1-17 V-벨트 풀리의 KS규격을 찾아 작도하는 방법

04-2 기어 제도법
04-2-1 스퍼 기어
04-2-2 헬리컬 기어
04-2-3 내접 헬리컬 기어
04-2-4 이중 헬리컬 기어
04-2-5 나사 기어
04-2-6 직선 베벨 기어
04-2-7 스파이럴 베벨 기어
04-2-8 하이포이드 기어
04-2-9 웜
04-2-10 웜 휠
04-2-11 래크, 피니언
04-2-12 기어의 용도에 따른 등급
04-2-13 기어의 가공 방법에 따른 등급
04-2-14 기어용 금속 재료

04-3 기어 설계 계산
04-3-1 표준 평기어의 계산식
04-3-2 표준 내기어의 계산식
04-3-3 치직각 방식 표준 헬리컬기어의 계산식
04-3-4 나사기어의 계산식
04-3-5 웜기어의 계산
04-3-6 그리슨 스트레이트 베벨 기어의 계산식
04-3-7 표준 스트레이트 베벨 기어의 계산식
04-3-8 그리슨 스파이럴 베벨 기어의 계산식

04-4 기어 규격 데이터
04-4-1 스퍼어 기어 및 헬리컬 기어의 정밀도
04-4-2 인볼류트 관수표
04-4-3 상당 평기어 환산계수
04-4-4 도 · 분 · 초의 라디안 환산표

04-5 체인과 스프로킷
04-5-1 스프로킷 기준 치수
04-5-2 체인과 스프로킷 요목표
04-5-3 롤러 체인 스프로킷의 가로 치형
04-5-4 단위 피치(피치 1)의 롤러 체인용 스프로킷의 피치원 지름
04-5-5 스프로킷의 기준 치수(호칭번호 25, 35)
04-5-6 스프로킷의 기준 치수(호칭번호 41)
04-5-7 스프로킷의 기준 치수(호칭번호 40,50)
04-5-8 스프로킷의 기준 치수(호칭번호 60, 80)
04-5-9 스프로킷의 기준 치수(호칭번호 100, 120)
04-5-10 스프로킷의 기준 치수(호칭번호 140, 160)
04-5-11 스프로킷의 기준 치수(호칭번호 200)
04-5-12 스프로킷의 기준 치수(호칭번호 240)
04-5-13 스프로킷 각 부의 치수 허용차 및 허용값
04-5-14 스프로킷의 제도법
04-5-15 스프로킷의 적용 도면 예
04-5-16 스프로킷의 KS규격을 찾아 작도하는 방법

05 치공구 설계

05-1 치공구 요소
05-1-1 지그용 부시 및 부속품
05-1-2 지그용 고정 부시
05-1-3 지그용 고정 라이너
05-1-4 삽입 부시(둥근형)
05-1-5 삽입 부시(노치형)
05-1-6 지그용 삽입 부시와 멈춤나사
05-1-7 삽입 부시용 멈춤 나사
05-1-8 지그용 멈춤쇠 및 고정핀
05-1-9 지그 및 고정구용 6각 너트
05-1-10 지그 및 부착구용 와셔-구면와셔
05-1-11 지그 및 부착구용 와셔-열쇠형 와셔
05-1-12 지그 및 부착구용 와셔-분할 와셔
05-1-13 부시 내경 허용차 및 부시의 동심도
05-1-14 드릴용 지그 부시 및 부속품-치수
05-1-15 지그 및 부착구용 위치 결정 핀
05-1-16 드릴용 지그 부시

06 밀봉장치의 설계

06-1 오링
06-1-1 오링 부착 홈 부의 모양 및 치수(1)
06-1-2 운동용 및 고정용(원통면)의 홈부의 모양 및 치수 P계열(1)
06-1-2 운동용 및 고정용(원통면)의 홈부의 모양 및 치수 P계열(2)
06-1-2 운동용 및 고정용(원통면)의 홈부의 모양 및 치수 P계열(3)
06-1-2 운동용 및 고정용(원통면)의 홈부의 모양 및 치수 P계열(4)
06-1-3 운동용 및 고정용(원통면)의 홈부의 모양 및 치수 G계열(1)
06-1-3 운동용 및 고정용(원통면)의 홈부의 모양 및 치수 G계열(2)
06-1-4 고정용(평면)의 홈 부의 모양 및 치수(1)
06-1-4 고정용(평면)의 홈 부의 모양 및 치수(2)
06-1-4 고정용(평면)의 홈 부의 모양 및 치수(3)
06-1-4 고정용(평면)의 홈 부의 모양 및 치수(4)
06-1-5 오링의 부착에 관한 주의 사항
06-1-6 운동용 오링(P)의 기본치수
06-1-7 고정용 오링(G)의 기본치수
06-1-8 진공 플랜지용 오링(V)
06-1-9 ISO 일반 공업용 오링의 모양 및 치수(1)
06-1-9 ISO 일반 공업용 오링의 모양 및 치수(2)
06-1-9 ISO 일반 공업용 오링의 모양 및 치수(3)
06-1-9 ISO 일반 공업용 오링의 모양 및 치수(4)
06-1-10 오링용 백업 링
06-1-11 오링용 백업 링 P계열(1)
06-1-11 오링용 백업 링 P계열(2)
06-1-11 오링용 백업 링 P계열(3)
06-1-11 오링용 백업 링 P계열(4)
06-1-12 오링용 백업 링 G계열(1)
06-1-12 오링용 백업 링 G계열(2)
06-1-13 오링의 설계 치수 적용 도면 예
06-1-14 오링의 적용 도면 예
06-1-15 오링의 KS규격을 찾아 작도하는 방법

