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4655758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19-06-0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PART 1 과정 중심 평가의 도입
1 과정 중심 평가란 무엇인가?
2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오해와 진실
3 과정 중심 평가 실천을 위한 준비
PART 2 역동적 평가의 이해
1 역동적 평가란 무엇인가?
2 역동적 평가는 왜 필요한가?
3 역동적 평가의 유형
4 역동적 평가의 과정
5 역동적 평가의 기록
PART 3 과제 분석과 교수 적합화
1 역동적 평가 실천을 위한 과제 분석
2 국어 교과 과제 분석의 예
3 수학 교과 과제 분석의 예
4 피드백 실천을 위한 교수 적합화
5 교수 적합화를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
PART 4 역동적 평가 실천하기
1 역동적 평가의 3단계
2 역동적 평가 계획하기
3 역동적 평가 실행하기
4 역동적 평가 결과 기록하기
PART 5 학생의 성장과 발달 정보 공유
1 학부모와 정보 공유하기
2 다음 학년 담임교사와 정보 공유하기
에필로그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을 읽으시는 선생님들께 당부하고 싶은 말이 한 가지 있습니다. 제 경험에 비추어보자면 역동적 평가를 현장에서 적용하여 실시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었습니다. 정말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래서 도중에 포기하시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저 역시 그냥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다운로드한 평가 계획과 도구들을 가지고 평가를 진행한 적이 많습니다. 하지만 만약 이 책을 읽고 역동적 평가가 정말 의미 있고 가치 있으며 학생들을 위해 교사가 조금이라도 무엇을 해주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드신다면 너무 쉽게 포기하지 마시고 조금씩 조금씩 해나가보셨으면 합니다. 조금씩 이루어지는 실천이 선생님을 변화시킬 것이고 변화된 선생님께서는 학생들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 <프롤로그> 중에서
과정 중심 평가는 학생의 학습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피드백을 제공하여 성장과 발달을 이끌어내는 것이 목적이다. 학생의 성장과 발달에 도움이 된다면 학생의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성취 수준과 지원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총괄 평가를 과정 중심 평가에서 얼마든지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과정 중심 평가를 실천할 때 형성 평가나 총괄 평가 중 한 가지만을 선택하여 평가를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두 가지의 평가를 균형적으로 활용하여 의미 있는 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 <part 1. 과정 중심 평가의 도입> 중에서
역동적 평가(DA)는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자 하며 평가의 관심 대상은 이미 완성된 능력인 학생의 실제 발달 수준이 아니라 미래의 잠재적 발달 수준으로 나아가는 과정이다. 즉 역동적 평가는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에 기초하여 학생의 변화 과정을 평가하고자 한다.
학생은 근접발달영역에서 협력을 통해 필요한 도움을 받아 과제를 완수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실제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며 성장과 발달을 한다. 역동적 평가는 과제 수행 과정 속에서 학생의 정보를 수집, 해석하고 이에 따라 지원을 제공하여 학생이 과제를 완수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근접발달영역에서 학생에게 필요한 도움이 무엇인지를 평가하고 동시에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학생이 실질적으로 학습하고 성장과 발달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 <part 2. 역동적 평가의 이해>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