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전자책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94658841
· 출판일 : 2021-11-15
목차
조선상고사(제1권) / 차례
■ 서문序文
-신(申) 단재(丹齋)의 조선상고사 권두(卷頭)에 적음
■ 편역자의 말
-《조선상고사》편역본에 대하여
제1편: 총론
1. 역사의 정의(正義)와 조선사의 범위
2. 역사의 3대 원소와 조선 구사(舊史)의 결점
3. 구사(舊史)의 종류와 그 득실의 약평(略評)
4. 사료의 수집과 선택에 대한 상권(商權)
5. 역사서의 개조에 대한 우견(愚見)
제2편: 수두 시대
제1장 조선 고대 총론
1. 조선민족의 구별
2. 조선족의 동래(東來)
3. 조선족이 분포해 있었던 ‘아리라’
4. 조선의 최초를 개척한 부여(夫餘)
제2장 대단군(大檀君) 왕검(王儉)의 건국
1. 조선 최초의 일반 신앙인 단군
2. 대단군(大檀君) 왕검(王儉)이 창작한 신설(神說)
3. 신수두의 삼경(三京) 오부(五部) 제도
제3장 수두의 홍포(弘布)와 문화의 발달
1. 부루(夫婁)의 서행(西行)
2. 기자(箕子)의 전래(傳來)
3. 흉노(匈奴)의 휴도(休屠)
4. 한자(漢字)의 수입(輸入)과 이두문(吏讀文)의 창작
5. 신지(神誌)의 역사
6. 조선의 전성시대
7. 조선의 쇠약(衰弱)
8. 단군 연대(年代)의 고증(考證)
제3편: 삼조선(三朝鮮)의 분립 시대
제1장 삼조선(三朝鮮) 총론
1. 삼조선(三朝鮮)이란 명칭의 유래
2. 삼조선(三朝鮮)의 위치와 범위
3. 기록상 삼조선(三朝鮮)의 구별 조건
4. 삼조선(三朝鮮) 분립의 시작
제2장 삼조선(三朝鮮) 분립 후의 신조선
1. 신조선(朝鮮)의 서침(西侵)과 연(燕)· 조(趙)· 진(秦)의 장성(長城)
2. 창해역사(滄海力士)의 철추(鐵椎)와 진시황의 만리장성
3. 흉노 모돈(冒頓)의 동침(東侵)과 신조선의 위축
제3장 삼조선(三朝鮮) 분립 후의 불朝鮮
1. 불朝鮮의 서북 변경 피탈(被奪)
2. 불朝鮮의 진(秦) · 한(漢)과의 관계
3. 위만(衛滿)의 반란과 불朝鮮의 남천(南遷)
제4장 삼조선(三朝鮮) 분립 후의 말朝鮮
1. 말朝鮮의 천도(遷都)와 마한(馬韓)으로의 국호 변경
2. 낙랑(樂浪)과 남삼한(南三韓)의 대치
3. 낙랑(樂浪) 25개국과 남삼한(南三韓) 70여국
제5장 삼 조선(三朝鮮) 붕괴의 원인과 결과
1. 삼신설(三神說)의 파탄
2. 열국(列國)의 분립
제4편: 열국 쟁웅(爭雄) 시대(대(對) 한족(漢族) 격전시대)
제1장: 열국(列國) 총론(總論)
1. 열국 연대의 정오
2. 열국의 강역
제2장: 열국(列國)의 분립
1. 동부여의 분립
2. 고구려의 발흥
3. 백제의 건국과 마한의 멸망
제3장: 한 무제(漢武帝)의 침입
1. 한나라 군대가 고구려에 패퇴한 사실
(고구려의 9년 전쟁)
2. 한 무제의 위씨 침멸(위씨조선의 멸망)
3. 한 사군(四郡)의 위치와 고구려 대(對) 한(漢) 관계
제4장: 계립령(鷄立嶺) 이남의 두 신국(新國)
1. 계립령 이남의 별천지
2. 가라 6국의 건설
3. 신라의 건국
제5편(一): 고구려의 전성시대
제1장 기원 1세기 초 고구려의 국력 발전과 그 원인
1. 대주류왕 이후의 고구려
2. 고구려의 대중국 관계
3. 선비(鮮卑) 대 고구려의 관계
제2장 태조(太祖) · 차(次) 양 대왕의 문치(文治)
1. 태조(太祖) · 차(次) 양 대왕의 세계(世系)의 오류
2. 태조(太祖) · 차(次) 양 대왕 시대의 <선배> 제도
3. 태조(太祖) · 차(次) 양 대왕 시대의 제도
제3장 태조·차(次) 양 대왕의 한족(漢族) 축출과 옛 강토 회복
1. 한의 국력과 동침의 배경
2. 왕자 수성의 요동 회복
제4장 차대왕(次大王)의 왕위 찬탈
1. 태조의 가정 불화
2. 수성의 음모와 태조의 선위
제5장 차대왕(次大王)의 피살과 명림답부(明臨答夫)의 전권(專權)
1. 차대왕의 20년 전제
2. 명림답부의 전권과 외정(外政)
제6장 을파소(乙巴素)의 업적
6.1 왕후의 전치 간여와 좌가려의 난
6.2 을파소의 등용
제5편(二): 고구려의 중쇠(中衰)와 북부여의 멸망
제1장 고구려의 대(對) 중국과의 전쟁에서의 패배
1. 발기(發技)의 반란과 제1의 환도(丸都) - 현 개평(蓋平)의 잔파(殘破)
2. 동천왕(東川王)의 제1 환도성(丸都城) 회복과 오(吳)·위(魏)와의 외교
3. 공손연(公孫淵)의 멸망과 고구려·위(魏) 양국의 충돌
4. 관구검의 침입과 제2의 환도(丸都, 지금의 안고성) 함락
5. 제2 환도성(丸都城)의 파괴 후 평양(平壤)으로의 천도
제2장 고구려 대(對) 선비(鮮卑) 전쟁
1. 선비(鮮卑) 모용씨(慕容氏)의 강성
2. 북부여(北扶餘)의 파괴와 의려왕(依慮王)의 자살
3. 고구려의 예란(濊亂) 토평(討平)과 명장 달가(達賈)의 참사
4. 모용외(幕容외)의 패퇴와 봉상왕(烽上王)의 교만과 포학
5. 봉상왕(烽上王)의 폐위와 미천왕(美川王)의 즉위
6. 미천왕(美川王)의 요동(遼東) 전승과 선비(鮮卑) 몰아냄
7. 제3 환도(丸都)
- 지금의 집안현(輯安縣) 홍석정자산(紅石頂子山)의 함락
[책속의 책]
《조선상고사》 국 · 한문 혼용 초판 원본
[부록 1]
단재 신채호 연보
[부록 2]
《조선상고사》(제1권) 차례