06-2 오일실
06-2-1 오일 실의 개요 및 장착부 설계
06-2-2 오일 실 설치부의 축 설계시 주의 사항
06-2-3 동력전달장치에 적용된 오일실
06-2-4 라이브센터에 적용된 오일실
06-2-5 패킹의 종류 및 설명
06-2-6 오일실의 종류
06-2-7 오일실(S,SM, SA, D, DM, DA)K
06-2-8 오일실(S,SM, SA, D, DM, DA)K
06-2-9 오일실(G, GM, GA)
06-2-10 오일실(G, GM, GA)
06-2-11 오일실 설치부 관계 참고치수
06-2-12 오일실의 KS규격을 찾아 작도하는 방법

06-3 패킹
06-3-1 V패킹(1/4)
06-3-1 V패킹(2/4)
06-3-1 V패킹(3/4)
06-3-1 V패킹(4/4)

07 스프링 설계 제도

07-1 스프링의 제도
07-2 스프링의 적용 예
07-3 COIL SPRING 계산

08 베어링의 규격과 끼워맞춤 설계

08-1 베어링의 규격과 끼워맞춤
08-1-1 베어링의 계열 기호(1)
08-1-1 베어링의 계열 기호(2)
08-1-2 베어링의 안지름 번호
08-1-3 베어링의 보조 기호
08-1-4 호칭 번호의 보기
08-1-5 구름 베어링의 부착 관계 치수 및 끼워맞춤
08-1-6 베어링의 끼워맞춤
08-1-7 레이디얼 베어링(0급, 6X급, 6급)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축의 공차 범위 등급
08-1-8 레이디얼 베어링(0급, 6X급, 6급)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하우징 구멍의 공차 범위 등급
08-1-9 스러스트 베어링의 축 및 하우징 구멍의 공차 범위 등급

08-2 볼 베어링
08-2-1 깊은 홈 볼 베어링(68, 64 계열)
08-2-2 깊은 홈 볼 베어링(69 계열)
08-2-3 깊은 홈 볼 베어링[60 계열](1)
08-2-3 깊은 홈 볼 베어링[60 계열](2)
08-2-4 깊은 홈 볼 베어링[62 계열](1)
08-2-4 깊은 홈 볼 베어링[62 계열](2)
08-2-5 깊은 홈 볼 베어링[63 계열]
08-2-6 앵글러 볼 베어링[70 계열]
08-2-7 앵귤러 볼 베어링[72 계열]
08-2-8 앵글러 볼 베어링[73 계열]
08-2-9 앵글러 볼 베어링[74 계열]
08-2-10 자동 조심 볼 베어링[12, 22 계열]
08-2-11 자동 조심 볼 베어링(13, 23 계열)
08-2-12 평면자리 스러스트 볼 베어링(단식 계열 511, 512)
08-2-13 평면자리 스러스트 볼 베어링(단식 계열 513, 514)
08-2-14 평면자리 스러스트 볼 베어링(복식 계열 522)
08-2-15 평면자리 스러스트 볼 베어링(복식 계열 523, 524)

08-3 롤러 베어링
08-3-1 원통 롤러 베어링(베어링 계열 NU2, NUP2, N2, NF2)
08-3-2 원통 롤러 베어링(베어링 계열 NU22, NJ22, NUP22)
08-3-3 원통 롤러 베어링(베어링 계열 NU3, NJ3, NUP3, N3, NF3)
08-3-4 원통 롤러 베어링(베어링 계열 NU23, NJ23, NUP23)
08-3-5 원통 롤러 베어링(베어링 계열 NU4, NJ4, NUP4, N4, NF4)
08-3-6 원통 롤러 베어링(베어링 계열 NN30)
08-3-7 원통 롤러 베어링(베어링 계열 NU10)
08-3-8 원통 롤러 베어링(계열 HJ 2의 L형 칼라)
08-3-9 원통 롤러 베어링(계열 HJ 22의 L형 칼라)
08-3-10 원통 롤러 베어링(계열 HJ 3의 L형 칼라)
08-3-11 원통 롤러 베어링(계열 HJ 23의 L형 칼라)
08-3-12 원통 롤러 베어링(계열 HJ 4의 L형 칼라)
08-3-13 테이퍼 롤러 베어링(계열 320)
08-3-14 테이퍼 롤러 베어링(계열 302)
08-3-15 테이퍼 롤러 베어링(계열 322)
08-3-16 테이퍼 롤러 베어링(계열 303)
08-3-17 테이퍼 롤러 베어링(계열 303 D)
08-3-18 테이퍼 롤러 베어링(계열 323)
08-3-19 자동 조심 롤러 베어링(계열 230, 231)
08-3-20 자동 조심 롤러 베어링(계열 222, 232)
08-3-21 자동 조심 롤러 베어링(계열 213, 223)
08-3-22 니들 롤러 베어링(계열 NA48, RNA48)
08-3-23 니들 롤러 베어링(계열 NA49, RNA49)
08-3-24 자동 조심 스러스트 롤러 베어링(계열 292, 293)
08-3-25 자동 조심 스러스트 롤러 베어링(계열 293, 294)

08-4 미끄럼 베어링
08-4-1 소결 함유 베어링
08-4-2 미끄럼 베어링용 부시[C형](1)
08-4-2 미끄럼 베어링용 부시[C형](2)
08-4-3 미끄럼 베어링용 부시(F형)
08-4-4 미끄럼 베어링의 적용예

08-5 구름 베어링 요소
08-5-1 구름 베어링용 로크너트 계열 AN의 로크 너트
08-5-2 구름 베어링용 와셔 계열 AW의 와셔
08-5-3 베어링용 혀붙이(크라운)와셔 설치 홈 가공 치수
08-6 베어링의 끼워맞춤 설계 및 공차의 적용

09 T-홈 및 더브테일

09-1 T 홈 532
09-2 T홈의 간격(1)
09-2 T홈의 간격(2)
09-3 더브테일
09-4 더브테일 오버 핀 측정값(x값)
09-5 공작기계 테이블 - T홈 및 해당 볼트
09-6 T홈 너트
09-7 더브테일의 설계 적용 예

10 자동화기계 3D 메카니즘 예제

11 여러 가지 기계요소 3D

11-1 볼트(Bolt)
11-2 너트(Nut)와 멈춤링(Snap Ring)
11-3 와셔(Washer)와 T-홈
11-4 기어(Gear)
11-5 기어(Gear), 스프로킷(Sprocket), V-벨트 풀리(Belt Pulley)
11-6 스프링(Spring)과 오링(O-Ring)
11-7 베어링-1
11-8 베어링-2
11-9 베어링-3
11-10 치공구 요소-1
11-11 치공구 요소-2
11-12 치공구 요소-3
11-13 축계 요소
11-14 핀(Pin), 백업링(Back-up Ring)

12 기계금속재료

12-1 봉강. 형강. 강판. 강대
12-2 압력 용기용
12-3 일반 가공용
12-4 철도용
12-5 구조용 강관
12-6 배관용 강관
12-7 열 전달용 강관
12-8 특수 용도 강관 및 합금관
12-9 선재. 선재 2차 제품
12-10 기계 구조용 탄소강. 합금강
12-11 특수 용도강 공구강. 중공강. 베어링강
12-12 스테인레스강. 내열강. 초합금
12-13 단강품
12-14 주강품
12-15 주철품
12-16 신동품
12-17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합금의 전신재
12-18 마그네슘합금 및 납 및 납합금의 전신재
12-19 니켈 및 니켈합금의 전신재
12-20 티탄 및 티탄합금 기타의 전신재
12-21 주물

13 기계 재료 표시 기호

14 금속 재료 규격 데이터

14-1 기계구조용 탄소 강재
14-2 경화능 보증 구조용 강재(H강)
14-3 기계구조용 합금강 강재
14-4 고속도 공구강 강재
14-5 탄소 공구강 강재
14-6 합금 공구강 강재
14-7 고탄소 크로뮴 베어링 강재
14-8 냉간 압연 스테인레스 강판 및 강대
14-9 스테인레스 강선재
14-10 기계 구조용 탄소 강관
14-11 기계 구조용 스테인레스 강관
14-12 일반 구조용 탄소 강관
14-13 일반 구조용 각형 강관
14-14 기계 구조용 합금강 강관
14-15 실린더 튜브용 탄소 강관
14-16 기계 구조용 합금강 강재
14-17 주강품
14-18 고망간강 주강품
14-19 용접 구조용 주강품
14-20 회주철품
14-21 구상 흑연 주철품
14-22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14-23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
14-24 마봉강용 일반 강재

15 가공 방법 기호

부록 공학기술단위 및 설계계산식

부록 1 여러가지 공학 단위의 관계
부록 2 공업단위 환산표(1)
부록 3 공업단위 환산표(2)
부록 4 공업단위 환산표(3)
부록 5 공업단위 환산표(4)
부록 6 단위계의 비교
부록 7 경도환산표
부록 8 일반 철강 재료
부록 9 주요 스테인레스강의 종류 및 용도
부록 10 주요 알루미늄 합금의 기호 및 용도
부록 11 동합금의 종류 및 용도
부록 12 주단조품 및 동합금 주물
부록 13 강관 재료
부록 14 스프링 재료
부록 15 강의 종류에 따른 열처리 온도 및 경도
부록 16 표면경화강과 열처리 경도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